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치확인

검색결과 8,199건 처리시간 0.035초

EML doping 위치에 따른 적색 인광 OLED 특성 변화 연구

  • 현영환;최병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30.1-23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Host-Dopant system 기반 적색 인광 OLED의 Emitting layer(EML)에서 doping 위치에 따른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EML은 host 물질로 60 nm 두께의 CBP를 사용하고, 적색 발광을 위해 10 %의 $Ir(btp)_2$를 CBP의 Front, Middle, Back side에 각각 20 nm씩 doping하였다. 본 구조의 적색 인광 OLED는 current density, luminance, efficiency, EL spectrum 등을 통해 전기적, 광학적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Front, Back side에 doping으로 인한 CBP의 Energy level이 3.6 eV에서 1.9 eV로 감소하여 각각 HTL/EML, EML/HBL의 경계에 carrier direct injection이 활성화 되었고, 이로 인한 charge balance의 저하를 확인하였다. EL spectrum결과 각 소자는 CBP의 618 nm 파장 외에도, 추가적으로 TPBi의 398 nm, NPB의 456 nm의 파장을 보였다. 이를 통해 doping 위치에 따라 exciton이 형성되는 recombination zone이 이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Front side는 6 V의 인가전압에서는 발광 파장이 398 nm에서 높은 값을 보이나 8 V, 10 V, 12 V에서 618 nm에서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인가전압에 의해 recombination zone이 HTL쪽으로 이동되는 것 또한 확인하였다.

  • PDF

LED 조명 기반 실내위치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로봇의 방향 검출 및 자율주행 (Direction detection and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LED lighting-based indoor location recognition system)

  • 방재혁;박수만;이건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98-1299
    • /
    • 2015
  • 이동 로봇의 자기 위치 인식 방법으로 GPS를 많이 이용하지만 건물 내부공간에서는 위성신호 수신 장애가 있기 때문에 GPS 사용이 어렵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양한 형태의 실내 측위 기술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최근에는 WiFi를 이용한 방법이 일부 상용화 되고 있으나 정밀도가 3~5m라는 한계가 있으며, LED 조명을 이용한 방법은 실용화 단계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당 연구실에서도 LED조명을 기반으로 한 실내위치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지난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자율주행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연구에 덧붙여 두개의 수신부를 이용하여 로봇의 방향인식오류 개선 및 이동 로봇의 자율주행을 보여주고자 한다. 제시된 시스템은 이동로봇, 조명제어장치 그리고 컴퓨터로 구성된다. 이동로봇은 상용화된 마이크로 마우스에 탑재된 조명신호 수신장치를 통하여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감지하며, 컴퓨터와의 Wi-Fi 통신으로 자신의 위치를 컴퓨터에 전송하거나 위치 명령을 수신한다. 컴퓨터에서는 수신 받은 이동로봇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며, 이동로봇에 전달할 위치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이동경로를 설정한 후 이동로봇으로 명령을 보내면 로봇은 자신의 위치와 목적지를 비교하며 자율주행을 하게 된다.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지난연구의 방향인식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제시된 시스템으로 실내공간에서도 이동로봇의 자율주행이 원만히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 PDF

환자 위치 확인을 위한 비콘 기반 공간 분할 기법 (A Beacon-based Space Partition Scheme for Patient Location Tracking)

  • 윤여동;장영환;피경준;조광수;안준혁;민홍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57-162
    • /
    • 2018
  • 의료시설 내에서 이동하고 있는 환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의료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서 중요하다. 기존의 블루투스를 활용한 실내위치확인 시스템에서는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 많은 사전 정보와 다수의 장치를 활용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공간에 다른 패턴으로 비콘을 배치하고 동일한 수신신호강도를 갖는 비콘들을 그룹화하여 사전 정보 없이 소규모의 비콘만으로 공간을 인식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인접 패턴간의 간섭을 고려하여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패턴 배치 기법을 연구했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 기법이 환자 위치 확인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 시공시 선단부 강도확인을 위한 정적암반관입기 개발연구 (Development of Static Rock Penetrometer for Locating Rock Stratum During Construction of Drilled Shafts)

  • 남문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9호
    • /
    • pp.71-74
    • /
    • 2010
  • 암반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 시공 시, 말뚝 선단부의 위치 및 강도는 반드시 확인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 현장타설말뚝의 시공 시 굴착액 등으로 인하여 선단부의 위치 및 강도 확인이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타설말뚝 굴착장비에 간단히 부착하여 선단부 암반의 위치 및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정적관입기를 개발하였다. 일련의 실내교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정적암반관입기는 여러 현장에서 수행된 검증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이에 따라서 현장타설말뚝 선단부의 위치 및 강도 확인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고 현장 실시간 실내 인명 위치확인 및 구조대응 연구 (Real-Time Location Identification of Indoor Rescuees at Accident Sites and Location-Based Rescue Response)

  • 고영주;신용범;유상우;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6-52
    • /
    • 2021
  • 본 연구는 스마트폰 Wi-Fi AP를 이용한 건축물내 구조대상자 위치정보 수집을 통해서 사고 현장대응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그 효용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8개 건축물 지점에서 평균 30회 이상 Wi-Fi AP 네이밍 위치 확인 및 전파세기를 측정하도록 위치 측위 서버에 요청하고, 수신된 측위 결과 좌표값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위치정보의 정확도와 오차범위를 확인하였다. 기존 기지국 기반 위치 오차값 263m에 대비해 최대 93% 이상 범위를 축소할 수 있었고, 8개 지점의 최소·최대 오차값은 4.137m ~ 14.037m, 평균오차는 9.525m로 확인되었다. 위치정보 유무에 따라 인명구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3가지 상황에 대해 비교한 결과,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에 소요되는 측정시간 결과는 위치정보가 정확하게 소방대원에게 제공되었을 경우 구조활동에 소요되는 시간이 10분 50초로 나타났으나, 위치정보가 전혀 없는 경우 45분 이상 소요되었다. 스마트폰 Wi-Fi AP을 이용하여 건축물 내 구조대상자 위치정보를 정확하게 구조대원에게 제공함을 통해, 사고 현장에서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인명구조 및 골든타임 확보에 제안 시스템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화재정보 확인과 대피자 위치추적을 위한 서버 독립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erver-independent System to Identify and Communicate Fire Information and Location Tracking of Evacuees)

