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 결정

Search Result 4,573,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A Study on Combination of GPS and RFID in Continuous Indoor/Outdoor Positioning (실/내외 연속 위치결정을 위한 GPS와 RFID 신호의 결합에 관한 연구)

  • Chang, An-Jin;Yang, Sung-Chul;Joo, Hyun-Seung;Yu, Ki-Yun;Kim, Yo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77-282
    • /
    • 2007
  •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실외에서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 대상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실외에서는 GPS를 이용하여 광범위한 지역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건물 인근 지역에서는 위치결정에 필요한 수의 위성이 확보되지 않고, 다중경로 오차의 영향 등으로 위치결정이 불가능하고 실내에서 활용 가능한 수준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실내 위치 결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 중에 RFID를 이용한 방법은 GPS 에 비해 위치 정확도는 낮지만 실내에서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위치 결정이 가능하므로 GPS로 위치 결정이 불가능한 지역에 시스템을 구축하면 설내/외에서 연속적인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연속적 위치 결정을 위해 GPS 신호 수신이 가능한 실외 지역에서 RFID 시스템을 설치한 건물 안으로 이동하면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내외에서의 연속적인 위치결정을 수행하였다. 특히,데이터 에포크 간의 거리를 통해 이상점을 탐지하고, 이상점(Outlier)이 발생할 경우 다른 센서로 위치결정을 대체하는 기법을 제안하였고 그 결과 실내외에서 연속적인 위치결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통신해양기상위성에서의 태양반사(SUNGLINT) 위치 결정 알고리즘 연구

  • 박재익;박상영;최규홍;안유환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49-49
    • /
    • 2003
  • 2008년 발사 예정인 통신해양기상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의 성공적인 임무완성에 기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해양위성 관측자료 분석에 적용할, 위성의 위치 및 하루 또는 연중 태양의 위치에 따른 해수면 태양반사(Sunglint) 영역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주는 예측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정지궤도위성의 태양반사 영역의 정확한 위치 결정은 태양-위성-지구를 고려한 구면 천문학과 반사의 법칙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는데 적절한 구면 좌표계에서 하루 또는 연중 태양의 위치와 위성의 위치를 통해 얻어진 비선형 방정식을 Newton-Raphson 수치 방법을 이용하여 태양반사 영역의 정확한 위치와 움직임을 계산하였다. 또한 정지궤도위성이 아닌 극궤도위성의 태양반사 영역의 위치 결정은 해당 위성의 TLE(Two Line Elements)을 이용한 궤도분석 프로그램인 ASAP(Artificial Satellite Analysis Program)을 이용해 시간에 따른 위성의 위치를 구하여 정지궤도위성에서의 위치 결정 알고리즘과 같은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기본적인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이미지 센서를 가진 궤도 위성에서의 태양반사 영역 위치 결정과 그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GPS 위성과 천체 역학을 이용한 위치 결정

  • 김형규;최규홍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1993.10a
    • /
    • pp.9-9
    • /
    • 1993
  • GPS는 지구 중심으로부터 GPS 위성의 거리와 위성과 관측자사이의 의사거리(pseudorange)를 이용해서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1993년 6월 12일 연세대학교에서 3시간동안 관측하여 연세대학교의 위치를 구하였다. 이 위치는 WGS-84 타원체이므로 Bessel타원체로 좌표변환하였다.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성의 위치와 의사거리에 미치는 잡음(noise)을 제거해야 한다. GPS 위성의 위치 결정에는 지구 비대칭중력항에 의한 섭동, 태양, 달에 의한 섭동, 태앙 복사압에 의한 섭동, 지각, 해양의 조석력에 의한 섭동, 태양빛의 지구 반사도(albedo)에 의한 섭동을 고려해야하며 이를 위해서 위성의 Telemetry를 분석하여 구해 보았다 의사거리의 잡음중 가장 큰 요소인 이온층, 대류층에 의한 지연(delay)에 대해 연구 하였고 각각 Kiobuchar모델, Hopfield모델을 써서 보정을 하였다. 자료 처리를 P모델, PV모델을 만들어 칼만 필터에 적용하였고 RV모델이 P모델보다 더 정확하였나, 위치 결정의 정확도를 알아 보기위해서 국립 천문대부설 GPS관측소에서 결정한 위치와 비교,분석하였다.

  • PDF

육상교통 환경에서 시각도움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결정 가용성 분석

  • Han, Ji-Ae;Gang, U-Yong;Lee, Eun-Seong;Park, Jae-Ik;Kim, Hyeon-Su;Heo, Mun-Beom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1.04a
    • /
    • pp.21.3-21.3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육상교통 환경에서 GPS 가시 위성의 수가 부족할 경우 사용자 위치 결정 성능 향상을 위해 시각도움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GPS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위성으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수신기까지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을 정확히 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다. 이를 위하여 위성과 수신기 간의 시각이 정확히 동기가 되어야 하지만 대부분 저가 발진기를 사용하는 수신기의 측정치에는 수신기 시계오차가 포함되어 있다. GPS 측정치로부터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해서는 수신기 시계 오차가 고려되어야 하기에 최소 4개의 위성이 필요하지만 건물, 차량, 나무 등의 장애물의 영향을 받는 육상교통 환경에서는 4개 미만의 위성이 관측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정상적인 방법으로 수신기 시계오차가 계산되지 않아 위치 결정 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시각도움정보를 활용하여 위치 결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의 시각도움정보는 가시 위성이 4개 이상의 경우 결정된 수신기 시계오차를 수신기 시계 고정법을 적용하여 생성하였다. 가시 위성수가 3개로 결정된 위치 결과와 시각도움정보를 적용하여 결정된 위치와의 비교를 통해 위치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컴플라이언스 기구를 이용한 다축 나노 위치결정 시스템의 개발 : PART 1 설계 및 해석

