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판단

Search Result 1,94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flood risk evaluation standards by Local Authorities (행정구역 홍수위험 판단기준 설정 방안 연구)

  • CHoi, Cheon Kyu;Kim, Kyung Tak;Choi, Y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3-103
    • /
    • 2022
  •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의 영향에 의해 국지적으로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홍수로 인해지역적으로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사전에 홍수로 인한 피해에 대비하고자 기상청에서는 호우특보를 발령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는 하천을 중심으로 홍수특보를 발령하고 있다. 그러나 호우특보는 전국을 동일한 판단기준을 활용하고 있으며, 홍수특보는 하천 중심으로 홍수에 대한 위험을 예보를 제공하여 사전에 행정구역에서 홍수에 대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방법으로 과거 홍수피해 자료를 활용하여 홍수위험을 평가하고, 이를 활용하여 재난인자인 강우량과 홍수량에 대한 판단 기준을 행정구역별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홍수위험 판단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서 과거 홍수피해 사상별 강우량, 홍수피해액, 홍수피해 현상 등을 조사하였으며, 홍수피해 현상은 각종 기사 및 뉴스 등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강우량 기준은 행정구역 내 존재하는 강우관측소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홍수량 기준 적용 지점은 담당 공무원의 의견과 과거 홍수피해 이력이 있는 지역에 대해 설정하였다. 각 홍수위험 판단기준은 위험정도에 따라 4개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홍수위험 판단기준은 사전에 홍수위험을 인지하고 대비하기 위한 대응단계 설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Risk Criteria of Vehicles Driven on Highway under Strong Wind Condition (강풍 발생시 고속도로 주행차량의 위험도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Kim, Hyun-Gi;Kim, Kyung-Hun;Ma, Seok-Oh;Lee, Soo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821-824
    • /
    • 2009
  • 고속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에 강풍이 작용할 경우 차량의 주행안정성 저하와 운전자의 상황에 따른 치명적인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최근에 건설되거나 추진 중인 고속도로는 교량과 터널의 연속적인 조합으로 강풍발생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적극적인 강풍저감 대책이 필요하다. 효과적인 방풍 시설 설치나 사전예고 시스템의 도입을 위해서는 차량의 동역학적 거동 분석, 주행 중인 차량의 위험도 판단기준 연구, 강풍위험지역의 정확한 풍속 추정기법 연구, 지능화된 방풍벽 개발, 방풍시설 설치판단 기준 제시, 합리적인 차량 속도 규제정책 등의 연구 개발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풍 발생 구간을 주행하는 차량의 동역학적 거동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존에 제안된 위험도 판단기준의 합리성을 제고하였으며, 운전자의 상황을 고려한 현실적인 차량주행위험도 판단기준 제시를 목표로 하였다.

  • PDF

Study of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using DGPS/RTK (DGPS/RTK를 이용한 위험운전 판단장치 성능검증에 관한 연구)

  • Oh, JuTaek;Lee, SangY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3D
    • /
    • pp.303-311
    • /
    • 2010
  • There have been various forms of systems such as a digital speedometer or a black box etc. to meet the social requirement for reducing traffic accidents and safe driving. However that systems are based on after-accident vehicle data, there is limit to prevent the accident before. So in our previous research, by storing, analyzing the Vehicle-dynamic information coming from driver's behavior, we are developing the decision-device which could provide driver with Alerting-Information in real-time to enhance the driver's safety drive. but the performance valuation is not yet executed.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positional recognition system by using the DGPS for pre-developed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The result of test analyzed with the same that the aggregated vehicle dynamics data in DGPS and dangerous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If the performance of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is verified by precisely positional recognition system, the risky driving management of vehicle would be effected.

Effects of Numerical Formats and Frequency ranges on Judgment of Risk and Inference in the Bayesian InferenceTask (숫자양식과 빈도범위가 베이스 추론 과제에서 위험판단과 추론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Ju;Lee, Young-Ai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0 no.3
    • /
    • pp.335-355
    • /
    • 2009
  • We examined risk judgment and the accuracy of inference based on two kinds of probabilities in a Bayesian inference task: the death probability from a disease (base rates) and the probability of having a disease with positive results in the screening test (posterior probabilities). Risk information were presented in either a probability or a frequency format. In Study 1, we found a numerical format effect for both base rate and posterior probability. Participants rated information as riskier and inferred more accurately in the frequency condition than in the probability condition for both base rate and posterior probability. However, there was no frequency range effect, which suggested that the ranges of frequency format did not influence risk ratings.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analytic thought system influences risk ratings, we compared the ratings of a computation condition and those of a no-computation condition and still found the numerical format effect in computation condition. In Study 2, we examined the numerical format effect and frequency range effect in a high and a low probability condition and found the numerical format effect at each probability level. This result suggests that people feel riskier in the frequency format than in the probability format regardless of the base rates and the posterior probability. We also found a frequency range effect only for the low base rate condition. Our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dual process theories.

