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치확인

Search Result 8,19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전력선 통신과 센서네트워크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능 개발 (Development of Monitoring Function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Localization Data of Sensor Network)

  • 권성기;이호철;이순이;이동명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85-88
    • /
    • 2010
  • 본 논문은 센서네트워크 환경에 설치된 전력선통신 기반 영상 송수신 장치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기능과, CSS기반 SDS-TWR Ranging을 지원하는 센서모듈로부터 거리정보를 수신하여 제안하는 위치인식 알고리즘을 적용시키고 이동노드의 위치정보를 보여주는 모니터링 기능을 개발하였다. 전력선통신 기반 영상 송수신 장치는 장소의 제약 없이 전기 플러그가 있는 곳이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주변의 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운 센서모듈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위치인식 보정 알고리즘은 SDS-TWR의 위치인식 오차 116.8cm를 80.5cm로 위치인식의 성능을 향상시켰으며, 대부분의 위치인식 오차가 1m 내외로 보정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모니터링 기능은 센서 네트워크 및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하여 위치인식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의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항만내 차량 위치인식 및 영상 확인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Vehicle Location Identification and Image Verification System in Port)

  • 이기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01-208
    • /
    • 2009
  • 최근의 항만은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에 따른 일반적인 항만 관리에 있어 U-Port 서비스를 도입하여 컨테이너 위치 추적 시스템, 항만 터미널 관리 시스템, 선진정보교환시스템 등을 구현하고 있다. 특히, 화물 차량과 컨테이너의 위치 추적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화물차량과 컨테이너의 위치와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차량 운행 관리와 문제 발생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대규모 항만 내에서 화물 차량의 무질서한 운행이나 주 정차, 도난 파손 사고 출입 관제 등의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에는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항만 내에서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 게이트 통관 시점부터 항만 내에 화물 차량이 체재하는 동안 차량 또는 출입자의 위치를 전자 지도상에 표시하고, 확인이 필요하거나 사고 발생 지역을 원격에서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항만내 차량 또는 출입자의 위치 인식 및 고해상도 영상 압축, AVE/H.264 저장 및 영상 전송을 통한 영상 확인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RFID를 이용한 VoIP 긴급서비스 모델 (A VoIP Emergency Services Model with RFID)

  • 김진홍;이길섭;이승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1)
    • /
    • pp.202-204
    • /
    • 2005
  • 통신 네트워크 발전 추세에 따라 데이터와 음성회선을 통합하고 PSTN을 통한 전화 서비스보다 저렴한 통신비용과 다양한 부가서비스 구현 등의 여러 장점을 가진 VoIP서비스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VoIP서비스의 긴급서비스에서 위치식별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VoIP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으로 부여된 발신전화번호 정보를 송출하지 않아 발신자의 위치 및 해당지역 PSAP의 식별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건물 내 LAN 환경에서 VoIP 단말기와 연결하는 실내의 모든 이더넷 포트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여 이를 지정된 VoIP 단말기와 연계시킴으로써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나 단말기 이동시마다 위치정보를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oIP서비스에 서 RFID를 이용하여 발신자 단말기 위치를 식별하는 긴급서비스 지원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가입자 위치정보 획득 및 관리, 호 라우팅 등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VoIP 망에서 단말기 이동에 대한 위치 확인 문제도 해결이 가능하다.

  • PDF

LBS법의 순기능과 역기능

  • 최성원
    • 디지털콘텐츠
    • /
    • 10호통권137호
    • /
    • pp.60-63
    • /
    • 2004
  • 퇴근길에 필요한 물품을 사려고 네이트 드라이브를 가동해 근처에 할인마트를 찾았다. 네이트 드라이브에서 제공하는 방향을 따라 할인마트에 들어섰다. 핸드폰에 메시지가 도착해서 보니 그 할인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이 문자메시지로 날라왔다. 쿠폰을 이용해 필요한 물건을 좀더 싸게 산 다음 다시 시계를 보니 중요한 TV 프로를 봐야할 시간이 얼마 안남았다. 차에 올라타고 다시 네이트 드라이브를 가동해 가장 빠른길 안내를 받아 가까스로 늦지않게 도착했다. 미래의 얘기가 아니다. 지금도 비슷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곧 지금보다 정확하고 편리한 서비스가 우리곁에 다가올 예정이다. 정부는 9월 14일 국무회의를 열어 소방관서 등 공공구조기관이 긴급 구조요청을 받을 경우 위치정보사업자에게 개인 위치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을 주요 골자로 한‘위치정보의 이용 및 보호 등에 관한 법률안(이후 LBS법)’을 제정키로 했으며, 이 법안은 9월 20일 현재 정기국회 통과를 기다리고 있다. 또 최근에 위치정보에 관한 사건이 두 가지가 발생했다. 하나는 삼성SDI 근로자들이 자신도 모르게 휴대폰 위치확인서비스를 통해 감시를 받아왔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조난당한 등산객의 위치확인을 하지 못해 끝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위의 두 사건은 남의 일이 아닌 우리 자신들의 일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슈가 되고 있는 LBS법의 의미와 이 법이 우리 생활에 어떻게 작용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실시간 측위 시스템(RTLS) 및 스포츠 트래킹 기술

  • 신필순;권종만;신현실;김기일
    • 정보와 통신
    • /
    • 제32권2호
    • /
    • pp.13-23
    • /
    • 2015
  • Real Time Location System(RTLS)는 실시간으로 사물의 위치 정보 측위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RTLS 시스템은 물류, 헬스케어, 생산 시설 등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경마, 미식축구 및 발레 등 여러 스포츠 종목에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가 늘고 있어 동계올림픽의 각 종목을 위한 훈련, 분석, 서비스 등에의 적용을 위한 개발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RTLS)은 근거리 및 실내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의 위치 확인 및 위치 추적 시스템을 통칭하고,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기반 서비스(LBS) 처럼 사람 또는 사물의 위치를 확인하지만 주로 제한된 공간에 활용되므로 '실내위치 추적 서비스(IPS: Indoor Positioning System)'라고 불리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RTLS의 기술과 이를 스포츠에 접목하기 위한 사례를 중심으로 그 동향을 분석한다.