  • 박성령;양승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37-137
    • /
    • 2004
  • 최근, 나노 위치결정 시스템이 우주항공, 광통신, 의학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나노위치결정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성이다 열팽창과 가공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단일재료를 사용하고 대칭구조로 구성해야만 한다. 또한 나노 스케일의 분해능을 가지기 위해서는 스틱 슬립(stick-slip) 마찰이나 백래쉬(backlash) 기구가 없어야만 가능하다.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하기 위해서 선행 연구자들은 유연힌지(flexure hinge)를 사용한 컴플라이언스 기구(compliance mechanism)를 제안하였고 이미 마이크로/나노 위치결정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졌다.(중략)

  • PDF

Design of Algorithm for Economic Positioning System in Unit Range (단위지역내 경제적 위치측정 시스템을 위한 알고리즘개발)

  • Park, Young-Jin;Kim, Y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565-567
    • /
    • 2001
  • 교류의 증대와 활동영역의 증가로 인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최적의 거리를 검색하는 등의 필요성에 의해 위치결정을 위한 방법과 시스템은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특히 미해군항공위성시스템에서 시작하여 개발되어진 GPS 시스템은 현재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DGPS의 개발로 인하여 더욱 고정밀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위치결정의 기본원리인 TDOA를 응용하여 단위 지역내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경제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위치 결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Two-Phase Algorithm for Determining the Number and the Locations of RBF Centers (RBF 네트웍의 중심 개수와 위치의 통합 결정을 위한 Two-Phase 알고리즘)

  • 이대원;이재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827-834
    • /
    • 2003
  • 기존의 RBF네트웍의 중심 결정에 관한 연구에서는 은닉중의 노드 수(즉 중심의 개수)가 결정되었다는 가정하에 그 위치만을 결정하는 알고리즘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RBF 네트웍 의 성능과 계산속도는 중심의 개수에도 민감하기 때문에, 중심 위치와 개수의 통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RBF 네트웍의 중심결정에 있어서 그 위치 뿐만 아니라 개수까지 동시에 고려하는 Two-Phase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Two-Phase 알고리즘은 두 단계로 구성된다 찻 번째 단계에서는 Bi-section 방법과 보정된 k-medoid 군집화 기법을 이용하여 네트웍의 최소 중심 개수와 위치를 결정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RBF 네트웍의 weight를 결정하고 네트웍 설계를 마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다양한 수지 예제에 적용한 결과, 중심결정에 관한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더 적은 수의 중심으로 더 정확한 예측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Input Shaping for Vibration Reduction in Precise Positioning System (정밀 위치결정 시스템의 진동 저감을 위한 입력성형 기법)

  • Hong, Seong-Wook;Park, Sang-Won;Singhose, William 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5 no.4
    • /
    • pp.26-31
    • /
    • 2008
  • 본 논문은 정밀 위치결정 시스템의 잔류진동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입력성형기법을 소개하고, 실시간 입력성형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또한 두 가지 응용 분야에 대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입력성형기법의 성능을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입력성형기법은 정밀 위치결정 시스템에 대해 동작 완료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되먹임제어 방법에 비해 적용방법도 간단하며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많은 정밀 위치결정 시스템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tion Error Correction Algorithm for RTLS (RTLS를 위한 위치 보정 기법의 설계 및 구현)

  • Jung, Dong-Gyu;Ryu, Woo-Seok;Park, Jae-Kwan;Hong, B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86-292
    • /
    • 2008
  • RTLS 시스템은 이동 객체에 RTLS 태그를 부착한 후 태그에서 발산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 최근 항만 물류 및 자산 관리 분야에서 객체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RTLS 시스템은 태그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삼각 측량 법이나, Proximity matching법을 사용한다. 삼각 측량법은 3개 이상의 리더에서 수신된 신호 세기나 신호의 도달 시간을 이용하여 삼각측량 방식으로 위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으로, 전파의 난반사나 장애물등에 민감하며, Proximity matching법은 위치 샘플링 값에 대한 근접성을 이용한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으로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나, 샘플링 데이터 개수에 따라 정확도가 크게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위치 정보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Fingerprint 방식의 확률 모델에 TDOA 방식에서 사용되는 요소들을 혼합하여 확률에 의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더 높은 정확도의 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위치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2단계 위치 보정 기법은 먼저, Fingerprint 데이터 셋으로부터 현재 측정된 위치의 신호정보를 이용한 확률 모델을 적용하여 단 하나의 후보자를 결정한다. 둘째, 측정된 정보와 후보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TDOA에서 사용하는 기하학적 위치 결정 방법을 변형한 알고리즘을 이용해 측정된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TDOA 방식이나, Fingerprint 방식 둘 중 하나만 사용하는 것보다 향상된 위치의 정확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위치 보정 기법을 위한 위치 보정 모듈을 설계하였으며, RTLS 미들웨어에 이를 반영하여 구현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Automatic Car-Navigation by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측량에 의한 자동차 자동위치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강인준;정재형;장용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1 no.1
    • /
    • pp.61-66
    • /
    • 1993
  • Position fixing is determined by triangulation, traverse surveying and astronomy surveying, However, when the station like a car move,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car. Satellite position fixing system can be used anywhere on earth arranged in 20, 000 km high with 24 satellites. The theoretical method of the fixing composition is possible to use satellite position fixing system. This paper is the part of the experiment which is dose for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used in Car-position fixing system. Also, this study is the comparison of one point positioning system and relative position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