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성 평가프로그램

Search Result 21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가스산업시설에서의 위험성 평가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의 적용

  • 이정우;김윤화;김기수;고재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69-75
    • /
    • 1997
  • 우리나라는 그동안 가스산업에서 고속성장을 이룩해 왔으나, 근래에는 중대가스산업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건 이유로 1996년도에는 중대산업사고 예방제도가 전면적으로 실시되고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함으로서 위험성 평가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가고 있으며, 위험성 평가 기법들에 대하여 여러 연구 단체에서 연구ㆍ시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ㆍ보고된 위험성 평가 기법들을 프로그램화하고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ㆍ개발된 위험성 평가 기법들에 최근 컴퓨터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각광을 받고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가스산업시설의 위험성 평가 시스템은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지리정보시스템이 속성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으나, 가스산업시설에 관련된 주변의 도면들을 공간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위험성 평가 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을 모듈화하였다. 우선 위에 언급한 속성 데이터와 공간 데이터를 관리하는 모듈과 이러한 데이터를 가지고 사고영향 범위를 산출해내기 위한 모듈, 그리고 산출된 사고 영향 범위를 도면에 나타내는 모듈로 나뉘어져 있다. 이렇게 지리정보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도면에 위험성을 평가한 결과치를 나타냄으로서 위험성 평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고 결과를 분석하도록 도와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재난관리시스템에서는 도면상의 도로에 교통량 가중치와 인근 소방서와 경찰서등의 위치를 관리하도록 지리정보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면, 가스시설물 관리시스템에서는 최근 대형가스사고의 대부분이 타공사에 의한 것임을 고려하여 가스배관망을 포함하여 기타 다른 지하배관망을 관리하도록 지리정보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중략)램프에서 좋은 광학적 특성을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수축이 없이 방전을 확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램프구조와 구동법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체압력을 높임으로서 Xe의 여기복사를 얻을 수 있었다. 동시에 새로운 적용영역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하겠다.[C/N]의 값을 나타내었다.다.다.화 기술, 구동방법등에 대한 기술개요와 국내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었다.다._{2}$가 0.25[wt%] 첨가된 시편의 20[.deg.C]에서의 유전상수는 16,700으로 최대값을 유전손실을 1.28[%]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시편은 온도 및 주파수에 따라 유전상수가 완만하게 변화하는 유전이완 특성을 나타내었다.다.수적인 물의 양에 따른 DIAION WA30의 라세미화 효율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그 효율은 감소하였다. DIAION WA30을 라세미화 촉매로 사용하여 아이소옥탄 내에서 라세믹 나프록센 2,2,2-트리플로로에틸 씨오에스터의 효소적 DKR 반응을 수행해 보았다. 그 결과 DIAION WA3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반응 전환율과 생성물의 광학 순도는 급격히 향상되었다. 전통적 광학분할 반응의 최대 50%라는 전환율의 제한이 본 연구에서 찾은 DIAION WA30을 첨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극복되었다. 또한 고체 염기촉매인 DIAION WA30의 사용은 라세미화 촉매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게 해준다.해준다.다. TN5 세포주를 0.2 L 규모 (1 L spinner flask)oJl에서 세포간의 응집현상 없이 부유배양에 적응,배양시킨 후 세포성장 시기에 따른 발현을 조사한 결과 1 MOI의 감염조건 하에서는 $0.6\times10^6$cell/m

  • PDF

Risk Assessment fo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 (수소충전소 성능평가 장비 안전성 평가 연구)

  • KANG, SEUNGKYU;LEE, DONGHO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33 no.3
    • /
    • pp.232-239
    • /
    • 2022
  • This study perform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equipment for evaluating the protocol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s and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safety. Hazard and operability study was performed for qualitative risk assessment, and Hy-KoRAM was used for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hrough a qualitative risk assessment, additional ventilation devices were installed, simultaneous venting of the storage container was prohibited, and the number of repeated refilling of the evaluation equipment was identified to manage the number of fillings of the container. Through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he area around the device was set as a restricted area when evaluating the station, and measures were suggested to reduce the frequency of accidents.

석고보드의 실내화재 성능평가

  • 김충환;김종훈;김운형;하동명;이수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06a
    • /
    • pp.190-195
    • /
    • 2000
  • 현재 미국과 유럽, 일본 등에서는 실내 벽 및 천장 마감재에 관하여 성능 기준 설계에 의한 새로운 평가방법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고자 Bench-scale test 결과를 이용하여 화재위험성을 예측하는 내장재의 Performance-based fire safety design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성능기준 화재안전 설계를 적용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하는 대부분의 존 모델 프로그램은 공간화재시 가연성 마감재의 발화 및 화염확산 및 위험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Monitoring System Model Based on USN for Landslide Detection (산사태 감지를 위한 USN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Cheon, Dong-Jn;Kim, Jeong-Sub;Lee, Seung-Ho;Kwak, Dong-Kurl;Coi, Shin-Hyung;Lee, Bong-Sub;Jung, Do-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812-816
    • /
    • 2012
  • 본 논문은 산사태 감지 및 붕괴예측을 위한 현장에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을 적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USN기반의 상시모니터링시스템모델을 제작하고 실험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성능평가는 지표변위 센서모듈 동작특성 실험적 평가, USN은 Data 수집 전송 효율성 실험적 평가, 개발한 상시감시모니터링 프로그램 동작성능 실험적 평가 등을 수행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지표변위 측정센서모듈은 변위각도에 일치성을 확인하고, USN은 지표변위 센서모듈로부터 측정된 Data를 상시모니터링시스템에 오류 없이 전송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개발한 상시모니터링 프로그램 동작기능은 실시간 모니터링 그래프, 임계동작 알고리즘, 위험성 통보 문자서비스(SMS)기능, 알람서비스기능, 현장 감시카메라 등 동작기능의 우수성을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사태 감지 예측을 위한 USN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모델은 산사태위험성노출 지역에 원격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Pedestrian Evacuation Simulator with Variable Evacuation Speed along with Visibility (가시도에 따른 이동속도 변화 모듈을 적용한 피난 프로그램 개발)

