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Secure Location Service for Ad hoc Position-based routing (애드혹 위치기반 라우팅을 위한 안전한 위치 서비스)

  • Lim Ji-Hwan;Kim Sang-Jin;Oh Hee-Kuc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6.06a
    • /
    • pp.665-669
    • /
    • 2006
  • 애드혹(ad hoc) 네트워크에서의 위치기반 라우팅(position-based routing)은 노드의 지리적인 위치정보를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라우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위치기반 라우팅에서 위치 서비스(location service)는 라우팅의 안전성과 효율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 위치 서비스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메시지를 인증하고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공개키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구조를 사용하지는 않는다. 노드는 자신이 생성한 공개키/개인키 쌍을 이용하여 자신이 소유주임을 주장할 수 있는 위치 주소를 생성하여 라우팅에 사용하게 되며 공격자는 이미 참여하고 있는 다른 노드를 가장하여 메시지를 보내거나 공격할 수 없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기존에 존재했던 다양한 공격들에 대해 안전하며 위치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공격에도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다.

  • PDF

Virtual Location Information based Routing Scheme in Wireless Ad-Hoc Networks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가상위치정보 기반 라우팅 기법)

  • Youn, JooSa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2
    • /
    • pp.77-85
    • /
    • 2013
  • Recently, location information based routing protocol has been studied to estimate end-to-end path in wireless ad-hoc network. This protocol assumes all nodes can get heir location information via GPS devices and floods only limited area with routing message through acquired location information. Therefore, this protocol has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routing message than the existing IP-based routing protocols. In addition, all nodes enabling this protocol must acquire their own location information to participate in the location-based routing. However, recent because of the miniaturization of sensor node, sensor node without GPS function has been launched. Therefore in case of the sensor node that does not know location information, it is im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ad hoc network configur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based routing. In this paper, a virtual location information based routing scheme is proposed for wireless nodes without GPS function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location information based routing within ad hoc network environments consisting of wireless nodes with GPS function and wireless nodes without GPS function. Therefore, the proposed protocol has the advantage that a wireless node without a GPS function is able to participate in ad hoc network configur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based rout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Position-based and Non-position-based Routing Protocols in a Vehicular Ad-Hoc Network (VANET에 있어서 위치기반과 비위치기반 라우팅프로토콜의 성능 평가)

  • Jo, Jun-Mo;Choi, Dae-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2
    • /
    • pp.213-218
    • /
    • 2006
  • In this paper, we evaluate and compare performance between position-based and non-position-based routing protocols in a vehicular ad-hoc network. The protocols evaluated in this paper for many performance evaluation aspects are a position-based routing protocol, GPSR (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 and the non-position-based such as AODV (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and DSR (Dynamic Source Routing) protocols. The three protocol characteristics such as Packet Delivery Ratio, Latency of first packet per connection, and Average number of hops depending on distance are compared and evaluated. As the result of simulation, the AODV performed better than the DSR. However, due to the high mobility characteristic of a vehicular ad-hoc network, GPSR, the position-based routing performs better than the non-position-based routing protocols such as AODV and DSR in a vehicular ad-hoc network environment.

  • PDF

A Route Recovery Method for position based Ad hoc routing (위치기반 Ad hoc 라우팅에서 경로복구 방법론)

  • 차우석;유석대;조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28-330
    • /
    • 2002
  • Ad hoc 네트워크는 유선기반구조 없이 지리적으로 분산된 노드들이 동적으로 연결되어 자치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라우팅 프로토콜은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최소의 오버 헤드를 갖도록 수행되어야 한다. 위치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노드들간의 경로를 설정하고 유지할 필요 없이 직접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도록 지원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인 GPF(Greedy Packet Forwarding)기법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도중 패킷을 전송할 수 없는 영역에 도착했을 때, 지역적인 flooding을 이용하여 이를 복구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 복구방법에서 전반적인 패킷 전송은 GPF기법을 적용하며, GPF기법을 적용할 수 없는 영역에서만 지역적으로 flooding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따라서 제어메시지를 지역에 국한시켜 사용함으로써 제한된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노드들의 수가 증가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보다나은 확장성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Secure Quorum-based Location Service for Ad hoc Position-based Routing (애드혹 위치기반 라우팅을 위한 안전한 쿼럼기반 위치 서비스)

  • Lim, Ji-Hwan;Oh, Hee-Kuck;Kim, Sang-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7 no.4
    • /
    • pp.21-35
    • /
    • 2007
  • In ad hoc networks, position-based routing schemes, that use geographical positions of nodes, have been proposed to efficiently route messages. In these routing schemes, the location service is one of the key elements that determines and effects security and efficiency of the protocol. In this paper, we define security threats of location service and propose a new quorum based location service protocol. In our proposed protocol, nodes register their public keys in other nodes during the initialization phase and these registered keys are used to verify locations of other nodes and the messages exchanged. In this paper, we prove that our protocol is robust against traditional attacks and new attacks that may occur due to the use of position-based routing. We also analyze the efficiency of our protocol using various simulations.

