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험거리

Search Result 58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Dangerous Distance of Culture and Life (문화와 삶의 위험한 거리)

  • Kim, Cheon-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1
    • /
    • pp.439-445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stance of culture and life by 'The Relation-Approach.' For this, We identified the path and mechanism of importance of culture and life through the concept of respective distance and closed distance. We found that the structure of closed culture and closed life makes the distance of culture and life dangerous, which is operated as the factor of making dangerous culture and life. This fact shows that respectiveness operate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respective distance to closed distanc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 of solving dangerous distance can be established in the condition that mutual distance of culture and life can have the possibility of accomplishment. But We found the fact that the distance which is regarded as the true mutual distance having the consistence of the open condition-accomplishment in culture and life is actually operated by making the dangerous path and mechanism. In this point, We suggested the concept of 'The Multi-tier Dangerousness,' not 'The Single-tier Dangerousness.' We also found the importance of dangerousness of perception with a view to resolving dangerousness operating in culture and life. The fact that 'dangerousness of perception' produced 'dangerousness of phenomenon' was identified. Further more, We suggested that intrinsic perception is needed so as to healthy culture and life. And Open perception was emphasized to go to mutual distance beyond respective distance.

The Effect of Perceived Risks and Performance regarding Psychic Distance (심리적거리가 지각된 위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Hwang, Hwa-cheol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
    • v.7 no.2
    • /
    • pp.63-87
    • /
    • 2009
  • The conclusions shown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Despite the similarity of the objective distance caused by the geographic distance and cultural similarities. it is found that the psychic distance factor still exists. Secondly, a new affective factor of psychic distance has been noted. As to the shaping method, even though culture and psychic distance involve homeogenic factors, psychic distance is more complex in that it is affected not only by cultural changes but also by other affective factors. Culture is a very significant factor, which can have an effect on forming psychic distance, but it is short of being a measurement variable for measuring psychic distance. Thirdly, psychic distance can have a direct effect on customers' buying response. If it is just a belief shared among the people of a nation, it can't become an important notion.

  • PDF

우리나라 연안교통량 분석을 통한 연안거리별 위험도 분석

  • Park, Yeong-Su;Lee, Sin-Geol;Lee, 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37-139
    • /
    • 2014
  • 우리나라 항만을 입출항하는 선박은 연간 390,245척(2013년)이며, 연안해역을 통항하는 선박은 우리나라 남해안이 세계에서도 통항척수가 많은 해역이다. 이러한 연안 해역에서 거리별 통항교통량 분포 및 해양사고 분포를 통하여 연안해역 거리별 위험도를 파악하여 교통량 분산 등을 유도하여 해상교통 안전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Landing Point Designation Technique Based on Relative Distance to Hazard for Lunar Lander (달 착륙선의 위험 상대거리 기반 착륙지 선정기법 성능 분석)

  • Lee, Choong-Min;Park, Young-Bum;Park, Chan-G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1
    • /
    • pp.12-22
    • /
    • 2016
  • Lidar-based hazard avoidance landing system for lunar lander calculates hazard cost with respect to the desired local landing area in order to identify hazard and designate safe landing point where the cost is minimum basically using slope and roughness of the landing area. In this case, if the parameters are only considered, chosen landing target can be designated near hazard threatening the land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select optimal safe landing point, hazard cost based on relative distance to hazard should not be considered as well as cost based on terrain parameters. In this paper, the effect of hazard cost based on relative distance to hazard on safe landing performance was analyzed and it was confirmed that landing site designation with two relative distances to hazard results in the best safe landing performance by an experiment using three-dimensional depth camera.

Distance Identification for Maximum Change in Ship Collision Risk through a Coast Guard Patrol Ship Experiment (해양경찰 함정 실험을 통한 선박충돌 위험도의 변화가 최대인 거리 식별에 관한 연구)

  • Kim, Dae-Sik;Yim, Jung B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3 no.5
    • /
    • pp.447-454
    • /
    • 2017
  • Using two large coast guard ships at sea, we created four encounter situations ($000^{\circ}$, $045^{\circ}$, $090^{\circ}$, $135^{\circ}$) with high possibility of collision, from 3 NM up to 0.25 NM. As relative distance was gradually decreased, the subjects were measured at 0.25 NM intervals and perceived ship collision risk (PSCR) was determined by looking at the opponent ship.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obtained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llision risk values obtained from twelve intervals, from 3 NM to 0.25 NM relative to encounter situations by curve fitting with appropriate polynomials, to determine the distance from which the change in perceived collision risk is greatest. As a result, an optimal regression equation for each distance interval was derived from each analysis direction. The greatest variation in average collision risk value was over the range 1.25 ~ 1 NM, and the collision risk value was largest at 1 NM. The maximum change in perceived collision risk was at 1 NM. These results can contribute to preventive guidelines to minimize human error in close proximity situations with a high probability of ship collision.