  • PDF

A Study on the Criteria for the Urgent Weather Information (기상긴급정보의 판단 기준에 관한 연구)

  • Huh, Mo-Rang;Oh, Jai-Ho;Moon, Suin;Lee Byung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51-5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이 발표하는 기상긴급정보의 판단기준을 정립하기 위해 호우, 강풍의 기상관측 극값을 산출하고 현재 기상특보의 기준과 비교하였다. 최근 11년간의 기상극값의 분포에서 호우 주의보와 강풍 주의보는 관측된 219개 지점의 상위 0.5%에 해당하는 극값과 유의했다. 향후 본 논문에서 제시간 극값만으로 기상기급상황을 판단하는 현재의 특보 운영체계에서 지역적인 위험성의 노출과 취약성을 고려한 위험 판단의 기준을 제시하는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또,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기상긴급판단의 기준은 심각한 피해가 예상되는 악기상 현상이나, 시급한 판단이 필요한 기상현상을 판단하여 대국민에게 위험기상의 심각성과 시급한 경보를 전파하는데 활용하여 국민을 위험기상에 대한 대응 역량을 높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urveillance System of Multiple Object's Dangerous Behaviors (다중 객체의 위험 행동 감시 시스템 연구)

  • Shim, Young-Bin;Park, Hwa-Ji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4 no.4
    • /
    • pp.455-462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detection system that, by determining whether a dangerous act is being carried out among other pedestrians in the images captured using CCTV, provides pre-warnings and establishes emergency measures.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a dangerous act, after setting zones of interest and danger zones within those zones of interest, the danger level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range of encroachment upon detecting an object. Especially, this research aims at detecting a suicide jump from the bridge and extends to detecting a dangerous act among pedestrians from detecting a dangerous act of only one person with no one in the previous research. This system classifies the status into 3 levels as safe, alert, and dang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part being over the bridge railing. If a situation is deemed as warning-worthy and emergency, the integrated control center is immediately alerted to facilitate prevention in advance.

Development of Alarm Service Using Doppler Radar Sensor (도플러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알람 서비스 개발)

  • Shin, Hyun-Jun;Choi, Doo-Hyun;Oh, Chang-He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3
    • /
    • pp.623-628
    • /
    • 2015
  • The paper produced an application that used Doppler radar sensor to prevent bicycle related accidents. Doppler radar sensor detects any approaching object and gives warning to the user through the danger detection algorithm of the application. The danger detection algorithm determines danger by comparing relative speed using the sensed approaching object and Doppler frequency. It also sends SMS to the preset contact to let him/her be informed of the critical situation in which the user lies when an accident happens. The experiment result showed that the algorithm judged danger by detecting the approach status and speed as well as sent out SMS to the set contact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was an accident.

Analysis of occurrence of red water or turbid water in real water distribution system (실제 상수관망의 적수/탁수발생 위험인자 도출 및 위험관 분석)

  • Han, Jin Woo;Kim, Hyeong Gi;Kwon, Hyuk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91-391
    • /
    • 2022
  • 상수도관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노후화가 진행되고 탁수 및 적수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상수도관 중 경과년수를 초과한 노후 상수도관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하지만 전체 상수도관을 교체하는 것은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므로 상수도관의 적수 및 탁수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상수도관의 교체 또는 개량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개선사업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수 및 탁수발생을 일으키는 인자들을 도출하였다. 먼저,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로 분류하여 적수와 탁수의 발생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퇴적위험도의 인자에는 평균유속지수, 정체지수, 관경지수, 경과년지수, 그리고 관길이지수를 적용하였고 박리위험도의 인자에는 유속차이지수, 유향변화지수, 영향범위지수, 관길이지수, 그리고 수충격지수를 적용하여 위험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용 지역은 인구 85만명의 중도시이며 4개동에 걸쳐서 위험도분석을 진행하였고 퇴적위험도가 높은 관과 박리위험도가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또한 결과분석을 통해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 모두 높은 관을 선정할 수 있었다.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인자들 중에서 유속 관련지수의 경우 박리위험도에서는 유속이 빠를수록 위험도가 높고 퇴적위험도에서는 느릴수록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박리와 퇴적위험도가 모두 높다는 것은 수질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은 관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같은 지역(동)에서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최근 개발된 경관년수가 오래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와 퇴적위험도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3배 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과년수가 오래된 지역의 경우는 박리위험도의 경우, 가장 높은 관의 박리위험도가 가장 낮은 위험도와 7배 이상이 차이가 났고 퇴적위험도의 경우 약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과년수에 의한 차이뿐만 아니라 인구감소나 인구고령화로 인해 낮 시간 수도사용량이 매주 적어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상수도의 적수 및 탁수 발생 위험도가 높은 관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감독을 진행한다면 상수도 수질문제로 인한 민원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Mountain Trail Hazard areas Based on Watershed Scale (유역단위 산지탐방로 위험지역 분석)

  • Oh, Chae Yeon;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80-280
    • /
    • 2015
  • 최근 봄철을 맞아 산을 찾는 등산객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산지재해 중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나 토석류는 산을 찾는 등산객에게도 많은 안전사고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아직까지 탐방로의 위험성과 안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 국립공원 탐방로를 중심으로 재해발생 이력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분석에 필요한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설악산 전체 탐방로를 유역단위로 분할하여 위험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탐방로를 대상으로 GIS기반의 확률론적 분석과 SINMAP을 이용하여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일부 탐방로 구간에서 위험성이 높게 나타났다. 탐방로 위험구간을 유역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탐방로 전체에서 유역단위로 위험요소를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ituation Awareness Tests for Commercial Drivers (사업용 운전자를 위한 상황인식 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 Lee, Gyeong-Su;Gang, Ui-Jin;Park, Sang-Hyeok;Jeong, Hye-Seung;Lee, Yong-Chan;Son, Yeong-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9 no.6
    • /
    • pp.25-37
    • /
    • 2011
  •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commercial drivers' situation awareness ability is related to their frequency and magnitude of caused accidents and penalty points.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drivers' situation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capacities, two tests named 'situation awareness test' and 'hazard perception test' were developed. The tests were based on the data from 299 commercial drivers (test drivers) using a driving simulator. The outcome of drivers' performance on situation awareness and hazard perception tests was designed to be categorized into 5 grades, classifying the best as grade 1 and the worst as grade 5. As the result, low grades on situation awareness test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cumulated penalty points, frequency of accidents and safety index. Grades on hazard perception test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cident frequency and safety indices. This suggests situation awareness ability of commercial driver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raffic violations and accident causing tend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