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성항법 보정시스템

Search Result 13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다중 기준국을 이용한 UDRE 추정기법 성능해석

  • Park, Sang-Hyeon;Seo, Gi-Yeol;Sin, Mi-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5-26
    • /
    • 2011
  • 사용자 의사거리 보정 잔차(UDRE)는 위성항법보정정보의 측위성능을 예측하는데 이용하는 매우 중요한 무결성 감시정보이다. 위성항법보정정보 사용자는 위성별로 제공되는 사용자 의사거리 보정 잔차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로 하는 측위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계산하고, 이 결과를 반영하여 위성항법보강시스템의 보정정보를 사용할지 아니면, 무시할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 의사거리 보정 잔차는 위성별로 제공되는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보정을 한 후에도 제거되지 않고 남는 위성과 사용자 수신기 간의 통계학적 거리 오차로서 가우시안 분포를 갖는다고 본다. 따라서 동일한 위성항법신호 환경이라도 위성항법보강시스템의 종류와 응용분야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측위성능의 보장 수준에 따라 사용자 의사거리 보정 잔차는 다른 값을 갖게 된다. 본 논문은 위성항법보강시스템의 무결성 감시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의사거리 보정 잔차 추정기법의 성능해석을 목적으로 다중 기준국 원시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의사거리 보정 잔차 추정기법 구조분석과 영향력을 소개하고,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사용자 의사거리 보정 잔차 추정성능의 지표에 대해 정의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능해석의 방법을 제안하고,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다중 위성항법시스템을 위한 해양보정시스템의 고려사항 분석

  • Park, Sang-Hyeon;Choe, Yong-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189-191
    • /
    • 2014
  •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항해를 위해 GPS 뿐만 아니라 GLONASS 등 다양한 위성항법시스템이 항해장비 및 통신장비에 이용되고 있다. 특히 항만을 포함한 연안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 단독으로 제공하는 위치 항법 시각정보 보다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 보강시스템 개념의 DGP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성항법시스템의 다원화는 현재 연근해는 물론이고 육상에서도 제공하고 있는 DGPS 서비스를 DGNSS 서비스로 확장해야 하는 필요를 낳았다. 본 논문은 현재 구축된 해양보정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보고, 해양 DGPS 인프라가 다중 위성항법시스템을 위한 서비스를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분석한다.

  • PDF

태양활동으로 인한 위성항법과 지상항법 신호영향 분석

  • Yang, Gil-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49-352
    • /
    • 2013
  • 최근 태양흑점 폭발로 인해 지구자기장이 교란되어 통신장애가 발생하는 등 GNSS을 이용하는 산업 기반에 크고 작은 피해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2012년 3월과 2013년 6월 중에 태양흑점 폭발로 우주전파경보 발령(3단계"주의) 됨에 따라 해양수산부 위성항법 중앙사무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위성항법보정시스템(DGPS)과 지상 전파항법시스템(Loran-C) 데이타를 분석하였다. 비의도적인 전파 교란 등으로 인한 GNSS 취약성 대비 대체 항법 효율성 확보 방안에 대한 eLoran으로 지상 항법시스템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위성항법보정시스템(DGNSS) 서비스 다원화에 대한 고찰

  • Im, Yeong-Min;Gong, Hyeo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283-285
    • /
    • 2015
  • 위성항법보정시스템 이용 분야의 현황을 파악 및 분석하여 지상파 DMB 등으로 활용분야를 확대하여 해양교통 분야 및 육상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함.

  • PDF

A Study on Developing Wide Area Differential GPS (WADGPS) in Korea (한국형 광역보정위성항법 개발에 관한 연구)

  • Kee, Chang Don;Shin, Dong Ho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 no.1
    • /
    • pp.3-10
    • /
    • 1997
  • The importance of GPS was great1y increased for avia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GPS satellite constellation in December of 1993. The Wide Area Augmentation System (WAAS) is being developed for operational use in the United States and also a similar system, European Geostationary Navigation Overlay Service (EGNOS), is also under development in Europe. There are needs to develop Wide Area Differential GPS (WADGPS) covering Korea to complete the GNSS mentioned above. The GNSS then allows international aviation users to fly world-wide with a single avionic system. In case of DGPS, it can cover within 100km and needs many stations for serving the widely-spreaded users. But WADGPS can cover wide area via fewer stations than DGP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Korea version of WADGPS and discuss on algorithms and performances.

