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장관 질환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1초

상부 위장관 장애 환자에서의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의 반응특성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

  • 서용우;조인희;신광철;정용균
    • 정신신체의학
    • /
    • 제8권2호
    • /
    • pp.172-180
    • /
    • 2000
  • 연구목적 : 상부 위장관의 소화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스트레스를 지각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 및 소화장애 증상의 여러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특정 정신신체질환군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특성과 해당 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소화장애 증상으로 인천기독병원 소화기내과를 방문하여 위내시경 소견 상 병변이 확인된 84명의 환자와 94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인지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환자군에서 현재 호소하는 소화장애 증상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 심리적 고통의 존재 여부에 따라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결과 :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는 8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자 178명에서 8개 하위척도와 척도전체의 내적 일치도는 .65~.95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척도의 전체총점과 일반적 신체증상척도, 특정신체증상척도의 접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소화장애 증상과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와의 관련성은 소화장애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는 특정신체증상을, 심리적 고통의 존재는 인지기능의 저하와 일반적 부정적 사고를 잘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실제 상부위장관에 병변을 가진 소화장애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서 강한 스트레스 반응 지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인지하였을 때 감정, 인지, 행동 영역의 반응보다는 자율신경계 및 특정신체부위와 연관된 신체증상을 주로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소화장애의 기간이 길고, 과거력이 있을수록, 그리고 증상이 심할수록 스트레스에 대해 소화기 증상을 주로 한 특정신체증상으로 반응하며 심리적 고통을 주는 스트레스의 존재는 인지기능을 저하시키고 부정적인 사고반응을 일으킴을 알 수 있다.

  • PDF

신생아 담즙정체증의 원인질환 및 장기추적 예후인자에 관한 고찰 (Evaluation of the Underlying Etiology and Long-Term Prognostic Factors in Neonatal Cholestasis)

  • 김경모;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1호
    • /
    • pp.46-58
    • /
    • 1999
  • 목 적: 신생아 담즙정체증은 소아과 소화기 영역에서 중요한 질환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원인 질환 및 장기추적 고찰에 대한 국내의 보고가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신생아 담즙정체증의 원인 및 추적조사시의 합병증 등의 임상적 고찰과 함께 예후인자를 분석하여 신생아 담즙정체증 환아의 진료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81년부터 1992년까지 12년간 신생아 혹은 초기 영아기에 발생한 담즙정체증으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였던 1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담즙정체증의 원인질환, 추적조사시에 관찰된 합병증 및 사인, 특발성신생아간염과 담도폐쇄증의 초기의 임상적 차이점, 예후 및 예후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 과: 1) 담즙정체증의 원인질환은 190명에서 신생아 간염이 101례(53%), 간외담도계 질환이 84례(44%), 간내담도형성부전증이 5례(3%)이었다. 신생아간염은 특발성신생아간염이 77례(41%), 감염성 신생아 간염이 24례(12%)이었고, 간외담도질환은 담도폐쇄증이 79례(41%), 총수담관낭이 5례(3%)이었다. 2) 추적조사시에 관찰된 주요한 임상적 문제점은 지속적인 고열, 위장관출혈, 간성혼수, 복수 등이었다. 3) 담도폐쇄증 환아에서 지속적인 고열의 원인은 상행성담관염, 혹은 line-related sepsis가 58%이었고, 폐렴이 15%, 요로감염이 8%, 상기도 감염이 7%이었다. 4) 상행성담관염 혹은 line related sepsis의 원인균은 Escherichia coli가 28%로 가장 빈도가 많았고,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가 14%, Streptococcus pneumoniae, Klebsiela pneumoniae가 각각 10%, Enterococcus가 6%, Candida albicans가 4%이었다. 5) 주요한 사인은 간성혼수와 위장관출혈이었다. 6) 특발성신생아간염은 71%, 감염성 신생아간염은 75%의 환아에서 회복되었으며, 대부분 생후 12개월 이내, 주로 6개월 이내에 회복되었다. 미숙아, 초기의 간종대가 작은 경우, 초기 알부민치 높은 경우, 콜레스테롤치, ${\gamma}$-GT치, 빌리루빈치 및 AST치가 낮은 경우에서 예후가 양호하였다. 7) 담도폐쇄증 환아의 Kasai수술후의 5년 생존율은 40%이었고 사망의 대부분은 12개월 이내에 관찰되었다.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는 수술시기이었고 수술시기가 12주 이전인 49%가 양호한 예후를 보인 반면에, 12주 이후인 경우는 12%이었다. 8) 담즙정체증의 초기 임상소견중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는 원인질환이었다. 9) 특발성신생아간염과 담도폐쇄증 사이에서 차이를 보인 임상소견은 성별, 제태연령, 콜레스테롤 치 및 ${\gamma}$-GT치 이었다. 특발성신생아간염은 남아, 미숙아에서 호발하였고, 낮은 콜레스테롤치 및 ${\gamma}$-GT치를 보였다. 결 론: 우리나라에서 신생아 담즙정체증의 흔한 원인으로는 담도폐쇄증과 특발성신생아간염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이외에 감염성 신생아 간염, 총수담관낭, Alagille 증후군 등이었으며, 유전성, 대사성질환은 관찰되지 않았다. 신생아 담즙정체증에서 원인질환은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원인질환에 대한 적절한 진단이 요구되며, 또한 상행성 담관염, 폐렴, 패혈증 등의 감염문제, 간성혼수, 위장관 출혈 등은 장기 추적시의 자주 발생하는 심각한 임상적 문제점으로서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대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

