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계획

Search Result 1,08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nsideration on the Regulated Quantity of Preparation for Accidents by Risk Assessment (위험도 평가를 통한 사고대비물질별 규정수량 고찰)

  • Ahn, Gwangjae;Kim, Jungwook;Lee, Keunwon;Jung, Seungho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60 no.4
    • /
    • pp.506-511
    • /
    • 2022
  • In the Chemicals Control Act, a system was implemented to unify off-site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plan into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chemical accidents. Among the hazardous chemicals which have been covered in system, the accident preparation substances are designated as chemical substances that are likely to occur and of which damage scale are likely to be large in the event of chemical accidents. In this study, risks were compared by selecting accident preparation substances with similar regulated quantities. In addition, risk assessment studies were conducted applying the accident scenarios. Four types of materials such as ammonia, hydrogen chloride, carbon disulfide and benzen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risks were finally analyzed using Safeti 8.0,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program by DNV. As a result, some materials are identified to have high risks comparing to other substances having similar regulated quantities.

전문가 심층정보 - 농식품부, 2010년 주요 현안 과제

  • 축산물등급판정소
    • KAPE Magazine
    • /
    • s.161
    • /
    • pp.6-7
    • /
    • 2010
  • 2010년 농림수산식품부 축산분야 2010년 사업계획이 확정됐다. 축산분야 주요업무 추진계획으로 생산비 절감, 유통구조 개선, 품목 대표조직 육성, 2011년 하반기 항생제 사료첨가 금지, BSE 위험통제국 지위 획득, 축산물 등급제도 개선, 가축분뇨 자원화 에너지화 등으로 구체적인 계획이 나왔다. 그 가운데 한 EU FTA 대책, 낙농산업에 대한 주요 현안 과제를 발췌해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Risk Assessment and Hazard Information Map Generation of Urban Areas (도시지역 위험도 평가 및 재해정보지도 제작)

  • Park, Ki-Youn;Choi, Woo-Suk;Kim, Weon-Seok;Yoo, Hwan-He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63-368
    • /
    • 2005
  • 도시지역의 토지이용의 고도화로 도시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증가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물들의 재해특성을 분석하고 위험도를 평가하여 재해가 일어나기 전에 발생 위험성을 사전에 분석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이용해 재해정보지도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위험도항목을 자연조건, 토지이용 및 건축물, 인구, 교통, 위험물취급시설로 구분하여 자료를 구축하고, 항목별 위험도를 설정하여 등급화 하였으며, 침수위험도, 화재위험도, 대피위험도, 건물붕괴 위험도로 구분하여 재해지도를 제작함으로서 해당지역의 지구단위계획을 수립 시 재해요소를 적용할 수 있고, 재해발생시 사전대응 및 대피를 위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

  • PDF

Risk Assessment and Risk contour mapping (네덜란드의 위험성 평가 예 -위험성 평가 및 위험 등고선도-)

  • 편집실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8 no.1
    • /
    • pp.47-52
    • /
    • 1994
  • 이 논문은 설계상의 안전 및 완전한 정량적 위험성 평가에 의해 맞추는 것이 가능한 여러가지 방법(QRA: Quantitative risk analysis)에 촛점을 두면서, 위험성 평가의 방법론의 간략한 개요를 소개하고 있다. QRA의 결과는 단독 위험 및 그룹 혹은 사회적 위험으로써 보통 소개된다. 계산된 단독 risk는 자주 단독 위험 graph(IRG : Individual risk graph)와 단독 위험등고선(IRC : Individual risk contours)의 형으로 나타낸다. IRG와 IRC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사고의 시나리오로 계산된다. : 여러가지 기상조건 하에서 2kg/s의 암모니아의 유출을 1800s로 한다. 이 예는 그래프가 곡선의 상승을 나타내는 것이 확실하다. 마지막으로, QRA는 예를 들어서 토지이용계획 등에 유용한 수단으로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화학플랜트의 안전에 대해서는, 위험성 평가를 위해 다른 방법이 유효하며, 불가피하다.

  • PDF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Inflammables and Explosives in Army Camps (군부대 위험물 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 Shin, Mi-Hwa;Yoon, Myong-O;Hyun, Seong-Ho;Jeong, Dok-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82-92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operation state and cases of safety accidents of inflammables and explosives in army camps by focusing on staffs in charge for safety supervision of inflammables and explosives in army camps. Moreover,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surveyed the actual safety supervision conditions in a workplace related to the hazardous materials, the safety plan for inflammables and explosives,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safety supervision, the consciousness of safety supervisors for the safety supervision of inflammables and explosives, and so on. On basis of this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s of inflammables and explosives in army camps were investigated. By not only establishing the systematic safety plan but also developing the safety supervision education programs to manage inflammables and explosives in army camps safely, this study tries to arouse military officers' interest and ensure a safe workplace.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public relations and revitalization of the education to make safety supervisors for inflammables and explosives and the interested parties recognize the hazards of safety accidents, by cutting them off from safety accidents in advance.