  • 이치주;이태관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77-687
    • /
    • 2021
  • 화재가 발생했을 때, 대피자가 화재 위치와 규모 등의 화재정보, 그리고 출구 위치와 대피자 스스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정보를 대피자에게 전송하고 대피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네 가지 도출하였다. 요구사항에는 시스템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크지 않아야 하며, 화재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거리 제한과 추가 장비, 그리고 중앙 서버가 없어도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건물 화재정보를 대피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고, 대피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서버 독립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화재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와 화재정보를 수신하고 대피자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화재에 의해서 중앙 서버가 손상되어도 대피자는 개발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화재 위치와 규모, 출구의 위치와 대파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인명피해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실내위치추적에 사용되는 fingerprint 알고리듬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이론적 기초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ingerprint 사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위치 추정 (An Estimation Method of Node Posi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 임철우;김영락;강병욱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3호
    • /
    • pp.123-129
    • /
    • 2009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에서 노드에 대한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인접 노드에 대한 정보와 신호의 세기를 이용해서 노드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면 노드가 알고 있는 정보를 이용해서 쉽게 노드의 위치를 찾을 수 있다. 더욱이 위치를 알고 있는 앵커 노드를 기준으로 위치를 모르는 미지 노드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찾을 수 있어서 전체적인 노드에 대한 맵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노드가 적절하게 배치되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제안한 기법에 대한 검증을 통해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해서 추정된 노드의 위치가 작은 오차를 가지고 검증을 위해 배치한 노드를 찾아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방 양안의 강변저류지와 수문의 공조운영 시 수위저감효과 확보를 위한 횡월류부의 위치 검토 (Experiment of the side weirs location for the effect of water level reduction in case of the cooperation with side weir and gate)

  • 성호제;박성원;이동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6-446
    • /
    • 2016
  • 최근 이상기후와 집중호우가 잦아지면서 홍수량이 증가하고 홍수로 인한 국내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점차 커지고 있다. 홍수피해를 줄이고자 하천정비사업을 통해 홍수 발생 시 초기 홍수량을 일부 분담하여 하도 내 수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하천시설로서 강변저류지를 도입하였다. 강변저류지는 하도 내 존재하고 있는 수문 시설과 함께 운영되고 있으며 두 시설의 운영 최적화를 위해서 공조운영 사항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내 화순 홍수조절지와 담양 홍수조절지의 경우 수문 상류부 하전 제방 양안에 2개소의 강변저류지가 설치되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강변저류지 유무에 따른 수위저감효과를 확인하였으며 1개소의 강변저류지와 수문 공조운영 시 최적의 수위 저감효과가 발생하는 횡월류부 위치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변저류지 유입부인 2개소의 횡월류부 위치 변화에 따른 수위저감효과를 검토하였다. 횡월류부 1개소의 최적 위치를 좌안의 횡월류부 위치로 선정하고 우안의 횡월류부 위치와 수로폭에 대한 무차원 변수를 실험조건으로 하였다. 동일한 수문 운영조건에서 총 3가지 조건의 유량으로 우안 횡월류부 위치 변화에 따른 수위 저감효과를 분석하고 2개소 횡월류부에 대한 최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 PDF

MLC leakage를 이용할 Verification의 효용성 고찰 (Verification of set-up accuracy using MLC leakage)

  • 윤인하;홍동기;정왕권;서동린;윤화룡;김정만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9
    • /
    • 2004
  • 서론 및 목적 : 세기변조 방사선치료와 전신 정위적 방사선치료에서 5mm이내의 위치 정확성확인 (L-gram)은 환자치료 목적 달성을 위한 중요한 QA과정의 하나이다. 이에 본원에서 제작한 scale point를 이용하여 L-gram 영상을 얻어 환자치료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의 MLC 부착장비인 CL2100C/D, CL21EX에서 치료중인 IMRT, SRS환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상품화된 port film graticule과 본원에서 제작한 MLC scale pointer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MLC를 이용한 scale pointer는 beam의 확산까지 고려한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었고 MLC의 교차로 생기는 pixel 모양의 형성을 통해 어떠한 위치에서도 정확한 확인이 가능했다. 결론 및 고찰 : L-gram 확인시 약간의 시간적 투자($1{\sim}2$분)로서 정확한 위치를 나타냄으로서 L-gram 확인시간 단축과 치료부위의 정확한 위치 확인을 할 수 있었다.

  • PDF

RFID 기술을 활용한 해양인명구조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RFID System for Recreational Boating Safety)

  • 양동신;성철;최태성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19-123
    • /
    • 2006
  • 해양레저사고가 발생한 경우 레저활동자의 신속 정확한 위치확인은 조난자의 생존과 직결되지만 기존의 위치확인 기술은 여러 가지 자연적, 기술적 제약이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개발센터는 현재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RFID 기술을 적용하여 해양레저활동자의 위치를 일정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조 난자의 라어프재킷에 부착된 태그, 안테나, 리더 및 미들웨어로 구성되었다. 수차례 실험을 통해 3.5km 범위 내에서 RFID의 정보를 96.7% 이상 수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