Tc-99m DISIDA 간담도 Scintigraphy상 우연히 발견된 위장역류의 임상적 의의 (Gastric Reflux on Routine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 이강욱;이헌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3-318
    • /
    • 1995
  • 통상적인 Tc-99m DISIDA 스캔도중 우연하게 위장역류가 발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1991년 12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통상적인 Tc-99m DISIDA 스캔을 시행한 1,553명의 환자들중 우연하게 위장부위로 방사능역류를 보인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이러한 환자들의 검사당시 임상상을 알아보았다. 1) 연구기간동안 시행한 Tc-99m DISIDA 스캔상 위장 역류는 2.3%에서 발견되었다. 2) 위장역류를 보인 대상환자중 위장관 및 담도계에 수술을 받은 과거 병력이 있는 경우는 19% 이었으며 역류가 없었던 환자들에서보다 의미있게 많았다(p<0.01). 3) 역류가 발견되는 시점은 Tc-99m DISIDA 정맥주사 후 30분에서 60분 사이가 50%로 가장 많았으며 60분에서 90분 사이가 23% 이었다. 4) 위장 역류를 보인 환자중 87%에서 위내시경 검사상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등의 병변을 보였다. 이상에서 저자들은 Tc-99m DISIDA 스캔상 위-십이지장 역류를 보이는 경우는 역류가 없는 경우보다 위장관이나 담도계에 수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경우가 의미있게 많았으며 이들 중 상당수가 위-십이지장에 질환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Borrmann 4형 진행위암과 같은 형태를 보인 호산구성 위염(Eosinophilic Gastritis) 1예 (A Case of Eosinophilic Gastritis Mimicking Borrmann Type-4 Advanced Gastric Cancer)

  • 신현욱;서병조;유항종;이혜경;김진복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1호
    • /
    • pp.47-51
    • /
    • 2005
  • 호산구성 위장관염은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드문 질환으로 1937년 Kaijer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으며, 1961년 Ureles 등은 광범위한 장관 내의 호산구 침윤으로 인한 장관의 비후, 부종 등을 보이는 미만형과 가성종양이나 용종의 형태로 장폐쇄를 흔히 일으키는 국한형으로 분류하였다. 1970년에 Klein 등은 미만형을 호산구가 주로 침윤한 장관병의 층에 따라서 점막하층형, 근육층형, 장막하층형 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호산구성 위장관염에 대하여 Talley가 제시한 진단기준에 의하면 첫째, 위장관 증상이 있고 둘째, 식도에서 대장까지의 위장관에 대한 조직 생검에서 한 곳 이상의 호산구 침윤이 있으며 셋째, 소화기 외에 여러 장기에 호산구 침윤이 있으며 넷째, 기생충 감염의 증거가 배제되어야 한다. 식도와 직장까지 소화관 어디든지 발병할 수 있으나 위장과 근위부 소장이 호발 부위이다. 호산구성 위장관업의 증상은 종종 급성 복증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급성 충수돌기염, 폐쇄성 맹장병변, 치료에 반응을 않는 거대한 십이지장 궤양, 또는 장중첩증, 출혈 등의 급성 합병증을 동반하거나, 진단이 확실치 않는 경우, 악성종양과의 감별을 요할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증례: 59세 남자 환자로서 내원 3주 전부터 시작된 식후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여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3회에 걸친 위내시경 조직검사 상 섬유소성 괴사와 육아조직, 섬유성 반흔형성을 동반한 만성궤양성위염 및 호산구 침윤 소견을 보여서, 위장의 수출부 폐쇄를 동반한 Borrmann 4형 위암으로 의심하고 위전절제술 및 D2 림프절 과청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병리 조직 검사상 고유근층의 저명한 비후성 반흔을 동반한 호산구성 위염, mural type으로 진단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이상 소견 없이 퇴원 하였다.

