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취약성평가

Search Result 31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ssessment of Local Social Vulnerability in Facing Merapi Volcanic Hazard (메라피 화산재해에 대한 지역단위의 사회적 취약성 평가)

  • Lee, Sungsu;Maharani, Yohana Noradika;Yi, Waon-H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7 no.6
    • /
    • pp.485-492
    • /
    • 2014
  • In regards to natural disasters, vulnerability analysis is a component of the disaster risk analysis with one of its objectives as a basis for planning priority setting activities. The volcano eruption raises many casualties and property in the surrounding area, especially when the volcano located in densely populated areas. Volcanic eruptions cannot be prevented, but the risk and vulnerability can be reduced which involve careful planning and preparations that anticipate a future crisis. The social vulnerability as social inequalities with those social factors can influence the susceptibility of various groups to harm and govern their ability to respo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methods of Social Vulnerability Index (SoVI) to measure the socially created vulnerability of the people living in Merapi proximal hamlets in Central Java, Indonesia that refers to the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that affect the resilience of communities in order to describe and understand the social burdens of risk. Social vulnerability captured here, using a qualitative survey based-data such as interviews to local people with random ages and background to capture the answer vary, also interviews to stakeholders to help define social vulnerability variables. The paper concludes that by constructing the vulnerability index for the hamlets, the study reveals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ion and causes of social vulnerability. The analysis using SoVI confirms that this method works well in ensuring that positive values indicating high social vulnerability and vice versa.

Development of Risk Prediction Index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관로 위험도 예측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

  • Ye Ji Choi;Han Na Jung;Dong Woo J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2-402
    • /
    • 2023
  • 상수관망은 충분한 양질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사회기반 시설물이다. 상수관로의 노후화, 누수 등은 수도 사고 발생의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수돗물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를 감소시킨다. 수돗물 공급 전 과정을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과 결합한 지능형 상수도관 예측 및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수도 수질 사고를 조기에 감지하고 사전에 취약지점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수관로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와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관로의 위험도 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상수관로 위험도와 관련된 평가 인자를 선정하고 분류하였으며, 각 인자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상수도 위험도 평가 항목에 대한 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인자를 정립하여 상수관로 위험도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지표의 현장 적용성과 실효성 검증을 위해 정량적인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고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대상 지역을 선정하였다. 문헌 자료의 평가항목들과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상수관로 위험도 평가 인자를 31개의 직접 인자와 5개의 간접 인자로 구분하였고, 인자별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직접 인자는 노후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노후도 평가 항목, 지역 특성을 반영한 토양 부식성 항목,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결과를 제공하는 실시간 계측 항목, 직접적인 수질 결과를 제공하는 정수장 수질 항목, 상수관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자산관리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추후, 위험도 평가 운용을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면 상수도 사고 위험에 대한 예방 및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Layered Weight Based Vulnerability Impact Assessment Scoring System (계층적 가중 기반의 취약점 영향성 평가 스코어링 시스템에 대한 연구)

  • Kim, Youngjong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8 no.7
    • /
    • pp.177-180
    • /
    • 2019
  • A typical vulnerability scoring system is Common Vulnerability Scoring System(CVSS). However, since CVSS does not differentiate among the individual vulnerability impact of the asset and give higher priority for the more important assets, it is impossible to respond effectively and quickly to high-risk vulnerabilities on large systems. We propose a Layered weight based Vulnerability impact assessment Scoring System which can hierarchically group the importance of assets and weight the number of layers and the number of assets to effectively manage the impact of vulnerabilities on a per asset basis.