  • PDF

Ionospheric Modeling using Wavelet for WADGPS (Wavelet을 이용한 광역보정위성항법을 위한 전리층 모델링)

  • Sohn, Kyoung-Ho;Kee, Chang-Do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1 no.4
    • /
    • pp.371-377
    • /
    • 2007
  • Ionospheric time delay is one of the main error source for single-frequency DGPS applications, including time transfer and Wide Area Differential GPS (WADGPS). Grid-based algorithm was already developed for WADGPS but that algorithm is not applicable to geomagnetic storm condition in accuracy and management. In geomagnetic storm conditi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ertical ionospheric delay is noisy and therefore the accuracy of modeling become low in grid-based algorithm. For better accuracy, function based algorithm can be used but the continuity of correction message is not guranteed.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ionospheric model using wavelet based algorithm. This algorithm shows better accuracy with the same number of correction message than the existing spherical harmonics algorithm and guarantees the continuity of correction messages when the number of message is expanded for geomagnetic storm condition.

  • PDF

위성항법시스템 및 보강시스템의 구축 현황

  • Nam, Gi-Uk;Heo, Mun-Beom;Sim, Ju-Yeong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5 no.1
    • /
    • pp.65-74
    • /
    • 2007
  • 현재 운용중인 전 세계적인 위성항법시스템(GNS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은 미국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러시아의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가 있다. 전 세계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시스템은 GPS이며, GLONASS는 러시아의 경제사정 악화로 인하여 지속적인 위성발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위성항법시스템은 유럽의 갈릴레오(Galileo), 중국의 북두(Beidou), 일본의 JRANS(Japanese Regional Advanced Navigation System) 그리고 2006년 5월에 구축 프로젝트가 승인된 인도의 IRNSS(Indian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가 있다. 보강시스템의 경우, 미국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는 광역오차보정시스템(WAAS)을 Raytheon사와 개발하였으며, 현재 착륙용 근거리오차보정시스템(LAAS)을 Raytheon사 및 Honeywell사와 함께 정부/산업체 공동개발 사업(GIP; Government Industry Partnership)으로 진행 중에 있다. 유럽은 EGNOS(European Geostationary Navigation Overlay Service)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본의 MSAT(MTSAT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와 인도의 GAGAN(GPS and GEO Augmented Navigation)은 추진 중이다. 이 글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과 위성항법 보강시스템의 현황을 살펴본다.

  • PDF

DGNSS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 Gwon, Min-U;Kim, Yeong-Jae;Lee, Byeo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286-288
    • /
    • 2014
  • 위성항법중앙사무소에서는 GNSS 체제에 대비하여 위성항법보정시스템 고도화 기반마련을 위해 DGNSS 시범 서비스를 운영 중에 있다. RTCM2.4와 RSIM1.3 발효 시 신속한 DGNSS 전국망 서비스를 위한 위성항법중앙사무소의 현 실태와 준비사항들을 검토하였다.

  • PDF

IGS 전리층 보정정보를 이용한 한반도 상공 전리층 기울기 변화 분석

  • Heo, Yun-Jeong;Lee, Eun-Seong;Heo, Mun-Beom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65-165
    • /
    • 2012
  • 육상, 해양, 항공 등의 응용분야에 위성항법보강시스템의 활용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정확성, 무결성, 연속성, 가용성 요구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무결성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측위 오차 및 위협 요인들을 지상국에서 감시해야한다. 특히, 전리층 변화는 지역적으로 경향 및 세기가 달라 전리층 폭풍 발생 시 지상국과 이동체에서 받은 위성항법 신호에 포함된 전리층 지연 오차의 편차가 심하여 위성항법 사용자의 무결성, 즉 안정성이 위협을 받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당지역의 전리층 변화에 대한 사전 정보를 통해 지역별로 적합한 위협 모델을 구성하여 전리층 활동 감시가 필요하다. 전리층 기울기는 전리층 지연값 분포의 불균일 여부를 정량화한 값으로, 전리층 폭풍 발생시 기울기가 급증하여 전리층 폭풍 감지를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육상 교통 위성항법보강시스템의 무결성 감시에 전리층 변화 기능을 적용하기 위한 기본 연구로 IGS에서 제공하는 전리층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한반도 상공에 대한 전리층 기울기 분포 및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전리층 기울기에 대한 보정정보 오차범위 설정이나 전리층 폭풍 발생 판단에 필요한 임계값 설정 등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Requirement Analysis of GNSS Ground Station System (위성항법 지상국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에 관한 연구)

  • Sin, Cheon-Sik;Lee, Sang-Uk;Kim, Jae-Hu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2 no.1
    • /
    • pp.48-55
    • /
    • 2007
  • The system requirement definition, system configuration, major parameters for GNSS ground station development are presented in this paper. GNSS ground station system consists of the GNSS sensor station, up link station and monitoring & control system. The GNSS sensor station consists of navigation receiver subsystem which process the GPS and Galileo navigation signal, automic clock subsystem, meteorological data receiving subsystem and navigation data processing subsystem. To communicate the error correction of navigation fate, GNSS sensor station interface with GNSS Control Cen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