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해성평가 및 관리

Search Result 2,508, Processing Time 0.05 seconds

The assessment national water security for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 (국가 수자원 관리를 위한 물 안보 평가 방법 제안)

  • Park, Seo-Yeon;Lee, Hyun-Ju;Lee, Seungho;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09-409
    • /
    • 2020
  •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산업화 및 도시화로 인해 많은 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수자원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기후 및 환경 변화는 지표수의 증발을 증가시키고 강우 및 기타 수문학적 순환과정의 시기와 역학을 변화시킴으로써 물에 대한 스트레스를 높이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로 인해 개인, 국가 등 전 세계가 여러 형태의 현실적 물 문제에 당면하고 있음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물 관련 문제를 평가할 수 있는 물 안보 평가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국가차원의 수자원관리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물 안보를 적절한 제도, 바람직한 거버넌스 등 물과 기타 요소 간의 연계성을 바탕으로 깨끗한 물과 적절한 위생 서비스를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공평하게 제공하고, 인간 생명과 환경을 오염 및 물 관련 재해로부터 보호하며, 수생태계 보전과 회복을 달성하는 능력 등 4가지 분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물 안보 상황을 평가하기 위해 1) 사회적 공평성(social equity), 2) 경제적 효율성(economic efficiency), 3) 환경 지속성(environmental sustainability), 4) 수재해 회복 탄력성(resilience to water-related disasters)과 같이 네 가지 핵심 분야로 구분하였으며, 4개 핵심분야의 특징을 반영한 14개 하위 지표를 선정하였다. 국가별 평가는 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가 제시한 물 안보의 정의와 평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수자원 현황 및 문제점 등을 평가하고 향후 국가별 물 관리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ablishment of Water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Considering Water Quantity and Qua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 저수지 수량·수질을 고려한 수환경 평가체계 구축)

  • Hong, Eun Bi;Kim, Da Ye;Lee, Gwang Ya;Park, Ji Seong;Song, Chul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99-199
    • /
    • 2021
  •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농업기반시설 및 용수관리로 재해를 예방하고 물관리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유지관리 종합정보시스템인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중에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2012년부터 저수지별 일공급량을 측정하여 기록 관리하고 있어, 저수지의 수위차와 공급량을 사용하여 저수지의 일유입량을 산정 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고 저수지 종합건전성 평가를 위해 이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량부문은 수문학적으로 하천환경 및 수생태계에 민감한 영향을 끼치는 인자들로 지표를 구성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High Flow, Low Flow, Seasonality, Zero Flow, Variability로 구성하였다. 수질부문은 자연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 기준에 의한 분류를 통해 저수지의 건전성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였다. 자연적 요인은 환경부의 수질환경기준에 제시된 항목 중 저수지 건전성을 대표할 수 있는 수온, DO, COD, SS, TN, TP 및 TOC를 선정하였다. 농업용 저수지 수량·수질을 고려한 수환경 평가체계 적용을 위해 적누, 이담, 송고 저수지를 선정하였다. 3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수량, 수질 부문으로 나누어 부문별 건전성 및 종합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선정된 지표의 분석단위를 통일시키기 위하여 표준화를 수행하였으며 자료의 왜곡정도가 큰 경우에는 로그변환을 취하여 표준화를 수행하였다. 가중치 적용은 주관적인 견해가 들어갈 수 있는 전문가의 설문에 의한 방법보다는 수학적 방법을 이용한 주성분과 엔트로피 가중치 방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산정된 지수에 따라 하천별 현황을 주제별, 시기별로 검토하였으며 객관적이고 이해가 쉽게 5개 등급으로 등급분류를 해 저수지별 건전성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ssessment of Uncertainty in SWAT Model Derived from Parameter Estimation Using SWAT-CUP (SWAT-CUP 매개변수 추정에 따른 SWAT 모형 불확실성 평가)