  • Rie, Dong-Ho;Ro, Se-Ho;Kim, Ha-Young;Yoon, S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120-125
    • /
    • 2010
  • 건축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축물은 심층화, 고층화, 대형화 하고, 내부 구조도 복잡화 되고 있으며, 화재시 인명안전에 대한 위험성은 증대 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재시 건물내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피난자의 종류 별 이동속도를 기준으로 한 안전성 평가는 가능 하지만, 화재시 발생하는 열 과 연기의 확산상태를 고려한 피난자의 이동속도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화재 피난 시나리오에 SFPE 방화공학 핸드북의 3-362(연기속의 이동)를 참고하여, 가시도 변화를 적용한 피난자의 이동속도 저하를 구현하여 보다 현실적인 피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 Development of Software (KFSA-I) for Fire Hazard Assessments in the Buildings (건물의 화재위험성 평가 프로그램(KESA-I)개발)

  • 이수경;이상준;김종훈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6 no.1
    • /
    • pp.60-65
    • /
    • 2002
  • The hazard assessment in which the potential hazard factors in the buildings are investigated and the scale of the hazard is analysed should be performed first in order to prevent personal and material damages due to building fire. In this study, the building fire hazard are assessed using 822-item checklist, for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which the main factors are classified into 10 items, yielding 100 scale points with some weighting. It is shown that present model is applicable for the assessment model by actual assessment of existing building. Also the checklist is prepared in itemized questionnaire from easy assessment of building fire hazard. Therefore, the present model will be helpful for those working in fire prevention, who are suffering from the lack of manifest evaluation model for the fire prevention assessment so far in Korea.

A Study for Risk Assessment of LPG Storage Facilities (LPG 저장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Park Myung-Seop;Seo Jae-Min;Lee Jung-Woo;Kim Ky-Soo;Kim Sung-Bin;Ko Jae Wook;Shin Dong-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3 no.3 s.8
    • /
    • pp.9-16
    • /
    • 1999
  • Gas energy facilities which are located in urban areas have been shown as terrifying objects to the people who live nearby, because of increasing recent disastrous accidents. So, it is essential to develop a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n order to predict and to reduce the effect of gas accidents. In this study, the framework of synthesized QRA(Quantitative Risk Assessment) considering the recent situation and condition was established in order to provide proper models for analysing gas accidents. The deviation of LPG storage facilities was described and then supposed incident scenarios were provided. Procedures which could assess the risk of facilities according to incident scenarios were showed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ndividual risk was suggested in order to represent the quantified risk. And, a user-friendly computer program was developed to implement these methods at the same time.

  • PDF

The Development of Life Evaluation Program for LNG Storage Tank considering Fatigue and Durability (피로 및 내구성을 고려한 LNG 저장탱크의 수명평가 프로그램 개발)

  • Kim, Jung-Hoon;Kim, Young-Gu;Jo, Young-D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1 no.3
    • /
    • pp.39-45
    • /
    • 2017
  • The LNG storage tank as core facility of LNG industry is mainly composed of the inner tank of nikel 9% steel and the outer tank of prestressed concrete. To respond proactively increased risk of structure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fatigue of the inner tank and durability reduction of the outer tank, life evaluation program for LNG storage tank is needed. In this study, life evaluation program for LNG storage tank was developed to assess fatigue of the inner tank and durability(carbonation and chloride attack) of the outer tank. By defining the main three scenarios in the inner tank, the fatigue life analysis is conducted from structural analysis and Miner's damage rule. Carbonation progress of the outer tank is predicted according to thickness of cover concrete by using carbon dioxide contents and data of penetration depth. To consider a variety of input conditions and a reliability in results of chloride attack, the evaluation of choride attack for the outer tank is constructed through Life-365 program of open source.

Development of Railway Tunnel Fire Risk Assessment Program and its Application (철도터널 화재 위험도 평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사례)

  • Yoon, Sungwook;Park, Jong-heo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2 no.1
    • /
    • pp.57-64
    • /
    • 2009
  • With the increase in construction of long railway tunnel, social interest in the railway tunnel fire risk has also increased. However, quantitative fire risk research on this topic is still lacking, especially in terms of consideration of uncertainty of each variables used in risk analysis. Hence,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overall performance of fire risk analysis technique for railway tunnel, Monte-Carlo simulation method is added to the traditional probabilistic risk analysis based on event tree approach and its validity is investigated by applying it to the real railway tunnel project.

  • PDF

A Study on Evacuees Risk Assesment for Application of Spatial Risk Information (공간위험정보를 적용한 대피자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 Hong, Seungbum;Jang, Jae-Soon;Park, Hyun-A;Rie, Dong-H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2
    • /
    • pp.8-12
    • /
    • 2015
  • Performance Based Design is evaluating after each calculatiuon ASET and RSET. Risk informaion values such as heat, smoke, toxic gas etc are extracted by FDS in this study. These Risk informaion values by FDS apply Artisoc (evacuation simulator). Building structure made $60m{\times}65m$, exit number is made 2 positions and people in this building are 50 ramdonly. 20 times (case1~case 20) simulated and analysis evacuees risk by evacuated route pos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