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예측

Search Result 2,19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Study of Estimation Actual Fire Test Result and Evaluation Fire Hazard Using a Cone Calorimeter (Cone Calorimeter를 이용한 실물화재 예측 및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Ryu, Sang-Hoon;Moon, Sung-Woong;Rie, D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165-169
    • /
    • 2011
  • 실제 화재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실재 화재 조건을 모사 또는 구현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비용과 시간 및 환경 문제를 생각한다면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단위 재료를 태우거나, 전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화재를 예측하는 방법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를 기초 데이터로 실제 화재 실험인 room corner test의 총열방출량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가연물의 부피 및 밀도와 보정상수를 활용하여 실제 총열방출량에 근접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산출된 총열방출량을 근거로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통해 재실자의 화재 및 연기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화재 시뮬레이션 수행 시 가연물에 따른 화재에 의한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NBC Hazard Prediction Model using Sensor Network Data (센서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한 화생방 위험예측 모델)

  • Hong, Se-Hun;Kwon, Tae-W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13 no.5
    • /
    • pp.917-923
    • /
    • 2010
  • The local area weather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element to estimate where the air-pollutant will flow. But the existing NBC hazard prediction model does not consider the local area weather information. So, in this paper, we present SN-HPM that uses the local area wether information to perform more accurate and reliable estimate, and embody it to program.

The Plan of Sensing of Disaster Signs Analyzing Big Data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전조감지 방안)

  • Choi, Seon-Hwa;Choi, Se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01-801
    • /
    • 2012
  • 최근 과학 IT 패러다임은 기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중심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치 사회 경제 등 제반 이슈와 연계된 분석 예측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모바일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등장으로 데이터가 경제적 자산이 되는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였다. 급속히 변화하고 복잡해진 사회구조와 재난환경으로 인해 인력에만 의존한 재난관리의 사각지대가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우려가 크므로 다양한 재난전조(前兆)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선제적으로 예방하는 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재난관련 언론보도, 민원, 제보, 소셜 미디어 등의 비정형 데이터와 재난관련 정형 데이터(DB)를 융합 분석하여 재난전조를 사전에 감지하고 위험요소를 신속히 제거하는 빅데이터 기반 재난전조감지 체계를 제안한다. 최근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도시내수침수 피해 위험 예방을 위해 제안한 재난전조감지 체계를 적용하여 피해발생 위험요소 및 전조, 긴급 이슈 등을 감지하는데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전조를 감지하고 사전 침수 피해를 예측하여 피해 최소화 및 복구비용 절감, 저감능력 강화의 효과뿐만 아니라 위험요인 사전 차단 및 확산방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ethods for Fire Risk Analysis of High-rise Building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위험성 평가기법 위한 통계적 예측에 관한 연구)

  • Kwon, Young-Jin;Kim, D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270-275
    • /
    • 2009
  • 최근 소방법의 경우 초고층구조물을 대상으로 한 성능설계 및 화재영향평가등을 실시할 예정으로 있으며 특히 화재위험성평가등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며 그 방법론 또한 구축되어 있지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보는 전보에 이어 화재 위험성평가를 위한 방법론에 대한 일환으로서 위험성예측에 사용하는 화재발생의 상위에 의한 화재규모와 rmm 발생율을 각용도별로 기존의 화재에이터 및 가연물조사결과등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 PDF

Analysis of Mountainous Watershed Risk Considering the Topography Characteristics (지형 특성을 고려한 산지유역 위험도 분석)

  • Oh, Chae Yeon;Jun, Kye Won;Jun, Byo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7-427
    • /
    • 2018
  • 최근 집중호우나 극한 강우사상으로 인하여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산지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지형 특성상 주거지역이 산지와 인접해 있는 경우가 많아 재해발생 시 피해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산지재해는 예측하기가 어렵고 산지에서 발생한 토석류가 계곡을 따라 흘러 내려와 도심지 및 산지와 인접한 도로나 주택지에 많은 피해를 발생 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나 토석류와 같은 재해의 피해저감과 원인분석을 위하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일대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산지유역의 위험성 분석을 위하여 사면안정성 예측 모델인 SINMAP 모형을 사용하여 산지재해가 발생 가능한 위험지역 및 안전한 구간을 분석하고 지형분류기법 중의 하나인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분석방법을 통해 대상지역의 지형위치지수를 계산하여 위험지형을 분류하였다.

  • PDF

Design of Realtime Image Object Recognition and Risk Prediction System in Railway Environment (철도환경에서의 실시간 이미지 객체인식 및 위험 예측 시스템 설계)

  • Zhang Yong Heng;HyeonJin Oh;SeungShin Lee;Ryumduck 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37-240
    • /
    • 2023
  • 본 논문은 철도 건널목(교차로)에서 발생하는 차량, 보행자 및 야생 동물 사고 등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위험 요소를 설정하고 철도 건널목(교차로)의 운행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모형 철도 주변에 유형별 센서들을 설치하고 데이터를 인지하여 시스템에 저장하고, 유효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Orange3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다. 철도 건널목에 관련된 이미지 중 위험인자로서 차량, 보행자 및 야생동물등의 객체를 감지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한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들은 이용자 상황에 맞는 철도 데이터 운영 시스템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위험 예측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Usefulness of Low Risk Criteria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 Among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of Age (생후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있는 환아에서 세균성 감염의 예측을 위한 저위험 예측기준의 유용성)