Consequence Modeling Methodology for Prediction of Hazard Distance for Two-phase Flow Release from the Pressurized Chlorine Saturated Liquid Storage Tank (가압 염소포화액체 저장탱크의 2상 흐름 누출에 대한 유해위험거리의 예측을 위한 결과영향 모델링 방법론)

  • Song D. M.;Park Y. S.;Park J. 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 no.4
    • /
    • pp.7-17
    • /
    • 1998
  •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sequence modeling methodology for quantitative prediction of the hazard distance(or toxic buffer distance) for two-phase flow continuous releases from the pressurized chlorine saturated liquid storage tank of the chemical plant facilities. The source term modeling was peformed by the refined analysis method based on USEPA's guideline and SuperChems model self-calculation, respectively. The hazard distance was predicted for STEL, IDLH and ERPGs(ERPG-2 and ERPG-3) concentrations being used as the toxic regultaion concentration in hazard estimation. To use as hazard estimation guidelin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emergency response planning, the effects of source characteristics and meteorological vaiations on the hazard distance was especially considered for ERPG-2 concentration.

  • PDF

The Studies for Forest Fire Danger Characteristic of Facilities in Wild Land Urban Interface (산림 인접시설의 산불 위험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Houng Sek;Lee, Si Young;Kwon, Chun Geun;Lee, Byung Doo;Koo, Kyo Sa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65-65
    • /
    • 2011
  • 도시의 확대와 산림의 개발을 통해 산불은 산지의 피해뿐만 아니라, 인접지에도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는 일반적인 사례가 되어, 이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의 울진군, 봉화군, 경주시를 대상으로 산림에 인접한 시설물의 빈도와 거리를 분석하여, 산불 발생 시 대피 및 진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도시형으로 선정한 경주시가 전체 시설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산악형으로 분류한 봉화군이 가장 빈도가 낮았다. 가옥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봉화군이 축사의 빈도가 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인접시설물의 산림과의 평균거리분석결과 산악형의 시설물의 평균 산림 인접 거리가 가장 가까우며, 도시형인 경주시의 인접거리가 가장 먼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산악형(봉화 군)은 인접 시설의 산림과의 평균 거리가 100m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산불 발생시 큰 피해가 예상되는 가옥, 의료/복지시설, 주유소, 축사 등 전 시설물의 산림인접 100m 이내 비율도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산불 발생 시 인접지의 피해가능성이 높은 산림 이격 거리를 100m 이내로 가정할 경우, 봉화군의 경우 산불발생 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연구를 보다 확대하여 향후 산불 발생에 대비한 지역단위 진화와 대피교범과 기준 제작으로 발전시키며, 인접지역 시설물에 대한 산림 위험 시설에 대한 정책수립의 근거로 삼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상현실 환경에 따른 해양경찰 조함 교육효과 분석

  • 장은진;김가은;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67-168
    • /
    • 2023
  • 가상현실 기술은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해양경찰은 함정 조함 교육을 위해 두 가지 가상현실 환경에서 실습이 진행 중이다. 이 연구는 두 가지 가상 현실 환경에서 조함 교육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기 위해 항해 위험성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실물형은 데스크톱형보다 최근접거리가 더 길고, 대각도 타 사용 시간과 비상인지 시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향후 해양경찰 함정 교육을 위한 최적의 가상현실 환경을 구축하고 확장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 PDF

Study on the Layout of Process Facilities considering Inherent Safety Design (본질적인 안전 설계를 고려한 공정 설비의 배치에 관한 연구)

  • Kim, Young-Hun;So, Won;Yoon, En-Sup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0.11a
    • /
    • pp.245-256
    • /
    • 2010
  • 최근 들어 안전관리의 패러다임은 사후분석에서 사전예방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본질적인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공정에 본질적인 안전을 추구하는 방법은 크게 5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으며, 공정의 배치를 통해서 사고를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공정의 설계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의 설비가 가지는 위험성을 기반으로 안전거리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사고결과와 사고발생빈도를 기반으로 개인적 위험성(Individual Risk: IR)을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값을 기반으로 최적의 안전거리 계산을 수행할 수 있었다. 계산된 IR과 문헌에서 제시된 안전거리를 바탕으로 작업자가 거주하는 건물과 공정경계 까지의 적절한 거리와 설비간의 최적의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MILP)를 이용하여 각각설비의 안전거리가 확보된 시설물 배치와 최소 부지 면적 등을 알 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최적화된 부지면적과 파이프라인의 시설물 배치는 물론 공정건설이나 초기 디자인 단계 및 안전성확보측면에서 본질적인 안전을 구현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 PDF

VTS 관제 최소안전거리에 관한 연구

  • Kim, Jong-Seong;Park, Yeong-Su;Park, Jun-Mo;Kim, Dae-Won;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114-116
    • /
    • 2011
  • 해상교통 관제 서비스는 해상교통량의 폭주, 위험화물의 증가와 잠재적인 환경오염의 위험 등에서 항만의 안전 또는 항만운영 효율성 제고하기 위해 실시하는 통항서비스로 VTS 구역 내에서 주변상황 및 해상교통상황을 적시에 제공하여 선박에서 항해의사 결정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보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실제로 안전한 해상교통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나라 전 연안 및 항만에서 운영하고 14개소의 VTS 및 연안 VT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VTS 관제사는 선박운항자와 마찬가지로 관제하고 있는 항만이나 연안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선박과 선박 사이 및 선박과 육지(장해물)와의 최소안전거리를 두고 관제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각 VTS 관제사들이 관제하는 안전이격거리를 개인별로 조사함으로써 VTS 관제사간의 안전이격거리를 조사함에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 결과 같은 VTS 소속임에도 불구하고 개인별로 관제하는 최소안전거리가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