  • Yu, Jisoo;Noh, Joonwoo;Cho, Younghyun;Hur, Youngteck;Kim, Yeon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14-314
    • /
    • 2020
  •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은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에서 개발된 준분포형(semi-distributed) 수문 모형으로 복합토지이용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토양, 토지이용 및 토지관리 상태의 변화에 따른 유역의 유출량, 유사량 및 영양물질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SWAT은 기본적으로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한 수동 보정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매개변수 보정에 따른 모의결과의 불확실성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보정 기능을 제공하는 SWAT-CUP (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ogram)이 개발되었다. SWAT-CUP에서 제공하는 매개변수의 최적화 과정에서 유사한 모의 결과를 산출하는 수천 개의 매개변수조합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정기법의 선택에 따라 최종 매개변수의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불확실성을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1) 매개변수의 선택, (2) 보정 기법, (3) 목적함수, (4) 매개변수의 초기 범위, (5) 모의(simulation)의 실행(run) 및 반복(iteration) 횟수, (6) 위치, 개수 등 보정 자료의 선택 등이 주로 지목된다. 이러한 요인으로 발생하는 불확실성은 SWAT 모형의 구조 및 입력 자료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매개변수 보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평가하고, 효율적인 보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낙동강 권역의 내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SWAT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내성천 본류에 위치한 수위(유량) 관측소의 자료를 활용하여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모의 결과는 유량의 크기 뿐 아니라 유량의 발생 시기, 유역의 반응 및 증가·감소 경향성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형 구조에 따른 불확실성의 전이과정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SWAT 모형의 비고유성(non-uniqueness)에 의한 불확실성을 정량화하여 나타내었다.

  • PDF

Developing System and Site Level Framework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for the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in Korea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의 관리효과성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현장 수준의 평가틀 개발)

  • Lee, Dong-Ho;Kang, Mihee;Kim, Se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5 no.4
    • /
    • pp.472-485
    • /
    • 2016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 multi-level evaluation framework for the management effectiveness of the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FGRR) at both the system level and the site level. The initial system level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MEE) framework for FGRR was developed based on the MEE Framework designed by IUCN WCPA and MEE framework for Korean National Parks that was designed jointly by IUCN,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veral indicators were added or modifie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FGRR. The final system level MEE frameworks consisted of 6 categories with total of 39 criteria and 42 indicators based on expert survey results. The initial site-level MEE framework was developed based on the site level MEE framework for Korean National Parks that was designed jointly by IUCN,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The final site level MEE framework consisted of 6 categories with total of 16 criteria and 40 indicators based on both an expert survey and an intensive workshop with the officers in charge of managing the FGRR from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local governments.

An Evaluation of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n Web Documents of University Archives (대학기록관의 웹 기록에 대한 접근성 및 사용성 평가)

  • Son, Ju-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1.08a
    • /
    • pp.79-85
    • /
    • 2011
  • 웹은 디지털 정보화 시대에 정보를 제공하는 가장 보편적인 매체이며 이를 통한 정보 습득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대학기록관의 웹 기록은 대학이 소장하고 있는 기록물을 이용자가 웹을 통하여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기록관 웹 사이트의 현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자동화 평가 도구 K-WHA 3.0을 사용한 접근성 평가와 WebQual 4.0을 이용한 사용성 및 정보품질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객관성과 주관성 각각의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평가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웹 기록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잠재적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대학 별 대학기록관의 웹 기록 구축 현황에 대해 평가였으며 이러한 사용성 평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대학기록관 웹 기록 관리의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and Implementation of the Expert Recommendation System for Public Sector (공공부문 평가위원추천시스템 구현에 관한 사례 연구)

  • Kang, Eun-Sook;Kim, Hong-Chan;Lee, Jae Hwan;Lee, Jung-Ku;Shim, Ja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539-542
    • /
    • 2009
  • 평가위원추천시스템은 평가대상과제와 전문가간의 과제일치도와 평가위원의 공정성 및 전문성을 고려하여 평가대상과제에 대한 평가위원후보를 선정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 개발 및 활용을 통해 평가 전문기관으로서의 위상 및 신뢰성을 강화하였고, 자동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어 평가관리 업무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었다.