  • PDF

A Study on Previous Plan for Levee Leakage Monitoring Sensors (제방누수감지센서 설치를 위한 사전계획 연구)

  • Park, Kyoung-Won;Jung, Kwan-Su;Lee, Gwang-Man;Hwang, Eu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69-673
    • /
    • 2012
  • 제방안전성 모니터링은 제방파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근래에 미국은 2005년 허리케인 카타리나에 의해 2,000여명의 인명손실을 경험하였고 2011년 3월 일본은 도후쿠지역의 초강력 지진에 의한 쓰나미로 인해 수만명의 인명과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침수로 지금까지 방사능 누출 차단작업을 벌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4대강 복원사업으로 주요 국가 하천 구간에서 홍수 및 체제 불안정에 의한 제방붕괴사고위험이 현격하게 줄어들었으나 제방의 안전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즉 신설된 보 주변, 배수통문 신설구간 그리고 제방누수 예상지점 등에서는 아직 안전한 상태라고 확신할 수 없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를 이용하여 개발한 간극수압 및 온도 센서 등을 위험예상지점에 설치하고 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어떻게 관리 할 것인가에 대한 사전 검토를 계획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방에 센서를 설치하기 전에 주요 검토사항에 대하여 연구분석하였다. 주요 검토사항에는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의 제방거동 메커니즘 예측, 왜 계측시스템을 설치하는지에 대한 목적에 대한 평가, 설치 지점의 제방의 토질공학적 문제점 파악, 모니터링 대상 매개변수 혹은 항목 선정, 조사대상 항목의 변화정도를 예측하여 거동 범위 확정, 적정 계측기기 설치 지점을 선청, 계측기기 선정, 자동화 혹은 실시간 정보시스템에 필요한 사항 결정, 관측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기록 계획, 정보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필요사항 정립, 비용의 결정, 장기 예측 계획, 정기 검 보정 및 관리 계획, 자료수집 및 관리계획, 자원의 공조 및 생애주기 비용 등을 포함하였다.

  • PDF

Safe Climbing Path Planning by Image Processing (영상 처리에 의한 안전한 등반 경로 계획)

  • Yeom, Dong-Hae;Kim, Jong-Sun;Joo, Yo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2 no.2
    • /
    • pp.187-191
    • /
    • 2012
  • This paper deals with a safe climbing path planning for unmanned automatic vehicles. Unlike the existing path planning schemes, the safety is the highest priority for our approach. To achieve this, the global potential field which includes a dangerous zone as well a given terrai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way-points are determined by using image processing such as the erosion operation. The proposed method can reduce the computation effort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provide the safe climbing path which is similar to human's intuition.

A Study of Optimal Operation Policy using Risk Evaluation Criteria(II) (for the Han River Reservoirs System) (위험도 평가기준을 적용한 저수지 최적운영방안 연구(II) (한강수계 저수지군을 중심으로))

  • Park, Myeong-Gi;Kim, Jae-Han;Jeong, Gwan-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1
    • /
    • pp.51-64
    • /
    • 2002
  • In this study, the formulation of the developed mixed-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a multi-reservoir system including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park et al., 2001) has been improved for multiple reservoir system operation using risk evaluation criteria. Sequential linear programming(SLP) was applied for the linearization of the hydro-electric energy term in the model. In order to allocate monthly reservoir release reasonably the value of weight for hydro-electric energy was assigned by level of power generation hour. The improved model was applied to the five reservoirs system in the Han river. And could be confirmed the availibility of new formulation appling risk evaluation criteria.

Assessment Method for Potential Risk and Channel Stabilization in River Confluence (하천 합류부 재해 위험성 및 하도 안정성 평가 기법 정립)

  • Lee, Samhee;Yoon, Hyeoncheol;Lee, Duhan;Lee,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56
    • /
    • 2016
  • 하도 안정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대표적 하천 구역은 본류와 지류의 합류부이다. 이와 같은 합류부에서는 흐름과 하상변동 양상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이는 본류 및 지류 간 유사이송량, 유황, 흐름, 하도경사 등 수리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지류 합류부에서는 지류 자체의 하상 변동 영향뿐만 아니라 본류의 하상변동으로부터도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즉 본류에서 자연적이든 인위적이든 어떤 원인으로 말미암아 하상저하가 갑자기 일어나면 지류의 하도 종단경사 변화가 현저하게 일어나는, 이른 바 두부침식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본류와 지천 사이 흐름특성 유사거동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합류뷰 주위에 지속적인 국지퇴적이 야기되기도 한다. 합류부에서 이와 같은 침식 또는 퇴적 현상으로 말미암아 하천관리상 여러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에 따라 지류 합류부에서 하천경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하상유지공 설치 등 적절한 하도안정화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현안의 분석을 통해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국가 및 지방 하천 3,836 개소에 대한 합류부 도상과 일부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합류부의 재해 유발 지표를 도출하고 전문가로부터 의견 수렴을 통해 가중치를 부가하여 합류부 재해 위험성 및 안정성 평가 기법을 정립하였다. 그 동안 관련 부처 및 지자체에서 하천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점 정비 및 관리가 필요로 하는 합류부를 선정 시 그 기준이 모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정량적으로 정립한 기준은 하천 합류부의 재해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어 고도의 하천관리를 지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