  • Kim, So Hyun;Jung, Ji Ah;Kim, Hae-Soon;Yoo, Eun Sun;Sohn, Sejung;Seo, Jeong Wan;Lee, Seung J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5 no.8
    • /
    • pp.967-972
    • /
    • 2002
  • Purpose : A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low risk criteria for identifying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unlikely to have serious bacterial infection. Methods :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527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 with a axillary temperature ${\geq}37.4^{\circ}C$. If they met the following all four criteria, appear well, WBC $5,000-20,000/mm^3$, urine stick WBC(-) and nitrite(-), CSF WBC < $10/mm^3$, they were considered at low risk for serious bacterial infection(SBI). SBI was defined as a positive culture of urine, blood, or cerebrospinal flui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the low risk criteria were calculated. Results : Of 527 febrile infants, 110(21.0%) had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The 2.7% who met the low risk criteria had SBI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97.3%. SBI was diagnosed in 103 infants(38.6%) who didn't meet the low risk criteria including urinary tract infection(78.6%), most commonly, bacteremia(16.5%), bacterial meningitis(8.7%), Salmonella gastroenteritis(1%), osteomyelitis( 1%), septic arthritis of hip joint(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ensitiv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according to the monthly-age-group. Conclusion : This low risk criteria to identify infants unlikely to have SBI early is available, however low risk infants must be carefully observed.

Multivariate Outlier Removing for the Risk Prediction of Gas Leakage based Methane Gas (메탄 가스 기반 가스 누출 위험 예측을 위한 다변량 특이치 제거)

  • Dashdondov, Khongorzul;Kim, Mi-Hy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2
    • /
    • pp.23-30
    • /
    • 2020
  •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gas (NG) data and gas-related environmental elements was performed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o predict the level of gas leakage risk without directly measuring gas leakage data. The study was based on open data provided by the server using the IoT-based remote control Picarro gas sensor specification. The naturel gas leaks into the air, it is a big problem for air pollution, environment and the health. The proposed method is multivariate outlier removing method based Random Forest (RF) classification for predicting risk of NG leak. After, unsupervised k-means clustering, the experimental dataset has done imbalanced data. Therefore, we focusing our proposed models can predict medium and high risk so best. In this case, we compared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ccuracy,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and mean standard error (MSE) for each classification model. As a result of our experiments, the evaluation measurements include accuracy,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and MSE; 99.71%, 99.57%, and 0.0016 for MOL_RF respectively.

Comparison of Feature Selection Methods Applied on Risk Prediction for Hypertension (고혈압 위험 예측에 적용된 특징 선택 방법의 비교)

  • Khongorzul, Dashdondov;Kim, Mi-Hye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1 no.3
    • /
    • pp.107-114
    • /
    • 2022
  • In this paper, we have enhanced the risk prediction of hypertension using the feature selection metho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base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tudy identified various risk factors correlated with chronic hypertension. The paper is divided into three parts. Initially, the data preprocessing step of removes missing values, and performed z-transformation. The following is the feature selection (FS) step that used a factor analysis (FA) based on the feature selection method in the dataset, and feature importance (FI) and multicollinearity analysis (MC) were compared based on FS. Finally, in the predictive analysis stage, it was applied to detect and predict the risk of hypertension.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accuracy, f-score,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and mean standard error (MSE) for each model of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test, the proposed MC-FA-RF model achieved the highest accuracy of 80.12%, MSE of 0.106, f-score of 83.49%, and AUC of 85.96%,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C-FA-RF method for hypertension risk predictions is outperformed other methods.

Radar rainfall forecasting evaluation using consecutive advection characteristics of rainfall fields (강우장의 연속 이류특성을 활용한 레이더 강수량 예측성 평가)

  • Kim, Tae-Jeong;Kim, Jang-Gyeong;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39
    • /
    • 2021
  • 기상재해를 극소화하기 위해서는 그 원인이 되는 기상현상의 규모와 거동을 명확히 감시하고 분석하여 신뢰성 있는 예측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최근 위험기상 발생빈도가 증가하여 초단기 및 위험기상 예보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고품질 레이더 정보 활용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레이더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강우의 양과 분포, 이동특성을 관측하는 장비로써 우리나라는 초단기적 위험기상 대응능력 향상을 추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단 성능의 이중편파레이더 관측망을 구축하고 있다. 국내 기상관측용 레이더는 기상예보(기상청), 홍수예보(환경부), 군 작전 기상지원(국방부) 등으로 각 기관이 개별적으로 설치운영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계부처에서 운영하고 있는 레이더의 합성장을 이용하여 강수장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이류(advection) 특성을 도출하였다. 정확도 있는 이류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시간해상도는 10분을 적용하였으며 가우시안 필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강수장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호우와 태풍을 대상으로 강수장의 이류패턴을 추출하여 강수장의 이동방향 및 속도를 고려한 강수량 예측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격자형 강수예측정보를 제공하여 AI 홍수예보 및 수치예보 모델의 초기조건 입력 등에 활용되어 기후변동성에 따른 대국민 안전 실현을 확보하는데 기후변화 대응전략의 핵심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덧붙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수문기상 빅 데이터(big data)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여 고해상도 홍수대응 기술 및 GIS 및 모바일 시스템을 연계한 실시간 기후재해 예·경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