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해성평가 및 관리

Search Result 2,50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redictive model and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and Campylobacter jejuni in milk (우유에서 장출혈성 대장균과 캠필로박터균의 행동예측 모델 개발 및 정량적 미생물 위해성 평가 연구)

  • Dong, Jiaming;Min, Kyung Jin;Seo, Kun Ho;Yoon, Ki Su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3 no.5
    • /
    • pp.657-668
    • /
    • 2021
  • We prepared the growth and survival models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and Campylobacter jejuni in milk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assessed the microbiological risks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whole milk. EHEC and C. jejuni were not detected in whole milk (n=195) in the retail market. The minimum growth temperature of EHEC in milk was 7℃. The lag time of EHEC in whole milk was longer than that in skim milk. The survival ability of C. jejuni in milk was better at 4℃ than at 10℃. Lower delta values were observed in whole milk than in skim milk, indicating that C. jejuni survived better in skim milk. The probability of foodborne illness from whole milk consumption was 5.70×10-5 for EHEC and 9.86×10-9 for C. jejuni. Sensitiv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arket temperature of EHEC and the dose-response model of C. jejuni are correlated with the probability of foodborne illness.

The Study on Improvement of ATE Reliability in Production Phase (무기체계 양산단계 자동화 시험장비(ATE) SW 신뢰성 향상 방안 연구)

  • Yoon, Young-Ho;Ku, Ki-Young;Keum, Jong-Joo;Hwang, Un-Hee;Woo, S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7 no.6
    • /
    • pp.19-26
    • /
    • 2010
  • Nowadays, the high technology weapons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the importance of ATE which measures the test specification is growing bigger and bigger. So the ATE software reliability becomes critical but the regulation of ATE development/management is less inadequate than that of DoD. In this paper, the improvement way of the ATE software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ATE development/management processes were proposed.

A Study on Quality Evaluation of the UNICAT (공동목록시스템(UNICAT)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 Lee You-Jeo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7 no.3
    • /
    • pp.289-30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quality of the UNICAT which builded by KERIS. For the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three evaluation criteria: searching, customer support, ease of use. The study are examined opinions of librarians in charge of technical services about UNIC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UNICAT.

  • PDF

Risk Ranking Determination of Combina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s (식중독 세균과 주요 축산식품 및 가공품 조합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

  • Hong, Soo-Hyeon;Park, Na-Yoon;Jo, Hye-Jin;Ro, Eun-Young;Ko, Young-Mi;Na, Yu-Jin;Park, Keun-Cheol;Choi, Bum-Geun;Min, Kyung-Jin;Lee, Jong-Kyung;Moon, Jin-San;Yoon, Ki-Su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0 no.1
    • /
    • pp.1-12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risk ranking of the combination of pathogen-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s to identify the most significant public health risks and to prioritize risk management strategies. First, we reviewed foodborne outbreak data related to livestock products and determined main vehicles and pathoge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outbreak and case. Second, expert's opinion about management priority of pathogen-livestock product pairing was surveyed with 19 livestock experts in the university, research center, and government agency. Lastly, we used the outcome of Risk Ranger (semi-quantitative risk ranking tool) of 14 combinations of pathogen and 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s. We have classified the combination of pathogen-livestock products into group I (high risk), II (medium risk), and III (low risk) according to their risk levels and management priority. Group I, which is the highest risk for foodborne outbreak, includes Salmonella spp./egg and egg products, Campylobacter spp./poultry, pathogenic E. coli/meat and processed ground meat.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specific guideline of mid- and long-term planning for risk assessment and risk management prioritization of the combination of pathogen and livestock, or livestock product.

State-of-the-Art of Nanotechnology-based Food Products : Toxicity and Risk Assessment(II) (총설 - 나노기술을 적용한 식품의 독성 및 위해성평가 현황(II))

  • Chun, Hyang-Sook;Chang, Hyun-Joo;Ko, Sang-Hoon;Oh, Il-U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24 no.3
    • /
    • pp.308-324
    • /
    • 2011
  • 나노기술을 식품에 응용하게 되면 영양소의 전달, 식품의 색, 향미, 물성 등이 향상되고 식품 포장재나 분석에 응용하는 경우 저장성 증진이나 시료 전처리 효율 및 기기 감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유기 및 무기 나노입자, 나노섬유, 나노에멀전, 나노크레이 등의 나노물질을 식품첨가물, 건강기능소재, 식품 접촉물질 등으로 응용하는 시도가 식품산업계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나노물질의 사용범위가 다양해질수록 나노물질의 환경 및 인체 노출가능성은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아직 나노물질의 독성 및 위해성에 대해서는 초기 단계 수준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정도이다. 또한 나노기술의 위험 평가에 대한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나노물질에 대한 유해성 자료의 생산뿐만 아니라 나노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노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적절한 측정수단이 확립되어야 한다. 나아가 식품에 나노기술의 적용으로 인한 이익은 최대화하고 부작용은 최소화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식품나노물질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폐기 등에 관한 전 생애(lifecycle) 평가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적절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 PDF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Members of Floodgate for River Structure Life-Cycle Management (하천 시설물 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수문 부재별 성능평가모델 개발)