A Study on Five Levels of Security Risk Assessment Model Design for Ensuring the u-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u-헬스케어시스템의 정보보안 체계 확보를 위한 5단계 보안위험도 평가모델 설계)

  • Noh, Si Choo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3 no.4
    • /
    • pp.11-17
    • /
    • 2013
  • All u-Health system has security vulnerabilities. This vulnerability locally(local) or network(network) is on the potential risk. Smart environment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Ad-hoc networking,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s, u-health are major factor to increase the security vulnerability. u-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s user terminal domain interval, interval public network infrastructure, networking section, the intranet are divided into sections. Health information systems by separating domain specific reason to assess vulnerability vulnerability countermeasure for each domain are different. u-Healthcare System 5 layers of security risk assessment system for domain-specific security vulnerability diagnosis system designed to take the security measures are needed. If you use this proposed model that has been conducted so far vaguely USN-based health information network security vulnerabilities diagnostic measures can be done more systematically provide a model.

Establishing Evaluation Indicators and Standards for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looding Damage to Environmental Facilities (환경시설물의 침수피해 취약성 평가를 위한 기준 수립 및 평가지표 도출)

  • Roh, Jaedeok;Han, Jihee;Lee, Cha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4-214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재난이 빈번히 대형화되고 있으며, 하수처리장과 같은 대형시설물도 자연재해의 위험성이 커지고 침수피해를 받을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최근까지 청주 산단 폐수종말처리장, 평택 장당 하수처리장, 광주/곤지암 하수처리장 등이 폭우로 침수돼 가동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하수처리장이 침수될 경우 시설 자체의 1차적 피해도 문제가 되지만, 처리되지 못한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2차 피해가 더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집중호우 시 각 시설의 취약성을 사전 평가하여 침수 피해를 대비하고, 평가 내용에 따라 침수 피해 사전·사후 대응을 위한 체계, 방법론을 구축, 제시함으로써 침수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침수피해의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는 시설물의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턱의 높이, 하수처리시설 인근 제방의 유무, 구조적 홍수방어시설 유무, 침수 발생 시 가장 취약한 전력 설비 시설의 위치 및 피해 대책 등 실질적으로 측정 가능한 구조적 요소를 고려하며, 재난대응 매뉴얼 정비, 사전 재난훈련 수행 등 비 구조적인 측면으로도 접근하여 취약성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ologies of Urban Fire Risk in Korea (우리나라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구축에 관한 연구)

  • Koo, In-Hyuk;Shin, Yi-Chul;Kwon, Young-Jin;Hayashi, Yoshihiko;Ohmiya, Yoshifum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8-52
    • /
    • 2010
  • 최근 우리나라는 건축물화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진으로 인한 화재 위험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화재는 화재경계지구 등 화재에 취약한 도심지에서 발생 시 대규모 시가지 화재로 확대될 위험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위험성 평가 및 대응책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의 분석 및 적용성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도시화재 위험성 평가기법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ssessing Vulnerability to Flood Disaster in Jeju area (제주지역 침수재해 취약성 평가)

  • Park, Cha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8-338
    • /
    • 2021
  • 우리나라 최남단에 위치한 광역자치단체인 제주특별자치도는 태풍의 길목에 위치한 지정학적 특성, 한라산 영향에 의한 호우의 산지효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상승 가속화 등에 의해 재해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또한, 연안지역에 위치한 주거지, 숙박시설 입지 특성과 더불어 해안가의 개발수요 증가에 따라 재해취약성도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침수재해 취약성을 평가하고, 취약지역 특성을 파악한다. 그 결과, 도 내의 취약지역 분포와 취약등급에 따른 지역적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취약지역 여건에 맞는 도시계획적 방재대책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기후변화 심화로 인한 호우 패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방재시설이 필요함은 물론, 취약지역에 적합한 도시계획적 관점의 관리대책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Assessment of Extreme Wind Risk for Window Systems in Apartment Buildings Based on Probabilistic Model (확률 모형 기반의 아파트 창호 시스템 강풍 위험도 평가)

