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임 기간

Search Result 1,386,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Neuroendocrine Tumor of the Stomach (위에 발생한 신경내분비 종양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 Lee, Chul-Min;Shin, Yeon-My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8 no.4
    • /
    • pp.204-209
    • /
    • 2008
  •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neuroendocrine tumor (NET) of the stomach.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3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neuroendocrine tumor from January 1999 to August 2007 at Kosin Medical Center; 4,159 gastric cancer patients were treated surgically during the same time.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4.3 months. Results: The majority of 13 patients were men (male-female ratio: 11:2) and the average age of patients with NET was 59.4 years (range: 42~72 years). The presenting symptoms were mostly epigastric pain and soreness. The tumor was limited to the mucosa or submucosa in two cases, and the tumor extended beyond the muscle layer in 11 cases. The mean size of the tumor was 7.0 cm, ranging from 0.7 cm to 15 cm. The type of the NEC (according to the WHO classification) was type 3 for eight patients, type 4 for four patients and type 1 for one patient.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was noted in 11 patients. Four cases showed recurrence of disease and the site of recurrence included liver in two patients, multiple organs (including the peritoneum and lung) in one patient and multiple organs (including liver, pancreas and duodenum) in one patient. The recurrent cases were type 3 and type 4 and the average survival period of the recurrent patients was 12.8 months. Conclusion: The majority of neuroendocrine tumors of the stomach were at an advanced stage at the time of diagnosis. These tumors frequently recurred in the liver and they have a poor prognosis.

  • PDF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water level-flow relationship curve by the operation of Nakyang Weir in the Dongjin River (동진강 낙양 보 운영에 의한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변화)

  • Young Jun Ohk;Seung Hyun Kim;Kang Han Lee;Da Ji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12-312
    • /
    • 2023
  • 동진강 유역은 김제평야를 품고 있어 다른 지역에 비해 농지면적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이에 따라 전체 용수 사용량에서 농업용수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은 유역이다. 낙양 보는 동진강 중·상류에 위치한 이수시설로 상류에 위치한 섬진강댐과 같이 동진강 유역의 농업용수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양 보는 현재 동진강 방수문 4문, 김제간선 취입수문 2문, 정읍간선 취입수문 1문이 설치되어 있다. 관개기에는 동진강 도수로의 수문을 폐쇄하여 동진강 본류로의 하천유지용수를 차단하고 김제 배수로의 수문을 운용하여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으며 수혜구역의 용수수요 변화 및 기상상황, 하천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가동 보 운영으로 인하여 다양한 수위-유량관계의 변동성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동 보 운영에 따른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의 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진강 유역 낙양보 상류에 위치한 정읍시(거산교)관측소를 대상관측소로 선정하였다. 정읍시(거산교)관측소는 2012년에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을 2021년까지 사용하였고, 2022년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검증과 재개발을 위하여 유량측정을 실시하였다. 2012년에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은 검토 결과 강우에 의한 수위 상승시 보 완전 개방 상태의 측정성과를 확보하여 수위-유량관계 곡선식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가동 보를 운영하는 3월~9월은 상류에 위치한 정읍시(행정교)관측소와 상하류 역전 현상이 발생하였고, 매년 비정상적인 유량이 산정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022년 신뢰도 높은 유량자료와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개발을 위해 낙양 보 완전개방 및 부분개방에 따른 다양한 유량측정성과와 낙양 보 수문 모니터링 결과를 확보하였다. 낙양 보는 2022년 1월~3월, 10월~12월은 수문 6문을 완전 개방하여 동진강에 하천유지용수를 공급하고, 4월부터 동진강 방수문을 폐쇄하여 농번기 농업용수를 확보한 후, 5월~9월에 확보된 농용수를 김제 배수문 2문을 부분개방하면서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 기간동안 낙양 보 수문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정읍시(거산교)관측소 수위자료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유량측정시에는 정확한 유량측정성과와 곡선식 확인을 위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위 또는 유량이 변하는 구간은 연속측정을 실시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와 유량측정성과를 바탕으로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수위1식은 수문 완전개방, 저수위2식은 수문 완전폐쇄, 저수위3~6식은 수문 부분개방 곡선식을 개발하였으며, 저수위 구간은 낙양보 운영에 따라 총 27차례 기간분리가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낙양 보 운영에 따른 다수의 유량측정성과와 모니터링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확보한 유량측정성과의 분석을 통한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Change of Predator Recognition Depends on Exposure of Predation Risk Source in Captive Breed Endangered Freshwater Fish, Microphysogobio rapidus (인공증식된 멸종위기종 여울마자의 포식 위험원 노출에 따른 포식자 인지 변화)