개인정보 DB 관리기술의 보안 요구사항 연구

  • Choi, Hyang-Chang;Kim, Hyun;Park, Hae-Ryong;Chun, Kil-Soo;Lee, Hyung-Hyo
    • Review of KIISC
    • /
    • v.18 no.2
    • /
    • pp.76-86
    • /
    • 2008
  • 인터넷을 통한 공공 및 민간 부분 서비스 제공이 활성화됨에 따라 이들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개인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서비스 제공자들은 가입자들의 개인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고 있다. 최근 개인정보에 대한 중요도와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정보보호 제품에 대해 일반 보안기능 및 신뢰성 평가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소유자의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 마련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ECD, 미국 FTC, 유럽연합 등 정보보호 선진국에서 제정한 프라이버시 보호원칙과 기존 DBMS 보안 요구사항을 함께 반영한 개인정보 DB 관리기술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보안 요구사항은 TTA 개인정보 생명주기 관리모델(안)의 생명주기 단계를 기준으로 각 생명주기 단계에서 수행되는 기능 특성에 따라DBMS 보안측면과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작성되었다.

Development of the Factors for Evaluating Performance of the Professional Career Personnel Invitation Program (전문경력인사 초빙활용지원사업의 성과 평가 요소 개발 연구)

  • Kim, Mi-Hye;Park, Hye-Jin;Kim, Yong-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2
    • /
    • pp.51-62
    • /
    • 2021
  • This study developed the factors capable of systematic/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task performance in order to strengthen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professional career personnel invitation program (PCPIP). To this end, a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was developed by analyzing existing project evaluation studies based on boundary theory and Kirkpatrick's four-level evaluation model. Afterwords, through two Delphi surveys, evaluation factors that can measure performance in terms of individual and invitation institutions of PCP were derived and validated. With this procedure, five evaluation factors were finally selected: adaptability, connectivity, clarity, compatibility, and expandabilit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suggesting a performance evaluation factors capable of hybrid quantitative/qualitative evaluation for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PCPIP opera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esearch since 1994.

A Study On Operational Architecture Development Method for Railway System Safety Assessment (철도 안전성 평가를 위한 운용 아키텍처 개발 방안 연구)

  • Jang, Jae-Deuck;Park, 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1 no.1
    • /
    • pp.101-106
    • /
    • 2008
  • Recently, Architecture Frameworks are used to develop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MS). This paper describes an operational architecture development method for railway system safety assessment. using DoDAF (Department of Defense Architecture framework). The need of IMS is increasing to perform safety assessment task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s safety-critical system like railway System. It is necessary that operational architecture based IMS requirements generated fir safety assessment. ARP(Aerospace Recommended Practice)4761 are referred to develop safety assessment operational architecture applicable to railway system. Firstly, schema and template was developed to perform the operational architecture development process using a commercial CASysE(Computer-Aided Systems engineering) tool, CORE. Not only the operational architecture allows building flexible IMS, but also helps business process solving.

A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for e-Clinical Data Management (임상시험 전자자료 관리를 위한 평가 프레임웍)

  • Lee, Hyun-Ju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3 no.1
    • /
    • pp.45-55
    • /
    • 2012
  • Electronic data management is getting important to reduce overall cost and run-time of clinical data management with the enhancement of data quality. It also critically needs to meet regulated guidelines for the overall quality and safety of electronic clinical tria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in electronic clinical data management. Four key metrics in the area of infrastructure, intellectual preparation, study implementation and study completion covering major aspects of clinical trial processes are proposed. The performance measures evaluate the extent of regulation compliance, data quality, cost and efficiency of electronic data management process. They also provide measurement indicators for each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key metrics, the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is developed in three major areas involved in clinical data management - clinical site, monitoring and data coordinating center. As of the initial attempt how to evaluate the extent of electronic data management in clinical trials by Delphi survey, further empirical studies are planned and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