  • Ham, Hee Jung;Yun, Woo-Seok;Choi, Seung Hun;Lee, Sungsu;Kim, Ho-Jeong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8 no.6
    • /
    • pp.625-633
    • /
    • 2015
  • In this study, a coupled probabilistic framework is developed to assess wind risk on apartment buildings by using the convolution of wind hazard and fragility functions. In this framework, typhoon induced extreme wind is estimated by applying the developed Monte Carlo simulation model to the climatological data of typhoons affecting Korean peninsular from 1951 to 2013. The Monte Carlo simulation technique is also used to assess wind fragility function for 4 different damage states by comparing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of the window system's resistance performance and wind load. Wind hazard and fragility functions are modeled by the Weibull and lognormal probability distributions based on simulated wind speeds and failure probabilities. The modeled functions are convoluted to obtain the wind risk for the different damage levels. The developed probabilistic framework clearly shows that wind risk are influenced by various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errain and apartment building such as location of building, exposure category, topographic condition, roof angle, height of building, etc. The risk model presented in this paper can be used as tools to predict economic loss estimation and to establish wind risk mitigation plan for the existing building inventory.

Assessment of climate disaster vulnerability of Gangwon-do based on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 강원도 기후 재난취약성 평가)

  • Lee, Hyeon Ji;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5-335
    • /
    • 2022
  • 남한상세 기후변화 전망보고서(2021)는 2100년대 강원도 강수량이 현재보다 19% 증가하고, 평균기온이 현재보다 6.5℃ 상승할 것으로 공표했다. 강원도는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으로 분리돼 기후 차이가 분명하다. 기상청 ASOS 데이터(1986~2020)를 이용해 기후 특성을 확인한 결과 영동지역 강수량은 1,463mm, 평균기온은 10.5℃, 상대습도는 66%로 분석됐고, 영서지역 강수량은 1,307mm, 평균기온은 11℃, 상대습도는 68%로 분석됐다. 영동지역 강수량이 영서지역 강수량보다 약 156mm 더 많으며, 이는 영동지역에서 큰 규모의 우심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강원도 평년 우심 피해 현황을 살펴본 결과 영동지역은 5회(피해액: 62억 원), 영서지역은 24회(피해액: 62억원)가 발생했다. 이는 미래로 갈수록 더 심해질 것으로 판단되며, 이런 기상 재난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원도 기후 재난취약성을 평가했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 위험성, 기후변화 민감도,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를 활용해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선정했다. 기후변화 위험성 지표는 홍수(CWD, Rx5day, R30mm), 가뭄(CDD, SU, TX90p), 폭염(SU, TR, TN90p), 한파(ID, TX10p, FD)로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ETCCDI 지수에 적용했다. 기후변화 민감도와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는 국가통계포털, 강원통계정보, WAMIS에서 자료를 수집해 선정했다. 또한 재난취약성 지표를 4단계(Very Low, Low, High, Very High)로 구분했다. 홍수 취약성 평가 결과 2090년대 원주시, 춘천시, 횡성군이 Low에서 Very High로 단계가 격상됐다. 가뭄 취약성 평가 결과 2090년대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이 Very Low에서 Very High로 단계가 격상됐다.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 2090년대 삼척시, 태백시, 영월군이 Very Low에서 Very High로 단계가 격상됐다. 한파 취약성 평가 결과 삼척시, 태백시, 영월군이 High에서 Very Low로 단계가 격하됐다. 고로 강원도는 기후 재난취약성 평가 결과에 따른 미래 기후변화를 대비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복원력 관점 기후 재난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Designing Index for Assessing Structural Vulnerability of Supply Chain considering Risk Propagation (위험 전파 모형을 고려한 공급사슬의 구조적 취약성 평가 지표 설계)

  • Moon, Hyangki;Shin, KwangSup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2
    • /
    • pp.125-140
    • /
    • 2015
  • It is general that the impact of supply chain risk spread out to the whole network along the connected structure. Due to the risk propagation the probability to exposure a certain risk is affected by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isk factor but also network structure. It means that the structural connectivity among vertices should be considered while designing supply chain network in order to minimize disruption cost. In this research, the betweenness centrality has been utilized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The betweenness centrality is interpreted as the index which can express both the probability of risk occurrence and propagation of risk impact. With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index,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stability of each alternative supply chain structure and choose the better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