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 식별

Search Result 36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Risk Management Framework based on internal viewpoints for SI Project (SI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내부관리 관점의 위험관리프레임워크)

  • Lee, Ju-Hee;Kung, Han-Kyong;Back, Sang-Gi;Yang, Dae-Chul;Jang, Song-Bong;Choi, Sung-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320-323
    • /
    • 2008
  • 많은 기업의 정보화 프로젝트가 계획된 예산과 기한 내에 완수하지 못하고, 폐지되거나 당초 예상된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정보화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실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잠재된 위험을 식별하고, 식별된 위험요인을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 사업 중 시스템통합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관리 할 수 있는 기반을 제안하고자 한다.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는 이해당사자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위험요인을 점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함으로써 각 이해당사자들의 요구에 맞게 SI 프로젝트의 위험에 대응하여 정보화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높이는 데 이바지 할 수 있다.

A Risk Management System Design for Public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공공부문 정보화 사업을 위한 위험관리 시스템 설계)

  • Lee, In-Pyo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292-295
    • /
    • 2008
  •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정보화사업 추진 시 발생되는 다양한 위험에 대해 발주자 입장의 의사결정자, 관리자 및 개발자 등의 세분화된 관점을 정의한다. 이를 기반으로 위험식별과 위험대응, 위험대응과 정보축적을 하나의 흐름으로 관리하여 고품질의 정보가 축적되고 정보 그 자체가 자산화 되어 재활용되는 폐루프 시스템(Closed Loop System)을 구축함으로써, 정보화 사업에 발생되는 많은 위험 요인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보인프라를 구축하고 축적 및 공유하여 많은 위험요인에 대해 제한된 정보자원으로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한 정보화 사업에서의 위험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 Study on the Hazard Identifi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A-SMGCS (A-SMGCS 구현을 위한 위험요소 식별에 대한 연구)

  • Hong, Seung-Beom;Choi, Seung-Hoon;Choi, Youn-Chul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9 no.1
    • /
    • pp.41-47
    • /
    • 2015
  • Recently, it is actively under study for the implementation of advance surface movement ground control systems (A-SMGCS) level IV in Korea. To ensure the safety of the A-SMGCS system needs the safety assessment, and Eurocontrol is encouraged to perform the functional hazard assessment, preliminary system safety assessment, and system safety assessment to the safety assessment of A-SMGCS. In this paper, we identify the hazard of A-SMGCS through a functional hazard assessment. Therefore, we will identify 29 types of hazard for the A-SMGCS level IV and serve as important data to evaluate the severity of each hazard.

OCTAVE Allegro 위험 평가 방법론 연구 및 소개

  • Park, Jun-Yong;Lim, Dae-Woon
    • Review of KIISC
    • /
    • v.21 no.6
    • /
    • pp.67-72
    • /
    • 2011
  • 카네기멜론 대학의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는 개인 의료 정보의 보안을 규정한 HIPP A(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의 조항을 미 국방부(DoD)가 제청하면서 직면하게 된 보안 준수의 난항을 해결하기 위해서 TATRC(Telemedicine and Advanced Technology Research Center)와 공동으로 자산 식별 및 정보보호 위험평가를 위한 방법론인 OCTAVE를 개발하였다. 이후 조직의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험의 내성을 높이기 위한 질적 위험평가 기준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통해 조직의 중요한 자산 및 잠재적 위협과 취약점을 식별하는 위험평가 방법으로 발전하였고, 2005년에는 100명이하의 소규모 조직에 적합한 OCTAVE-S가 발표되었다. 오늘날 급변하고 있는 IT 환경에서 기존의 OCTAVE 보다 간소화되고 최적화된 위험평가 프로세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2007년에 OCTAVE Allegro 프레임워크가 개발되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OCTAVE 방법론의 주요 특정을 살펴보고, 정보자산 중심의 OCTAVE Allegro 위험 평가 방법론을 소개한다.

해양사고 후 사고대응 및 사건전개 시나리오 식별 및 분석

  • Na, Seong;Gang, Min-Seok;Choe, Hyeok-Jin;Seo, Yu-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69-71
    • /
    • 2015
  • 해양사고는 발생 직후의 적절한 초기대응 여부에 따라 사고 이후 다양한 사건 전개 양상을 보이게 되며, 이러한, 해양사고 발생 시 초기 대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생한 해양사고의 속성을 명확하게 파악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얼마나 빨리 사고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고 대응을 위하여 필요한 장비 / 물자를 조달할 수 있느냐에 따라 신속한 사고 대응이 될 수도,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이렇듯, 효과적이고 신속한 초기 대응을 위해서는 선박 종류 및 사고 종류 별 다양한 조건의 선박 사고에 대한 정보를 갖춘 사고 대응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 발생 이후 전개되는 시나리오들에 대한 위험도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해양사고 대응 사례 조사를 통하여 해양사고 대응 시 필요한 정보들을 식별하고, 사고 대응 시 사용되거나 고려되었던 대응 방법들을 식별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식별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유조선, 컨테이너선 및 여객선에 대한 해양사고 발생 후 사건전개 시나리오들을 식별 및 분석하였다.