  • Moon-Seong Heo;Min-Ho Jang;Ju-Duk Yoo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6 no.4
    • /
    • pp.406-413
    • /
    • 2023
  • Captive breeding and reintroduction are crucial strategies for conserving endangered species populations. However, fish raised in predator-free environments, show a lack of recognition of predationrelated stimuli such as chemical and visual signals. It is critical to recognize chemical signals from injured conspecifics, also known as alarm signals, and the order or shape of predators to indicate the spread of predation risk in the habitat. We conducted a laboratory experiment to determine and adjust the optimal exposure period to induce appropriate anti-predator behavior response to different types of stimuli (Chemical, Visual and Chemical+Visual) for the endangered species Microphysogobio rapidu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predator avoidance behavior varies depending on the types of stimuli and the duration of predation risk exposure. First, the results showed captive-breed M. rapidus show lack of response against conspecific alarm signal (Chemical cue) before the predation risk exposure period and tend to increase response over predation risk exposure time. Second, response to predator (visual cue) tend to peak at 48 hours cumulative exposure, but show dramatic decrease after 72 hours cumulative exposure. Finally, response to the mixed cue (Chemical+visual) tend to peak prior to the predation risk exposure period and show reduced response during subsequent exposure periods. This experiment confirms the lack of responsiveness to conspecific alarm signals in captive-bred M. rapidus and the need for an optimal nature behavior enhancement program prior to release of endangered species. Furthermore, responsiveness to predator visual signal peak at 48 hours cumulative exposure, suggest an optimal predation risk exposure period of up to 48 hours.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Esophago-gastric Anastomosis by Endoscopic Examination -Cervical Versus Intrathoracic Anastomosis- (내시경을 통한 식도-위 문합술의 질 평가-경부와 흉부 문합의 비교-)

  • Shim, Jae-Hoon;Kim, Hyun-Koo;Baek, Man-Jong;Kim, Hark-Jei;Choi, Young-H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9 no.12 s.269
    • /
    • pp.920-926
    • /
    • 2006
  • Background: Mortality and morbidity of anastomotic complications after esophagectomy have gradually decreased in recent years. However, swallowing difficulties and reflux symptoms after esophagogastrostomy continue to be a burden jeopardiz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quality of esophagogastrostomy by analyzing anastomotic stenosis and reflux esophagitis. Material and Method: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made in 74 patients who underwent esophagogastrostomy after esophagectomy by one surgeon between January 1995 and December 2004. 53 patients of them received endoscopic examination during follow-up($29{\pm}23.6$ months, range $5{\sim}111$ months). Reflux esophagitis and stenosis at anastomostic sit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echniques and locations of esophagogastrostomy. Result: The median age at the time of repair was $60.3{\pm}8.87$ years(range $39{\sim}81$ years). 23 patients received a hand-sewn esophagogastric anastomosis and 30 patients a circular stapled one.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anastomotic stenosis(p=0.64) and reflux esophagitis(p=0.41) between the two groups. Cervical anastomosis was peformed in 26 patients and intrathoracic anastomosis in 27 patient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in anastomotic stenosis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p=0.44), but reflux esophagitis was noted in 3 patients in the cervical anastomosis group and 14 patients in the intrathoracic anastomosis group(p=0.003). Conclusion: Cervical anastomosis was supposed to have a better quality of esophagogastrostomy by lowering the risk of reflux esophagitis. In the future, the comprehensive study including a patient's subjective symptom and Barrett's metaplasia should be performed in larger cases.

