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 산정

Search Result 92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Estimating Scour Safety of Levee for Effective River Management (효율적 하천관리를 위한 하천제방 세굴안전도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Sooyoung;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83-483
    • /
    • 2017
  • 하천제방의 설계 시 침식 및 세굴에 대한 보호를 위해 호안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확실한 설계기준이 없는 실정이며 호안이 설치된 이후에도 호안에 대한 관리나 안전성 검사가 수행되지 않고 있다. 홍수로 인해 제방이나 호안의 손실이 발생하면 피해복구를 실시하는 수준에서 하천의 제방관리가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흐름에 대한 호안의 안전도를 산정하여 도상에 표시해 제방의 유지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세굴안전도맵을 제시하였다. 세굴안전도는 호안의 형식별로 하천흐름에 대한 외력과 호안자체의 저항을 나타내는 내력을 비로 산정하였으며 매우안전, 안전, 보통, 위험, 매우위험의 5단계로 평가하였다. 남강유역을 시범유역으로 하여 남강댐 하류부터 낙동강 합류부까지의 모든 제방에 대해서 안전도를 평가하였다. 우선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제방호안에 대한 설계도서와 현장시공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호안의 확인이 어렵거나 호안설치가 되지 않는 제방에 대해서는 무호안 또는 식생호안으로 가정하였다. 산정된 하천제방 세굴안전도를 GIS를 활용하여 맵으로 도시한 결과 만곡부 또는 합류부에서의 세굴안전도가 낮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산정된 하천제방 세굴안전도 맵을 하천관리에 활용한다면 직관적으로 위험제방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고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하천관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ltimate Limit State Risk Assessment of Penta Pod Suction Bucket Support Structures for Offshore Wind Turbine due to Scour (세굴에 기인한 해상풍력터빈 펜타팟 석션버켓 지지구조물의 극한한계상태 위험도 평가)

  • Kim, Young Jin;Vu, Ngo Duc;Kim, Dong Hyaw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3 no.6
    • /
    • pp.374-382
    • /
    • 2021
  • The scour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for ultimate limit state of newly developed penta pod suction bucket support structures for a 5.5 MW offshore wind turbine. The hazard was found by using an empirical formula for scour depth suitable for considering marin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significant wave height, significant wave period, and current velocity. The scour fragility curve was calculated by using allowable bearing capacity criteria of suction foundation. The scour risk was assessed by combining the scour hazard and the scour fragility.

Flash flood risk indicator for ungauged area of Seoul metropolitan region (수도권 미계측지역에 대한 돌발홍수위험도 산정 연구)

  • Lee, Byong 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4-94
    • /
    • 2016
  • 돌발홍수는 수십 $km^2$ 이하의 유역에서 강우가 발생한 후 6시간 이내의 단시간에 홍수징후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돌발홍수를 잘 예측하기 위해서는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집중 호우를 잘 예측해야 하며 유역내 공간적인 수문반응해석을 통해 돌발홍수를 예측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공간적인 수문반응을 잘 모의하기 위해 TOPLATS 지표해석모형을 이용하였다. TOPLATS(TOPMODEL based Land Atmosphere Transfer Scheme) 모형은 물수지와 에너지수지를 통해 단위격자에 대한 실제증발산량, 토양수분량, 지하수면깊이, 지표유출량, 잠열, 현열, 지열, 순복사량 등을 모의하며 소유역단위로 지하수면깊이를 재분포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돌발홍수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 실제 돌발홍수 피해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피해지역과 대응되는 격자 수문성분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돌발홍수 위험도 모형을 산정하였다. 대상지역은 수도권 전체지역을 모의하기 위해 한강, 임진강, 안성천 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수도권 지역은 약 11,930 km2이며 2009~2012년동안 총 38건의 돌발홍수 피해사례가 신고되었다. 기상자료는 기상청 AWS와 ASOS 시단위 강우, 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조, 기압자료를 이용하였다. 돌발홍수 피해사례 38건에 대해 대응되는 모의격자의 수문성분을 분석하였으며 27(71%)에서 구조요청시점에 대해 강우량, 지표유출량, 토양수분량, 지하수면깊이가 적절하게 모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강우조건에 따른 돌발홍수 위험도는 구조요청시점 기준 선행시간 4~6시간까지 71~87%, 구조요청시점으로 한정된 0시간에서는 42~52%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표해석모델을 이용한 격자 수문성분과 통계적 돌발홍수지수모형으로부터 산정된 돌발홍수 위험도는 산지 미계측지역에 대한 돌발홍수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Korea Soil erosion yields and Soil loss hazard zone (한국토양유실량 및 토양유실위험지역 분석)

