• 제목/요약/키워드: 위협평가

검색결과 690건 처리시간 0.052초

사이버보안 위협평가를 통한 원자력시설 등 중요시설 대상 최신 사이버 위협 사례 분석 연구

  • 송동훈;임현종;김상우;류진호;신익현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1-60
    • /
    • 2018
  •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이하 '방사능방재법')에 의거하여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원자력시설의 사이버보안 규제 업무를 위임받아 수행하고 있으며, 그 중 위협평가 업무를 통해 최신 사이버 위협 사례를 분석하여 사이버보안체제의 기준이 되는 설계기준위협을 설정하고 원자력사업자의 이행 여부를 평가하고 있다. 위협평가의 첫 단계로 방사능방재법에 따라 3년 마다 최신 사이버 위협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야 하며, 사이버 위협분석 자료는 원자력사업자가 방호해야하는 최대 위협 수준인 설계기준위협 설정에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3년간 원자력시설과 같은 중요시설 대상으로 발생한 사이버 위협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위협평가에 활용하고자 한다.

정보 융합 기반 퍼지-베이지안 네트워크 공중 위협평가 방법 (Air Threat Evaluation System using Fuzzy-Bayesian Network based on Information Fusion)

  • 윤종민;최보민;한명묵;김수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1-31
    • /
    • 2012
  • 정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장상황에서도 정보 시스템들의 고도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적기에 대한 정보 획득 및 상황분석은 전장상황에서 주요한 요소가 되었다. 전장상황 분석의 핵심 요소인 위협평가는 피아식별을 통해 식별된 항공 정보를 가지고 해당 상황에 대한 위협치를 평가하여 무기할당에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로써, 전장상황의 어느 단계 보다 확실한 정보를 요구하는 단계이다. 전장상황에서 대부분의 위협평가 데이터들은 감지된 센서 값에 의해 연산되어 전달되는데, 기존의 기법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센서 데이터들의 잘못된 연관관계 표현 및 데이터 누락은 전장상황에서의 의사결정에 혼란을 야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센서 데이터들의 연관 관계를 올바르게 정의하고, 센서데이터 누락에 따른 예측 불가능한 전투상황에 대한 신뢰도 높은 위협치 연산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효율적인 의사결정 위협평가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JDL 정보 융합 모델을 기반으로 애매모호한 관계성을 표현하는데 유리한 퍼지 이론, 데이터 습득의 불확실한 전장상황에서 위협치를 추론하고 상황에 대한 학습이 가능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하이브리드하여 새로운 위협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또,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의 전장 시나리오에 따른 위협평가 결과를 보였다.

원자력시설 IEMI 위협 취약성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평가 방법론 개발

  • 류진호;송동훈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9-52
    • /
    • 2019
  •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에 따라 2018년 개정된 설계기준위협(DBT)은 전자적 침해행위 중 하나로 의도적 전자기파 간섭(IEMI) 위협을 반영하였으며, 이에 따라 원자력시설은 IEMI 위협에 대한 물리적방호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은 개정 설계기준위협에 따라 2018년 원자력시설의 고출력 전자기파 방호 심·검사 기준(KINAC/RS-020)을 개정하여 원자력시설의 IEMI 위협에 대한 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KINAC/RS-020에 따른 원자력시설 IEMI 위협 취약성 평가를 위해 개발 중인 IEMI 위협에 대한 시나리오 평가 방법론에 대해 소개한다.

베이지안 네트워크 학습을 이용한 방공 무기 체계에서의 위협평가 기법연구 (A Study of Threat Evaluation using Learning Bayesian Network on Air Defense)

  • 최보민;한명묵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15-721
    • /
    • 2012
  • 위협평가는 전장상황을 인지하여 아군의 자산을 보호하고 무장 할당의 효율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로서, 교전을 실시할 트랙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이다. 즉, 다 표적 교전상황에서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도와 아군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고 적군에 대한 공격을 최대한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협평가에 이용되는 위협치 산출은 전장에서 발생하는 센서 데이터들을 통해 연산된다. 그러나 전장상황은 예측 불허하고 다양한 변수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러한 데이터들의 변질 및 유실은 위협평가를 통한 의사결정에 혼란을 더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불완전한 몇 몇 데이터만을 가지고도 신뢰도 높은 결과를 산출하는 데 유리한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추론기능과 전장 환경변화에 네트워크의 적응을 가능하게 해주는 학습기능을 위협평가 분야에 적용하여 보다 견고한 위협치를 산출할 것을 제안하여 실험을 통해 이에 대한 성능을 입증하였다.

퍼지추론을 이용한 정량적 사이버 위협 수준 평가방안 연구 (A Study on the Quantitative Threat-Level Assessment Measure Using Fuzzy Inference)

  • 이광호;김종화;김지원;윤석준;김완주;정찬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9-24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 위협을 평가할 시 복합적인 요소들을 고려한 위협 수준의 정량적 평가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평가방안은 공격방법과 행위자, 위협유형에 따른 강도, 근접성의 4가지 사이버 위협 요소를 기반으로 퍼지이론을 사용하여 사이버 위협 수준을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사이버 위협 수준 평가는 언어로 표현된 위협 정보를 정량화된 데이터로 제시해 조직이 위협의 수준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판단할 수 있다.