A Comparative Study of Stenting versus Surgical Bypass in Gastric Outlet Obstruction Caused by Gastric Cancer (위암 날문부 폐쇄 환자에게 시행한 치료의 비교고찰: 위-공장 우회술과 금속성 자가팽창성 스텐트 삽입술)

  • Jo, Seung-Jin;Yoon, Ki-Young;Choi, Kyung-Hyun;Park, Moo-In;Park, Seun-Ja;Ko, Ji-Ho;Lee, Sang-H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7 no.2
    • /
    • pp.82-87
    • /
    • 2007
  • Purpose: In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gastric outlet obstruction, there are several complications such as malnutrition and vomiting. Palliative enteral stenting is a less invasive procedure as compared with a gastrojejunostom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that undergone palliative enteral slanting and patients that had received a bypass gastrojejunostomy.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patients underwent palliative entering stenting and 3f patients were subjected to a surgical bypass gastrojejunostomy.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ith gastric outlet obstruction secondary to far advanced gastric cancer that were diagnosed using a gastrofibroscope, UGI and abdominal CT, and were admitted to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00 and August 2006. The outcome of stent placement for gastric outlet obstruction was compared with palliative gastrojejunostomy during the same period. We excluded patients with recurrent gastric cancer and double cancer from this stud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of patients that underwent slanting and the group of patients that received a gastrojejunostomy regarding the age of patients ($67{\pm}12$ vs. $57{\pm}9$, P<0.001) but not between the sex of the patients (M : F, 2 : 1 vs. 2 :1, P=0.637).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stenting was tumor ingrowth (16/100, 16%) and the second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stent migration (14/100). Failure of the procedure occurred in only three patients. Twenty-three patients underwent re-slanting and one patient required open conversion with a gastrojejunostomy. The median time to the first meal was $4{\pm}2$ days in the stent group of patients and $6{\pm}2$ days in the gastrojejunostomy group of patients (P=0.001). The median postoperative hospital stays were 9 days in the stent group of patients and 15 days in the gastrojejunostomy group of patients (P=0.003). The mean survival periods were 11 months in the stent group of patients and 10 months in the gastrojejunostomy group of patients (P=0.937).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survival rates. An earlier first meal and a shorter hospitalization stay were found in the slanting group of patients compared to the bypass gastrojejunostomy group of patients. However, re-slanting was a concern due to tumor ingrowth and stent migration.

  • PDF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Starch from Rice Stored at Different Conditions (저장조건에 따른 쌀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변화)

  • Ko, Yong-Duck;Choi, Ok-Ja;Park, Seok-Kyu;Ha, Hee-Suk;Sung, Nack-Ki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7 no.3
    • /
    • pp.306-312
    • /
    • 1995
  • In order to know properties in rice starch during storage of rice, rice starch from stored rice(stored at $5^{\circ}C$, R.H. 65% and $30^{\circ}C$, R.H. 85%, for 16 weeks) used in this experiment. Water binding capacity of rice starch increased for 8 weeks, and then it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took longer,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optical transmittance, blue value, total amylose content and soluble amylose content decreased. For the same periods, changes in rice starch from stored rice$(30^{\circ}C$, R.H. 85%) were made more than those in rice starch at $5^{\circ}C$, R.H. 65%. The granule shape of rice starch, irrespective of storage periods and conditions, didn'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lative crystallinity of the rice starch by X-ray diffraction didn't distinctly changed till the second week. But, at the fourth week, that by X-ray diffra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n slightly decreased. As the storage period took longer, gelatinization temperature, melting temperature and melting enthalpy measured by DSC got higher, but gelatinization enthalpy got lower. For the same storage period, gelatinization temperature, melting temperature, gelatinization enthalpy and melting enthalpy of rice starch stored at $30^{\circ}C$, R.H. 85% made changes more than those of rice starch stored at $5^{\circ}C$, R.H. 65% did.

  • PDF

Dam operation's changes by new guideline for Boryeong-Dam canal (보령댐도수로 운영기준 개정이 댐운영에 끼친 영향 검토)