  • PDF

영유아 환자 위장관 응급 질환의 영상 소견 (Imaging Findings of Gastrointestinal Emergency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 김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4호
    • /
    • pp.794-805
    • /
    • 2020
  • 급성 복증(acute abdomen)은 갑자기 발생하는 심한 복부 통증으로 즉각적인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할 수도 있는 상태를 말한다. 소아 환자의 급성 복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는 질환부터 투약 치료를 받아야 하거나 임상적 관찰 만을 요하는 질환까지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급성 복증의 환자에서 영상 검사의 역할은 가능하다면 복통의 원인이 되는 질환을 밝혀서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는 환자와 투약 치료를 해야 하는 환자를 구분해 주는 것이다. 장중첩증과 충수돌기염이 소아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급성 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이므로, 급성 복통을 호소하는 영아에서는 장중첩증을, 좀 더 나이가 많은 소아에서는 충수돌기염을 영상 검사를 이용해 배제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영유아 환자의 급성 복통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 중 특징적 영상 소견을 보이는 장중첩증, 충수돌기염, 중장 염전, 메켈 게실 및 중복낭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소장질환의 진단에 캡슐내시경 검사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Capsule Endoscopy in Diagnosis of Small Bowel Diseases)

  • 은종렬;장병익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45-51
    • /
    • 2006
  • 소장질환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캡슐내시경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3년 8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영남대학병원에서 캡슐내시경을 시행한 66명(평균나이: 52.1세, 남/녀: 39/27)의 의무기록과 내시경 기록을 검토하였다. 상부 및 하부 위장관 내시경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아 소장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특히 소장출혈의 확인을 위해 시행한 경우가 47명(71.3%)으로 가장 많았다. 이 가운데 궤양 또는 미란이 22예(46.8%), 종양 5예(10.6%), 혈관이형성증 3예(6.4%), 용종 3예(6.4%), 협착이 동반된 궤양 1예(2.1%), 활동성 출혈 1예(2.1%), 정상 소견 12예(25.5%) 등이었다. 이들 가운데 출혈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병소는 32예(68.1%)였다. 종양이 발견된 5명에서 수술을 하였는데 위장관간질종양이 4예, 림프관종 1예가 진단되었다. 비특이적 복부 증상으로 시행한 경우의 병변발견율은 42.9%(6/14)였는데, 증상과 관련있는 경우는 1예에 불과하였다. 캡슐내시경 검사로 인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캡슐내시경은 소장질환에 대해 안전하고 비침습적인 검사법이며, 소장출혈에 대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출혈 이외의 복부증상에 대해서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신생아에서 맹장의 장 중복낭종에 의해 발생한 장 폐쇄 1예 (Intestinal obstruction caused by a duplication cyst of the cecum in a neonate)

  • 금승운;황민우;나종인;유승택;강동백;오연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261-264
    • /
    • 2009
  • 장 중복낭종은 드문 선천성 기형 질환으로 구강에서 항문까지 어느 곳에서나 발견할 수 있고 장관과 교통하기도 한다. 특히 맹장의 장 중복낭종은 더욱 드문 질환이다. 이들은 구토나 반복적인 복통과 위장관 출혈 및 변비 등의 증상으로 급성 장폐색을 발생시키며 생후 2년내 80%에서 발견된다. 저자들은 신생아에서 맹장의 장 중복낭종에 의해 발생한 장 폐색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식도암 적출술후 발생한 재발성 위-기관지 누공 (Recurrent Gastrobronchial Fistula after Esophagectomy -one case report-)

  • 임수빈;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2호
    • /
    • pp.189-193
    • /
    • 2001
  • 위기관지 누공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대부분의 경우 외상, 상부위장관 수술, 횡경막하 농양, 양성 위궤양, 신생물 등 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식도암의 Ivor Lewis 수술후 2년과 3년에 양성 위궤양으로 인해 발생한 재발성 위기관지 누공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기능성 위장관 질환에서 핵의학 검사의 역할 (Scintigraphic Evaluation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 최재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
    • /
    • 2001
  • Current scintigraphic tests of gastrointestinal motor function provides relevant pathophysiologic information, but their clinical utility is controversial. Many scintigraphic methods are developed to investigate gastrointestinal motility from oral cavity to colon. These are esophageal transit scintigraphy, oropharyngeal transit study, gastric emptying test, small bowel transit time measurement, colon transit study and gastroesopahgeal reflux scintigraphy. Scintigraphy of gastrointestinal tract is the most physiologic and noninvasive method to evaluate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Stomach emptying test is regarded as a gold standard in motility study. Gastrointestinal transit scintigraphy also has a certain role in assessment of drug effect to GI motility and changes alter therapy of motility disorders. Scintigraphy provides noninvasive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physiological transit throughout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d it is extremely useful for diagnosing gastrointestinal motor dysfunction. This article reviews the current procedures, indications, significance and guidelines for gastrointestinal motility measurements by scintigraphy.

  • PDF

위장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한의학 연구 동향 (Latest Research Trends of Korean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 김현설;김병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70-577
    • /
    • 2013
  • To research the trends of study about gastrointestinal (GI) disease in Korean medicine, we reviewed and analys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 from 2009 to 2012. From ancient to modern history, traditional plant-based medicin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alth care, especially GI tract. In spite of the great advances of moderm scientific medicine, traditional medicine is still the primary form of healing methods readily available to the majority of the people in the many countries. In fact many of today's popular drugs have their origins in traditional medicine.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Korean medicine in GI tract will make good the quality of life in our life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