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 기반 질의 처리

Search Result 24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n-Route Nearest Neighbor Query Processing Algorithm with Space-constraint in Spatial Network Databases (공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제약을 고려한 경로 내 최근접 질의처리 알고리즘)

  • Kim, Yong-Ki;Kim, Ah-Reum;Chang, Jae-Wo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0 no.3
    • /
    • pp.19-30
    • /
    • 2008
  • Recently, the query processing algorithm in the field of spatial network database(SNDB) has been attracted by many Interests.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route-based queries. Since the moving objects move only in spatial networks, the efficient route-based query processing algorithms, like in-route nearest neighbor(IRNN), are essential for Location-based Service(LBS) and Telematics application. However, the existing IR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has a problem that it does not consider traffic jams in the road network.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IR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which considers space restriction. Finally, we show that space-constrained IRNN query processing algorithm is efficient compared with the existing IRNN algorithm.

  • PDF

Range Query Processing using Space and Time Filtering in Fixed Grid Indexing (고정 그리드 인덱싱에서 공간과 시간 필터링을 이용한 범위 질의 처리)

  • Jeon, Se-Gil;Nah, Yun-Moo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4
    • /
    • pp.835-844
    • /
    • 2004
  • Recently, the location-based service for moving customers is becom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area. For moving object applications, there are lots of update operations and such update loads are concentrated on some particular area unevenly. Range queries, whose range can be window or circular, are the most essential query types in LBS. We need to distinguish completely contained cells from partially contained cells in those range queries. Al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emporal dimension to filter out qualifying objects correctly. In this paper, we adopt two-level index structures with fixed grid file structures in the second level, which are designed to minimize update operations. We propose a spatial ceil filtering method using VP filtering and a combined spatio-temporal filtering method using time gone concepts. Some experimental results are shown for various window queries and circular queries with different filtering combinations to show the performance tradeoffs of the proposed methods.

Query Processing of Uncertainty Position Using Road Networks for Moving Object Databases (이동체 데이타베이스에서 도로 네트워크를 이용한 불확실 위치데이타의 질의처리)

  • Ahn Sung-Woo;An Kyung-Hwan;Bae Tae-Wook;Hong Bong-Hee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3 no.3
    • /
    • pp.283-298
    • /
    • 2006
  • The TPR-tree is the time-parameterized indexing scheme that supports the querying of the current and projected future positions of such moving objects by representing the locations of the objects with their coordinates and velocity vectors. If this index is, however, used in environments that directions and velocities of moving objects, such as vehicles, are very often changed, it increases the communication cost between the server and moving objects because moving objects report their position to the server frequently when the direction and the velocity exceed a threshold value. To preserve the communication cost regularly, there can be used a manner that moving objects report their position to the server periodically. However, the periodical position report also has a problem that lineal time functions of the TPR-tree do not guarantee the accuracy of the object's positions if moving objects change their direction and velocity between position report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the query processing scheme and the data structure using road networks for predicting uncertainty positions of moving objects, which is reported to the server periodically. To reduce an uncertainty of the query region, the proposed scheme restricts moving directions of the object to directions of road network's segments. To remove an uncertainty of changing the velocity of objects, it puts a maximum speed of road network segmen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mproves the accuracy for predicting positions of moving objects than other schemes based on the TPR-tree.

Aggregation Method using R-tree for Spatial Continuous Query in DSMS (DSMS에서 영역을 포함하는 공간 연속질의 처리를 위한 R-tree기반의 집계기법)

  • Kim, Sang-Ki;Li, Yan;Lee, Dong-Wook;Oh, Young-Hwan;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80-84
    • /
    • 2008
  • DSMS는 USN과 같은 환경으로부터 스트림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 받아 등록된 연속질의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DSMS는 등록된 연속질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버퍼에 관리하며, 스트림데이터의 저장기법에 따라 연속질의 처리 성능 및 버퍼 저장비용이 개선될 수 있으며, DSMS에서 연속질의는 특정 스트림데이터에 대해 일정한 기간 동안의 평균 값, 최대 소 값, 누적 값 등의 집계 연산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DSMS에서는 이러한 집계 연산이 필요한 연속질의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LINT, BINT등의 자원 공유 집계 처리기법이 제안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자원공유 집계 기법들은 위치 값을 포함하는 GeoSensing 데이터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DSMS에서 공간영역질의 기반의 연속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R-tree기반의 집계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각각의 연속질의에 포함된 공간 영역을 R-tree 인덱스로 구성하고, 연속질의에 필요한 공간 스트림데이터에 대한 집계값을 저장하여 연속질의를 처리하는 것이다. 제안기법은 공간 DSMS에서 공간영역 기반의 연속질의 처리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R-tree 기반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데이터 만을 버퍼에 관리하여 저장비용을 줄일 수 있다.

  • PDF

Multiple Spatial Query Processing in Declustered Spatial Databases (디클러스터링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다중 공간 질의 처리)

  • 박영민;전봉기;서영덕;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14-316
    • /
    • 1999
  • 다중 공간 질의는 동시에 2개 이상 수행되는 영역 질의로 정의되며 인터넷 기반 지도 보기 응용의 주요 연산이 되므로, 질의 처리 속도의 향상을 위해서 병렬로 처리되어야 하고 디스크 입출력 비용을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다. 그런데 다중 공간 질의는 디스크 입출력 비용을 개선하기 위해 다중 CPU/다중 디스크 구조 상에서 디클러스터링을 수행하더라도 디스크 임의 탐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디클러스터링 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중 공간 질의를 처리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인 질의 간임의 탐색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으로 질의 간 위치 관련성과 질의 처리 이력을 이용한 질의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한 성능 평가 결과, 질의 스케줄링을 수행 할 경우 디스크 입출력 비용을 줄일 수 있어 다중 공간 질의 처리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Jini-based context-aware chatting program (jini 기반의 context-aware chatting program)