  • Jeon, Seonmi;Na, Yujin;Kang, 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7-127
    • /
    • 2022
  • 1998년부터 운영 중인 보령댐은 충남 서부 8개 시군의 용수공급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보령댐의 용수수요는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5년 댐 용수공급능력의 92%에서 2022년에는 댐 용수공급능력의 98%로 늘어났으며, 최근 유입량은 2013년~2017년 및 2019년 평균유입량은 설계유입량의 58%에 불과한데다, 연속으로 적은 유입량이 기록되는 등 예전보다 가뭄에 취약해진 상황이다. 2015년에 가뭄에 대한 대응방식으로써 댐 용수공급조정기준이 마련되었는데, 이는 가뭄대응단계별 기준저수량을 도입하고, 각 대응단계별로 용수공급량을 조정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령댐 또한 '주의'단계에서 하천유지용수를 감량하고 있으며, '경계'단계에서는 농업용수감량과 더불어 보령댐도수로를 가동하는 것까지 시행하여 가뭄에 대응 중이다. 보령댐도수로의 시설용량은 2022년 용수수요의 40%인데, 보령댐 가뭄시 저수량 확보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보령댐도수로는 '16년부터 매년 운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령댐은 반복된 유입량 부족으로 댐의 상시만수위까지 물을 채우지 못한채로 다음해를 맞이하게 되는 상황이 생겨 보령댐도수로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21년 12월 보령댐도수로 운영기준은 '경계'단계 저수량 미만에서 가동하는 것에서 '관심'단계 저수량 미만에서 가동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 현재의 용수수요로 기존 보령댐도수로 운영기준을 적용했을 경우와 개정 보령댐도수로 운영기준을 적용했을 경우를 비교하면, 전체 평가대상기간 8,401일(23년)중 가뭄대응기간은 도수로가 없을 경우는 3,419일, 기존 도수로 운영기준 적용시 3,005일, 개정 도수로 운영기준 적용시2,450일로 가뭄대응기간의 개선효과가 12%에서 28%로 향상되었다. 하천유지용수 감량기간은 도수로가 없을 경우는 3,299일, 기존 도수로 운영기준 적용시 2,615일, 개정 도수로 운영기준 적용시1,718일로 하천유지용수 감량기간의 개선효과가 21%에서 48%로 향상되었다. 또한 농업용수의 감량기간은 도수로가 없을 경우는 1,177일, 기존 도수로 운영기준 적용시 627일, 개정 도수로 운영기준 적용시 91일로 농업용수 감량기간의 개선효과가 47%에서 92%로 향상되었다. 그리고 생공용수의 감량기간을 비교해보면 도수로가 없을 경우는 1,714일, 기존 도수로 운영기준 적용시 332일, 개정 도수로 운영기준 적용시 0일로 생공용수 감량기간의 개선효과가 81%에서 100%로 대폭 향상되었다. 즉 보령댐 도수로 운영기준의 개정으로 보령댐은 가뭄시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하천유지용수, 농업용수 및 생공용수의 공급이 보다 원활해지게 된 것이다.

  • PDF

A Report of Nutritional Survey on Wonseong County (원성군민(原城郡民)에 대(對)한 향양조사(響養調査) 보고(報告))

  • Ju, Jin-So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10 no.4
    • /
    • pp.33-42
    • /
    • 1977
  • 강원도(江原道) 원성군(原城郡) 종합영양(綜合營養) 시범사업(示範事業)의 영양평가(營養評價)의 일익(一翼)으로 해당 영양시범사업시행전(營養示範事業施行前)의 기초자료(基礎資料) 수집을 위(爲)한 예비조사(豫備調査)로서 시행(施行)한 것이다. 조사시행기간(調査施行期間)은 1976년(年) 7월(月) 중순(中旬)에 8일간(日間)에 걸쳐 2명(名)의 의사(醫師)를 포함(包含)한 16명(名)으로 구성(構成)된 조사진(調査陣)으로서 4개리(個里)에서 40개(個) 세대(世帶)(각리(各里)에서 10개(個) 세대(世帶))를 무작위임의선정(無作爲任意選定)하며 한 세대(世帶)에 대(對)하여 연(漣) 3일간(日間) 조사(調査)하고 조사기간중(調査期間中) 식품섭취상태조사(食品攝取狀態調査)와 아울러 신체계측(身體計測) 임상조사(臨床調査) 및 혈액채취(血液採取)를 하여 영양섭취상태(營養攝取狀態), 신체발육상태(身體發育狀態), 임상증상(臨床症狀) 및 혈색소양(血色素量)을 측정(測定)하여 평가(評價)하였다. 특(特)히 학령전기아동(學齡前期兒童)의 영양상태(營養狀態)에 중점(重點)을 두었다. 조사결과(調査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一般的)으로 열양섭취양(熱量攝取量)이 부족(不足)하다. 2. 섭취식품(攝取食品)의 대부분(大部分)이 식물성식품(植物性食品)이고 양질(良質)의 단백질(蛋白質)이 부족(不足)되어 있다. 3. 비타민 A와 $B_2$ 그리고 칼슘 섭취양(攝取量)도 부족(不足)하다. 4. 대상주민(對象住民)의 전체적(全體的)인 임상검사(臨床檢査)로 뚜렷한 영양실조(營養失調)나 결핍증상(缺乏症狀)은 희유(稀有)하나 아동(兒童)에서는 비타민 $B_2$ 부족성(不足性) 증상(症狀)이 많다. 5. 아동(兒童)의 체위(體位)는 대체(大體)로 전국(全國) 평균치(平均値)에 미급(未及)하다. 6. 가임부(可妊婦)의 75%와 아동(兒童)의 23.7%에서 혈색소치(血色素値)가 빈혈(貧血)에 속(屬)하고 있다. 7. 특별(特別)한 이유식(離乳食)이 전무(全無)한 실정(實情)이고 임신부(妊娠婦)나 수유부(授乳婦)를 위(爲)한 보충식(補充食)도 따로 없다.