  • PDF

CEC 위협평가시스템 개발의 제품계열적 적용방법론 (Product Line based Application Methodology for Developing CEC Threat Evaluation System)

  • 우동성;윤희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295-297
    • /
    • 2005
  • CEC, 근접방어무기체계, 지휘통제체계 등에 사용되는 위협평가시스템은 자동위협평가, 방어구역 위협지수, 무기할당 등의 공통된 기능을 포함하고 있고, 시스템 환경의 변화 또는 성능 향상에 따라 수시로 업그레이드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산성 향상과 중복투자 방지로 인한 비용감소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제품계열 방법론을 위협평가시스템 개발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위협평가시스템의 제품계열 방법론 적용을 위해 핵심자산 개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제품계열 영역지정, 핵심자산, 제품계획을 정의한다. 제품계열 영역지정은 Feature 모델링을 이용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식별하고, 핵심자산은 아키텍처 설계 중심으로, 그리고 각 핵심자산의 부착 프로세스를 종합하여 제품계획을 수립한다.

  • PDF

효과적인 위협관리를 위한 보안 위험도 평가기법 (Security Risk Evaluation Scheme for Effective Threat Management)

  • 강필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6권5호
    • /
    • pp.380-386
    • /
    • 2009
  • 중요 IT 자산에 대한 보안성 강화를 위해서는 관련 위협(또는 취약점)의 식별 및 이에 대한 보안 대비책의 적정성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자산 및 위협에 기반한 보안 위험도 평가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식별된 자산 및 위협 관련 공격시도 탐지와 취약점 점검 등의 대응 범위 및 수준의 사전 점검과 정량적인 위험도 평가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연구에 비해 효과적으로 위협관리 업무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그리드 제어시스템 보안 위협 평가 방안 연구 (Security Threat Evaluation for Smartgrid Control System)

  • 고종빈;이석준;손태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873-883
    • /
    • 2013
  • 보안 위협 평가는 시스템의 잠재적인 취약성을 파악하고, 그 취약성 및 대응방안에 대해 객관적인 점수를 부여하는 기술이다. 스마트그리드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보안 위협 평가를 적용하기에 무리가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의 보안 위협 평가를 위해 AMI에 대해 네트워크 모델을 제안하고 공격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MTTC scheme을 이용하여 제안 네트워크 모델 및 공격 시나리오에 대해 보안 위협 평가 수행이 가능함을 보였다.

불확실 지상 표적의 인공지능 기반 위협도 평가 연구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Threat Assessment Study of Uncertain Ground Targets)

  • 진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05-313
    • /
    • 2021
  • 미래전의 양상은 네트워크 중심전으로 전체계의 연결을 통한 전장상황 정보획득 및 공유가 주를 이룰 것이다. 따라서 전장에서 생성되는 정보의 양은 많아지지만, 정보를 평가하여 전장을 효율적으로 지휘하는 기술은 부족한 것이 현실태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두되는 기술이 전장 위협평가이다. 전장 위협평가는 획득된 정보를 사용하여 지휘관의 신속 결심을 지원하는 기술이지만 획득된 정보에는 표적의 불확실성이 많고 점차 지능화되는 전장상황에 적용하기에 현재 기술수준이 낮은 부분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표적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고도화되는 전장상황에서도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의 전장 위협평가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사용된 인공지능 시스템으로는 퍼지 추론 시스템과 다층 퍼셉트론을 사용하였다. 퍼지 추론 시스템에 표적의 고유특성을 입력시켜 표적을 분류해내었고 분류된 표적정보를 다른 표적 변수들과 함께 다층 퍼셉트론에 입력하여 해당 표적에 맞는 위협도 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두 가지 시나리오상에서 무작위로 설정된 불확실 표적들을 인공신경망에 훈련시켰고, 훈련된 인공신경망에 시험용 표적을 입력하여 산출되는 위협도 값으로 제안한 기술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사이버보안 위협 변화에 따른 취약점 분석 방안

  • 민병길;안우근;서정택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12
    • /
    • 2014
  • 각종 악성코드와 취약점이 하루가 다르게 출현하고 있다. 주기적인 취약점 분석 평가는 새로운 사이버보안 위협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지속적으로 사이버보안을 강화하는 중요한 활동이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폰 이용 확산에 따른 모바일 보안위협 증가와 기반시설 제어시스템에 대한 보안위협 증가는 기존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의 구조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테더링과 같은 모바일 보안위협에 따른 취약점 분석 평가 시의 고려사항과 시스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분석 절차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BYOD를 사용한 모바일 인터넷 사용은 내 외부 네트워크 구분을 무의미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침입경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제어시스템과 같이 높은 가용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유휴시간 점검, 백업 시스템 점검, 테스트 베드 등을 사용한 취약점 점검 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