The AODV Routing Protocol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for Inter-Vehicle Communication (차량간 통신을 위한 위치 정보 기반의 AODV 라우팅 프로토콜)

  • Lee, Eun-Ju;Lee, Kwoun-Ig;Jwa, Jeong-Woo;Yang, Doo-Y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3
    • /
    • pp.47-54
    • /
    • 2008
  • In order to realiz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 without any road facilities support, Inter-vehicle Communication (IVC) is increased attention. IVC makes it possible to exchange real-time information among vehicles without centralized infrastructure. The IVC systems use multi-hop broadcast to disseminat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mproved AODV routing protocol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The proposed AODV routing protocol transmits Hello packet with location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distance between nodes. Then it achieves fast link recovery. We confirm the throughput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ODV routing protocol compared with the AODV routing protocol using Qualnet ver.3.8 simulato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ocation-based Energy-Efficient Routing Protocol using Quantity of Energy Consumed (에너지 사용량을 이용한 위치 기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 Jang, You-Jin;Kim, Yong-Ki;Chang, Jae-Wo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2 no.1
    • /
    • pp.1-9
    • /
    • 2010
  • Recently, wireless sensor networks(WSNs) technolog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the ubiquitous computing age. The sensor nodes have limited battery power, so they should consume low energy through their operation for the long-lasting lifetim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se energy efficient routing protocol. For this, we propose a location-based energy-efficient routing protocol which constructs the energy efficient route by considering the quantity of Energy consumed. In addition, we propose a route reconstruction algorithm to handle the disconnection of message transmission. Finally, we show from performance analysis using TOSSIM that our protocol outperforms the existing location based routing protocols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nodes for efficient prediction based routing in DTN (DTN에서 효율적인 예측 기반 라우팅을 위한 노드 속성 분석)

  • Dho, Yoon-hyung;Jeon, Il-kyu;Oh, Young-jun;Lee, Ka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10a
    • /
    • pp.99-101
    • /
    • 2014
  • 불안정한 네트워크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Delay Tolerant Network(DTN)에서는 안정적인 통신을 위해 저장 및 전달(store-carry-forward)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중 노드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추후 네트워크 상황을 예측하고 라우팅을 하는 예측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은 GPS와 같은 위치 서비스의 발전으로 인해 DTN에 효과적으로 적용 될 수 있다. 이러한 예측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에서는 중계 노드의 효율성이 네트워크의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위치 서비스를 통해 받는 노드의 속성 정보를 분석하는 연구가 제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노드의 속성 정보를 네트워크의 환경 정보에 따라 분석하여 효율적인 중계 노드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노드의 속도, 방향, 위치 등의 속성 정보를 네트워크의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더 효율적인 노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한 라우팅 프로토콜이 기존 라우팅 프로토콜에 비해 전송률, 지연시간, 오버헤드 측면에서 향상됨을 검증한다.

  • PDF

Cluster-Based Power-Efficient Routing Protocol for Sensor Network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

  • 권기석;이승학;윤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508-510
    • /
    • 2004
  • 센서 네트워크는 관심이 있는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서 관찰지역 내에 뿌려진 센서 노드들로 구성된다.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센서 노드들의 수명은 전체 센서 네트워크 수명에 많은 영양을 준다. 하나의 센서 노드가 수명을 다 했을 때 이는 센서 네트워크의 분할을 가져 올 수도 있다. 그러므로 모든 센서 노드들이 공평하게 다 같이 오래 사는 것이 전체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클러스터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라우팅 프로토콜(Cluster-eased Power-Efficient Routing Protocol CBPER)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여러 개의 유동성 싱크 노드를 가진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며 효율적인 라우팅을 위해서 각 센서 노드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만든 그리드 구조를 이용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두 계층 데이터 전송 라우팅 (Two-Tier Data Dissemination Routing: TTDD) 프로토콜과 비교를 하였다. 실험결과는 CBPER 프로토콜이 TTDD 라우팅 프로토콜 보다 좀 더 에너지 효율적이라는 결과를 보여 준다.

  • PDF

A Method to Support Mobile Node in On-demand Geographic Routing Protocol (On-demand 위치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에서의 이동 노드 지원 방안)

  • Lee, Hyunjun;Lee, Ky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27-128
    • /
    • 2009
  • 위치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에서의 기본 가정인 이웃 노드들과의 주기적인 위치정보 교환은 노드의 이동성이 있는 경우, 그 성공률을 보장하기가 어렵다. GPSR[1]에서 제안하고 있는 1-홉 거리에 있는 노드들의 정보를 테이블로 관리하는 방식은 데이터 전달이 없는 지역에서도 주기적인 비콘의 교환으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있으며, 노드들의 위치가 변경되었을 때, 비콘 (beacon)을 수신한 시점의 위치정보와 데이터 전달시점의 위치정보의 불일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드의 이동성이 빈번한 환경의 위치기반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데이터전달시점에 이웃 노드들의 정보를 바탕으로 다음 전송노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