무선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VRN을 이용한 협력 위치추정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the Cooperative Localization Algorithm with Virtual Reference Nod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정승희;오창헌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19-62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미지의 노드 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VRN을 이용한 수신신호 세기 기반의 협력 위치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위치추정 시스템은 모든 노드들을 모니터링하고 중첩 영역의 반복적 이용과 협력적 위치추정을 통해 BN의 좌표를 추정하였다. 실험결과 협력위치 추정시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BN의 존재가능 영역이 줄어듦을 확인하였으며, RN의 수가 적을수록 최소 4회 이상의 반복적인 위치추정 횟수가 확보되어야만 BN의 존재가능 영역이 현저히 협소해짐을 보였다. 또한 위치추정 오차거리는 RN의 수가 4개인 경우에도 기존의 위치추정 알고리즘에 비해 약 71.6%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VRN을 활용한 위치추정 알고리즘이 기존의 RSS기반의 위치추정 알고리즘에 비해 우수한 위추정 성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 PDF

인증과 무결성을 위한 DCT 기반 워터마킹 (DCI Based Watermarking for Image Verification and Authentication)

  • 이혜란;박지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506-50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영상의 변조를 확인함과 동시에 변조의 위치를 확인하는 DCT 기반의 fragile watermarking을 제안한다. 디지털 영상의 인증과 무결성을 위해 기존의 Wong이 사용한 해쉬 함수와 비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영상에 DCT 변환을 함으로서 영상의 모든 픽셀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지 않고서도 변조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DCT 계수 중 일부 저주파 계수의 하위 비트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워터마크의 비가시성과 연성을 만족하며 변조의 유무와 위치를 확인한 수 있게 된다.

  • PDF

추측항법과 RFID 기반의 위치결정 시스템의 정확도 분석 (The Accuracy analysis of Dead Reckoning and RFID based Positioning System)

  • 김정환;허준;손홍규;윤공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0-394
    • /
    • 2007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대상물의 위치를 알아내는 기술은 가장 근본적이며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추측항법(Dead Reckoning)은 움직이는 대상물에 외부의 도움 없이 자신의 방향각과 가속도, 시간을 관측할 수 있는 관성항법장치(Inertial Navigation System)를 장착하여 이전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의 위치를 관측하는 방법이다. 또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이러한 유비쿼터스 근거리무선통신의 핵심 기술로서 본 논문에서는 RFID에 기반한 위치 결정 시스템에 실시간 변화하는 대상물의 위치를 예측하기 위해 추측항법과 칼만필터(Kalman-filter)의 개념을 적용시켰다. 또한 RMSE(Root Mean Square Error)값을 통해 칼만필터의 적용에 따른 정확도의 향상과 각 디자인 요소들의 변화에 따라 위치의 정확도가 어떠한 변화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칼만필터를 적용했을 때 이전보다 RMSE값이 현저히 작아지는 결과를 통해 위치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FID의 탐지 범위는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된 요소가 아니며, RFID 탐지 범위의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위치 정확도는 높아지고, RFID 태그의 탐지 확률이 높을수록 RMSE 값의 변동이 작은 안정된 시스템을 갖으며 위치의 정확도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위치 점수 행렬 혼합 모델을 이용한 microRNA 서열 특성 분석 (Analysis for microRNA sequences by the position-weight-matrix mixture model)

  • 이제근;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A)
    • /
    • pp.52-54
    • /
    • 2006
  • 특정한 기능을 하는 DNA 조각은 특정한 염기 서열들을 가진다. 이를 이용하여 특정 조각의 DNA 서열을 위치 점수 행렬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찾고자 하는 DNA 부분들이 완전히 밝혀진 것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밝혀진 정보만을 이용하여 위치 점수 행렬을 만들 경우, 실제 서얼 패턴이 아닌 편중된 정보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위치 점수 행렬의 혼합 모델을 이용하여, 각각의 특정 군집들을 대표할 수 있는 행렬들을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약 22개의 염기로 구성된 microRNA 서열 중, 초반부의 8개의 염기 서열정보를 이용하여, 이들 위치의 서열상의 특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miRNA 서열을 대표하기 위한 위치 점수 행렬들은 구분하여 만들고, E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한다. 학습 결과 얻어진 혼합 모델과 은닉 변수를 통해 microRNA들을 군집화하고, 각각의 군집에 속한 microRNA 서열의 특성을 확인한다.

  • PDF

항만 장치장 내 무인이송장비를 위한 RFID와 LANDMARK기반의 정지위치 인식시스템 (RFID and LANDMARK based Location-aware System of Unmanned Transport Equipment in Container Terminal)

  • 도대만;현맹환;최영복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83-1185
    • /
    • 2012
  • 본 논문은 최근 항만 터미널 장치장 내 무인 자동화가 빠르게 연구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자동화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우리는 장치장 내 효과적인 작업 효율을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무인이송장비(YT:Yard Tractor)의 정지위치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장치장내에서 YT의 정지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RFID의 신호와 LANDMARK를 이용하여 정지한다. 정지 위치 장소에 두 개의 RFID태그를 설치하여 작업영역 및 정지위치를 각각의 태그 정보에 포함시킨다. YT는 정지장소에 도달하면 지정된 작업 영역인지 태그 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확인 후 정지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태그와 LANDMARK를 통해 정확한 위치에 정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