  • PDF

KRNIC의 다중 전파식별자 지원 검색서비스 도입 방안

  • Kim, Won;Na, Jung-Jung;Im, Hyun-D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6
    • /
    • pp.53-66
    • /
    • 2004
  • 1935년 미국에서 레이더에 관한 연구 결과로 처음으로 등장한 전파식별(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접근하는 비행물체의 피아식별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1960대 후반에 들어와서 핵과 같은 위험 물질을 감시하기 위하여 전파식별에 대한 연구가 미국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로부터 얼마후인 1972년 Schlage Electronics(현재 Westinghouse)사에서 군용 섬유유리 에폭시카드에 삽입되는 전파식별 카드가 개발되었다. 군사목적 위주로 진행되던 전파식별 관련 기술개발은 1977년에 이르러 Los Alamos Scientific 연구소에 의해 공공부분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중략)

A Study on Analysis Risk Factors to Based-Risk Testing In 3th Party Test Organization (위험기반 테스트에서 제 3자 시험기관의 위험요소 분석 연구)

  • Lee Sang-Bok;Kim Ki-Du;Park Jeong-Hwan;Shin Seck-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45-248
    • /
    • 2006
  • 본 논문은 제 3자 시험 기관의 시험 인증 서비스에 내포한 잠재적 문제점을 유발시키는 위험요소를 식별 및 분석한다. 식별 및 분석한 위험요소를 기반으로 테스트 계획 및 수행하여 이전 보다 신뢰성 높아진 시험 인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험요소를 제거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개선 활동을 간략하게 제시하고,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기술한다.

  • PDF

AIS 항적 데이터 기반 선박의 충돌 위험 영역 예측에 관한 기초 연구

  • 박정홍;최진우;김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81-18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원격 관제 및 제어하는 과정에서 원격 운항자에게 사전 충돌 위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선박자동식별시스템(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의 항적 정보를 토대로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상에 잠재된 충돌 위험 영역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경로 상에 근접한 타선의 AIS 정보에는 기본적으로 선박의 위치, 속도, 침로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일정 시간 동안 운항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표적 충돌 위험 지수인 최근접점(CPA, Closest Point of Approach)과 최근접점 거리(DCPA, Distance to CPA) 정보를 활용하여 충돌 위험 영역을 2차원 공간상에서 예측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실제 AIS 항적 데이터를 활용한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초기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 충돌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나성;이동준;김선진;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19-221
    • /
    • 2023
  • 첨단 디지털기술이 적용된 자율운항선박과 같이 인간의 개입을 획기적으로 줄인 첨단 시스템의 운용은, 대상 시스템의 운용 중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안전한 시스템 운용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자율운항선박의 충돌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자율운항선박 충돌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도분석 작업 수행 내용과 실시간 충돌 위험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검토한 간략한 위험도 모델 개념들을 제시하고 있다.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항해, 통신,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충돌 사고 빈도 산출을 위한 Fault Tree Analysis와 충돌 사고로 인한 영향 산출을 위한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Fault Tree와 Event Tree의 입력값 중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였고, 각 변수들에 입력값은 자율운항선박의 운항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상 데이터를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식별된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한 자율운항선박 충돌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Data Context-Based Risk Measurement Method for Pseudonymized Information Processing

  • Kim, Dong-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7 no.6
    • /
    • pp.53-63
    • /
    • 2022
  • Recently, as digital transformatio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ccelerates, data to improve individual quality of life is being used in large quantities, and more reinforced non-identification processing procedures are required to utilize the most valuable personal information among data. In Korea, procedures for de-identification measures are presented through amendments to laws and guidelines, but there is no methodology to measure the level of de-identification in the field due to ambiguous processing standards and subjective risk measurement methods.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policy and guidelines related to de-identification measures proposed at home and abroad to derive complementary points, suggests a data context-based risk measurement method centered on pseudonymized information processing, and verifies its validity.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hrough Delphi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FGI),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d for the proposed methodology and the validity of the indicators were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