  • PDF

Estimation of extreme sea levels at tide-dominated coastal zone (조석이 지배적인 해역의 극치해면 산정)

  • Kang, Ju Whan;Kim, Yang-Seon;Cho, Hongyeon;Shim, Jae-S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4 no.6
    • /
    • pp.381-389
    • /
    • 2012
  • An EST-based method which is applicable for estimating extreme sea levels from short sea-level records in a tide dominated coastal zone was developed. Via the method, annual maximum tidal level is chosen from the simulated 1-yr tidal data which are constituted by the independent daily high water levels, short term and long term surge heights and typhoon-induced surge heights. The high water levels are generated considering not only spring/neap tides and annual tide but also 18.6-year lunar nodal cycle. Typhoon-induced surges are selected from the training set which is constructed by observed or simulated surge heights. This yearly simulation is repeated many hundred years to yield the extreme tidal levels, and the whole process is carried out many hundred times repeatedly to get robust statistics of the levels. In addition, validation of the method is also shown by comparing the result with other researches with the tidal data of Mokpo Harbor.

A Establishment of Plan for water supply in the Agricultural Purpose of Bank-high Reservoir (농업용 둑높임저수지 용수공급 계획 수립)

  • Lee, Kwang-Ya;Kim, Hae-Do;Han, Kuk-Heon;Lim, Hyung-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38-438
    • /
    • 2012
  • 우리나라의 용수사용의 48%를 차지하고 있는 농업용수는 저수지와 양수장 보 등을 이용하여 농경지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 중 농업용저수지는 18,000 여개에 이르고 있으며, 전국에 산재되어 하천의 중 상류부에서 농경지에 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유역의 중상류부에 위치한 농업용저수지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사업인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사업"은 이 치수측면에서 농업지역 관개용수의 공급과 함께 하천유지용수의 공급이고, 더불어 재해측면에서 취약한 농업용저수지 보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둑높이기사업 이전의 저수지운영은 못자리용수가 들어가는 시기인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경의 모내기 기간 동안에 가장 공급량이 많게 하면서 관개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운영을 해 왔으나, 둑높임저수지의 경우는 영농기간이 종료되는 시기인 9월 중하순을 기준으로 하천유지용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 운영이 필요하게 되었다. 농업용저수지는 관개기 시점의 저수량이 이수안전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며 하천유지용수의 공급을 감안할 경우 관개기 종료 시점의 저수량 도 중요한 의사결정 요인이 된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용수목적별 공급을 위한 둑높임저수지 운영곡선을 계획하는데 있다. 운영곡선의 기본적인 의사결정기준은 영농시점인 4월의 저수지 수위와 영농 종료시점인 10월의 수위이다. 둑높임저수지의 운영은 영농이 종료되는 시점인 10월을 기준으로 저수용량을 최대한 확보해야 하며, 다음연도 관개시작일인 4월을 기준으로 농업용수 수위가 확보 될 수 있도록 저수위조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관리자가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서 해당 저수지를 운영하도록 하기 위해 비관개기동안에 하천유지용수를 최대한 공급하면서도 다음 4월에 농업용수 필요수량을 충족할 수 있는 수위를 가질 수 있도록 운영곡선 가이드라인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작성된 운영곡선을 프로그램화하여 모의조작 할수 있는 기반을 만든다면 농업용수의 원활한 공급을 바탕으로 하류하천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을 갈수기에 최대한 공급할 수 있으며 향후 예상되는 기상조건에 따른 주단위, 월단위의 용수공급계획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