  • Kim, Joo-Hun;Kim, Kyeong-Tak;Lee, Hyo-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88-692
    • /
    • 2009
  • 본 연구는 전국 토양유실분포도와 토양유실위험 등급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토양유실분포도는 RUSLE를 이용하였고, 강우-유출 침식성인자(R)는 기상청의 59개 기상관측소의 1977년부터 2006년까지(30년간)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빈도분석은 FARD를 이용하였고, 전국 R인자를 빈도별로 산정하였다. 토양유실량 분석결과 토지피복별로 초지, 나지 밭의 크기 순서로 토양유실이 발생하고, 우리나라 전체 평균은 약 17.2 ton/ha 정도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년빈도 강우특성에서 전체 토양유실량은 15,000여 톤의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지피복 구분에서는 논, 산림, 밭작물 재배지역에서 많은 토양유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양침유실 위험 등급도 작성은 토양유실위험 등급을 5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토양유실위험 2등급인 보통지역이 전체 토양유실량 위험지역의 78.2%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심각한 토양유실 위험지역은 분석지역 전체 중에서 약 1.1%인 $1,038km^2$정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지피복별로 심각한 토양유실 위험지역은 나지, 초지, 밭작물 재배지역의 순으로 각각 $93.5km^2$, $168.1km^2$, $327.4km^2$ 정도가 심각한 등급의 토양유실 위험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e study of Flood Intensity Assessment (범람강도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Hyung-Jun;Lee, Jin-Woo;Yoon, Kwang-Seok;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58.1-58.1
    • /
    • 2010
  • 우리나라는 해마다 반복되는 홍수에 의하여 인적 물적 피해를 입고있는 대표적인 나라이다. 이러한 홍수에 의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비구조물적 대책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수치모의를 이용하여 홍수위험도를 산정하고 지형도와 중첩하여 홍수피해정보를 제공하는 홍수지도를 제작하는 방법이 대표적인 비구조물적 대책이다. 홍수지도를 통하여 제공되는 홍수피해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홍수위험도를 적정히 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위험도 산정에 착용될 수 있는 홍수위험도를 각각 다른 방법으로 산정하고, 산출된 홍수위험도를 비교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의 결과와 비교하여 수치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수심과 유속의 함수로 홍수위험도를 산정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heavy rainfall risk impact evaluation matrix (호우위험영향평가 매트릭스 개발에 관한 연구)

  • Jung, Seung Kwon;Kim, Byung 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2
    • /
    • pp.125-132
    • /
    • 2019
  •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heavy rainfall risk impact matrix, which can be us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heavy rainfall risk, and propose a method to evaluate the impact of heavy rainfall risk. We evaluated the heavy rainfall risk impact for each receptor (Residential, Transport, Utility) on Sadang-dong using the heavy rainfall event on July 27, 2011. For this purpose, the potential risk impact was calculated by combining the impact level and the rainfall depth based on the grid. Heavy Rainfall Risk Impact was calculated by combining with Likelihood to predict the heavy rainfall impact, and the degree of heavy rainfall in the Sadang-dong area was analyzed and presented based on grid.

Risk of Flood Damage Potential and Design Frequency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도와 기왕최대강수량을 이용한 설계빈도의 연계)

  • Park, Seok Geun;Lee, Keon Haeng;Kyung, Min Soo;Kim, Hung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B
    • /
    • pp.489-499
    • /
    • 2006
  • The Potential Flood Damage (PFD) is widely used for representing the degree of potential of flood damage. However, this cannot be related with the design frequency of river basin and so we have difficulty in the use of water resources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Potential Risk for Flood Damage Occurrence (PRFD) was introduced and estimated, which can be related to the design frequency. The PRFD has three important elements of hazard, exposure, and vulnerability. The hazard means a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flood event, the exposure represents the degree that the property is exposed in the flood hazard, and the vulnerability represents the degree of weakness of the measures for flood prevention. Those elements were devided into some sub-elements. The hazard is explained by the frequency based rainfall, the exposure has two sub-elements which are population density and official land price, and the vulnerability has two sub-elements which are undevelopedness index and ability of flood defence. Each sub-elements are estimated and the estimated values are rearranged in the range of 0 to 10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s also applied to determine weighting coefficients in the equation of PRFD. The PRFD for the Anyang river basin and the design frequency are estimated by using the maximum rainfall. The existing design frequency for Anyang river basin is in the range of 50 to 200. And the design frequency estimation result of PRFD of this study is in the range of 110 to 130. Therefore, the develope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PRFD and the design frequency for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are used and the method for the watershed and the river channel are to be applied in the future study.

From Security Requirements to a Security Risk Analysis Method (보안 요구사항 기반의 보안 위험도 분석 기법)

  • Dong-hyun Lee;Myoung-rak Lee;Hoh 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574-577
    • /
    • 2008
  •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지속적으로 보안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의 초기 단계인 요구사항 분석단계에서 보안 요구사항을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 대한 투자가 소프트웨어 개발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보안 요구사항을 추출하는 기법에 대해서는 여러 방면으로 연구가 시작되었으나, 보안 요구사항을 토대로 향후 소프트웨어 개발과정에서의 보안관련 위험도를 산정하여 보안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기법은 아직 연구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추출된 보안 요구사항을 가지고 소프트웨어 보안에 대한 위험도를 산정하여 투자 비용의 우선순위를 산정하는 절차에 대해 제안한다.

The Estimation of Cold Wave Risk Index for Flow Measurement (유량측정을 위한 한파위험지수 산정)

  • Lee, Ki Sung;Song, Jae Hyun;Jang, Bok J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77-277
    • /
    • 2019
  • 하천 유량측정은 대부분의 업무가 야외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사고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특히. 교통, 수상안전 사고 등 사회적 안전사고에 대해서는 큰 노력을 기울여 대비하고 있으나, 폭염, 한파 등 자연적 안전사고에 대해서는 아직 대비가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겨울철 한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한파위험지수(CWRI)를 PSR 구조체계를 통해 제안하였다, 압력, 상태, 반응 지수 산정을 위해 각 요인에 대한 세부지표를 선정하고, 각 지수에 대한 가중치는 엔트로피 방법을 이용하여 한파위험지수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전국 14개 광역시도 중 서울특별시가 가장 높고 경상남도가 가장 낮은 한파 위험지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겨울철 유량측정 시 측정 인원에 대한 안전 계획을 수립하여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높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