  • Park, Han-Sol;Choi, Tae-Uk;Chung, Ki-Do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3.11b
    • /
    • pp.1177-1180
    • /
    • 2003
  • 차세대 비젼 컴퓨팅 환경인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환경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상황(context)변화에 적응적(adaptive)으로 서비스 해줄 수 있는 응용이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Service기반의 분산 네트워크인 JINI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상황을 인식(context-aware)하기 위한 시스템 연구 역시 관심의 대상이라고 한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행동, 감정상태, 위치와 같은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검색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정보, 활동형태 등의 context들을 질의 할 수 있는 Context-aware 챗팅 프로그램을 기술하고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context 데이터의 표현과 질의를 위해 메타언어인 eXtensible Makup Language (XML)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context-aware system은 편재형 컴퓨팅환경 하에서 사용자에게 유효한 context를 생성 및 관리, 응용 서비스에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Power-Aware Query Processing Using Optimized Distributed R-tree in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적화된 분산 R-tree를 이용한 에너지 인식 질의 처리 방법)

  • Pandey Suraj;Eo Sang-Hun;Kim Ho-Seok;Bae Hae-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1 s.104
    • /
    • pp.23-28
    • /
    • 2006
  • In this paper, a power-aware query processing using optimized distributed R-tree in a sensor network is proposed. The proposed technique is a new approach for processing range queries that uses spatial indexing. Range queries are most often encountered under sensor networks for computing aggregation values. The previous work just addressed the importance but didn't provide any efficient technique for processing range queries. A query processing scheme is thus designed for efficiently processing them. Each node in the sensor network has the MBR of the region where its children nodes and the node itself are located. The range query is evaluated over the region which intersects the geographic location of sensors. It ensures the maximum power savings by avoiding the communication of nodes not participating over the evaluation of the query.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in Metric Spaces (거리공간에서의 리버스 스카이라인 질의 처리)

  • Lim, Jong-Tae;Park, Yong-Hun;Seo, Dong-Min;Lee, Jin-Ju;Jang, Soo-Min;Yoo, Jae-So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7
    • /
    • pp.809-813
    • /
    • 2010
  • Many studies on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have been done for company oriented services. The existing methods about reverse skyline are reverse skyline based on dynamic skyline. There is no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algorithm based on metric spaces for location-based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verse skyline query processing scheme that applies for a general skyline and considers distance spaces. The proposed method processes reverse skyline queries in the metric spaces using the existing spatial indexing scheme and considers both Monochromatic and Bichromatic environments.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cheme, we compare it with the basic skyline query processing scheme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excellent performance was about 5000 times more than conventional method.

Different Load Shedding using utilization of Spatial over Data Stream (데이터 스트림에서 공간의 이용도를 이용한 차등적 부하제한 기법)

  • Kim, Ho;Baek, Sung-Ha;Lee, Dong-Wook;Shin, Soong-Sun;Bae, Hae-Yo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9.04a
    • /
    • pp.340-343
    • /
    • 2009
  • u-GIS 환경에서 GeoSensor로부터 수집되는 시공간 데이터는 데이터 스트림의 특징을 포함한다. 데이터 스트림은 다양한 입력 속도로 끊임없이 입력되고, 데이터의 크기 또한 가변적이다. 이런 이유로 한정적인 메모리와 처리능력의 시스템은 과부하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과되는 데이터를 버려 메모리 초과를 방지하는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공간질의는 공간과 위치 값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연산으로 공간질의 정확도는 공간과 위치 정보를 통해 보장된다. 그러나 기존 기법인 랜덤부하제한 기법과 의미적부하제한 기법은 공간질의가 요구하는 공간과 위치 값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삭제하기 때문에 공간질의에 대한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의 이용도를 이용하여 차등적 비율을 적용한 부하제한 기법은 연구하였다. 이 기법은 등록된 공간질의의 영역 겹침 정도에 따라 중요 레벨을 증가시키고, 이를 토대로 시공간 데이터의 중요도를 파악하여 중요도마다 주어진 비율에 의하여 차등적으로 삭제한다. 결과적으로 기존 기법보다 다소 높은 Drop rate를 통해 질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회복시켰으며, 중요 데이터를 최대한 유지하여 Error rate를 감소시켰다.

A Study on The Grid File Construction Method based on MapReduce for Multidimensional Data Processing (다차원 데이터 처리를 위한 맵리듀스 기반의 그리드 파일 생성기법에 관한 연구)

  • Jung, Joo-Hyuk;Lee, Sang-H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4.04a
    • /
    • pp.77-80
    • /
    • 2014
  • 최근 컴퓨터와 인터넷 이용의 확산,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소셜 네트워크 이용의 확대, 위치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 확대 등으로 처리해야 할 데이터 크기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그로 인해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큰 규모의 분산 컴퓨팅 환경을 지원하는 프레임워크인 하둡이 개발되었으며 많은 기업에서 이를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대용량 데이터 중 영상, 의료, 센서 데이터 등 다차원 데이터 처리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기존의 다차원 데이터 처리를 위해 다양한 다차원 인덱스가 제안되었지만, 대용량 다차원 데이터 처리는 단일머신에서는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차원 인덱스 기법인 그리드 파일을 하둡의 분산 병렬 처리 모델인 맵리듀스를 기반으로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앞서 생성된 그리드 파일을 가지고 맵리듀스를 이용한 질의처리 방법을 제안 한다. 이로 인해 단일머신에서의 그리드 파일 생성을 병렬처리 함으로써 생성 시간을 단축시키고 질의 처리 또한 맵리듀스를 이용하여 병렬 처리 함으로써 질의 시간 단축을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