  • Kim, Jin-Guk;Kim, Boram;Kim, Sooyoung;Kim, Hyung-Jun;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5-475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예측하기 어려운 국지성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반되는 돌발홍수를 사전에 대비하기 위해 하천운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인 하천 시설물 점검 및 보수 계획 수립 시, 시설물의 중요도나 하천의 현황 보다는 행정적인 편의성을 고려하여 구간에 따른 육안 점검 등을 통해 일률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하천 시설물 중 약 40% 이상이 준공연수가 30년을 초과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노후화된 하천 시설물의 정확한 상태평가에 따른 보수보강 계획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하천 시설물 관리에 있어 다양한 문제점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DB화하고, 모델링 및 정밀검사 등을 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acilty Management System; FMS)에서 제공하는 하천 시설물 관리대장 중 테스트베드에 위치한 수문의 개별부재에 대한 상태 평가지수를 활용하여 시설물의 생애주기를 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성능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성능평가모델은 하천 시설물의 합리적인 관리체계를 통해 분석된 결과로부터 시설관리자가 하천 관리 및 계획수립에 있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지원 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bject Manage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Air Traffic Control Simulation Based on HLA/RTI (HLA/RTI 기반 항공교통관제 시뮬레이션의 객체 관리 설계 및 구현)

  • Kim, Se-Hwan;Chae, Soo-Ho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783-786
    • /
    • 2005
  • HLA는 상호 운용성과 재사용성을 목적으로 미국 국방성 산하 기관인 DMSO에서 개발되어진 분산 시스템 프레임워크이다. 이러한 HLA가 민간 부분 적용을 위해 표준이 발표되었고, HLA는 여러 분야의 범용성을 가지기 위해 복잡한 구현 시스템을 가지게 된다. 특히, 객체의 속성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통신 부하가 발생한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였던 객체 관리 모듈을 이용한 항공 교통관제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여 객체 관리 모듈의 성능 및 적용 분야를 평가한다.

  • PDF

Long-Range Water Resources Prediction and Flood Risk Assessment using Climate Information (기후정보 활용 수자원 장기예측 및 중장기 홍수위험도 평가)

  • Yoon, Sunkwon;Choi, Jihyeok;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7-17
    • /
    • 2018
  • 재난발생 위험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확실성 요인을 줄이고 사전에 소멸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 될 수 있다. 또한 재난관리 관점에서 그것이 발생했을 때 어떤 식으로 대응할지에 대한 과정이 체계적으로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복구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수반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정보를 활용한 중장기 수문예측을 실시하고 통합홍수위험평가 시스템 구축을 통한 홍수위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243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홍수관련 위해성, 노출성, 취약성 자료를 수집하여 표준화하였으며, 전문가 Delphi-AHP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가중치를 적용하고 위험도를 예측 평가하였다. 이러한 중장기 위험 예측 정보는 한 달 또는 수개월 전에 지자체 행정력을 집중 및 분산시키고, 수재해(홍수/가뭄 등) 위험관리 계획 수립이 가능하여 재난관리자에게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난의 생애주기(Life Cycle)별 예방, 대비, 대응, 복구 단계에 따라 사전과 사후에 가능한 주요 활동들을 구체화 할 수 있으며, 시간 스케일별 기후예측 정보를 활용한 재난관리 패러다임 전환과 골든타임 확보 등 수자원예측 분야 기술적 진보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통계 역학 모형 기반 중 장기 예측 정보의 신뢰도가 향상 된다면 보다 다양한 분야 예측 정보 서비스 및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Web Resources Based Collection Development for Digital Libraries (디지털 도서관의 웹자원 기반 장서개발)

  • Lee, Jee-Yeon;Kim, Sung-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3 no.1
    • /
    • pp.111-127
    • /
    • 2003
  • Web-based information resources should be managed and used methodically in the same manner as the paper-based resources are managed and used. It is necessitated by the prevalence of web-based delivery of a variety of information. To develop a web-based digital collection, it is critical to establish a set of standardized evaluation criteria for web-resources. The evaluation criteria needs to include authority, trustworthy, reliability, functionality, relatedness, accessibility, structure, design, user support, and security related matters.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certain flexibility to either emphasize or include particular evaluation criteria to reflect varying characteristics of the web resources especially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n effective digital collection.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review the evaluation criteria with respect to value, demand, duplication pre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which are relevant to the web-based digital collection development. Finally, various strategies were suggested as means to develop more effective web-based digital resource collection. These strategies include organizing a selection committee to ensure the objectivity and consistency in web-resource evaluation; developing a model for web-based digital resource collection; sharing new standards, protocols, markups, and metadata with other digital libraries; and developing user-centered digital resource collection.

A Case Study on Enhancing Data Quality Through Improvement of Data Management Process: koid Corp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데이터 품질 개선 사례 연구: (주) 코이드 사례)

  • Huh, Hee-Joung;Kim, Jong-W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345-350
    • /
    • 2007
  • 최근 기업의 각 업무가 정보화 되면서 부문별, 업무별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간에 심각한 중복성과 불일치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데이터 품질관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로 데이터 표준 관리와 데이터 요구사항 관리를 통매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개선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타 기업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개선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다차원적인 평가로서 데이터 품질, 생산성, 고객만족도, 조직 및 문화의 측면에서 정성 적이고 정량적인 지표를 통한 개선효과를 살펴보고 평가함으로써 제안된 프로세스에 의해 품질수준이 향상되었음을 검증하였고 평가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