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상 변이 추적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연된 n-탭 상승 에지 클럭을 이용한 위상 오차 검출기의 설계와 DP-PLL에의 적용 (The design of phase error detector based on delayed n-tap rising edge clock:It's DP-PLL system application)

  • 박군종;구광일;윤정현;윤대희;차일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100-1112
    • /
    • 1998
  • 본 연구에서 망동기 시스템의 동기 기준 클럭과 시스템 클럭간에 발생하는 위상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위상 오차 검출방식이 제안되었고 이 방식을 디지털 처리 위상 동기 루프(digital processing phase locked loop:DP-PLL)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두 클럭간에 발생하는 위상 오차는 지연된 n-탭 상승 에지 클럭으로 구성한 위상 오차 검출기에 의해 위상 오차 변이 (PEV:Phase Error Variation)로 출력된다. 위상 오차 변이는 5ns해상도로 검출되며 검출된 위상 오차 변이는 알고리즘에 의해 최적의 D/A변환기 계수를 추적하면서 위상 동기를 유지한다. 실험결과 위상 검출기는 빠르고 정확한 위상 추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루프제어 알고리즘은 우수한 지터 억압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조기심실수축 분류를 위한 위상 변이 추적 기반의 QRS 특징점 검출 (Detection of QRS Feature Based on Phase Transition Tracking for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Classification)

  • 조익성;윤정오;권혁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27-436
    • /
    • 2016
  • 일반적으로 QRS간격은 시작점을 기준으로 끝점까지의 간격을 말하지만 그 기준이 모호하고 Q와 S의 검출이 정확하지 않아 부정맥 분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전도신호 중 가장 큰 피크인 R파를 정확히 검출한 후 이를 기준으로 위상 변이 추적 기법을 적용하여 Q와 S의 시작점과 끝점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전처리 과정을 통해 잡음이 제거된 정확한 R파를 검출한다. 이후 심전도신호의 미분값을 통해 QRS패턴을 분류하고, R파를 기준으로 위상이 변화되는 방향과 횟수를 추적함으로써 Q, S의 시작점과 끝점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MIT-BIH 부정맥 데이터베이스 48개의 레코드를 대상으로 R파 검출율은 99.60%의 성능을 나타내었고, 위상 변이 추적 기법의 경우 조기심실수축(PVC)이 30개 이상 포함된 MIT-BIH 10개의 레코드를 대상으로 조기심실수축 분류율을 각각 비교 분석한 결과 94.12%로 우수하게 나타났다.

방공 레이다의 발전 추세(2)(위상 배열 레이다)

  • 이용희;이운동
    • 국방과기술
    • /
    • 4호통권230호
    • /
    • pp.38-47
    • /
    • 1998
  • 레이다는 저고도 표적에 대한 탐지능력 ECCM 능력, 대방사유도탄에 대한 대처능력이 우수해야 하며, 동시다발 표적에 대한 탐지와 추적능력을 보유해야 하고 다기능 및 다목적 용도를 위해서 또는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융통성과 잠재능력이 커야 한다.

  • PDF

FM-CW 레이다에서의 위상잡음 분석 (Analysis of Phase Noise in a FM-CW Radar)

  • Lee, Jonggil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58-761
    • /
    • 2009
  • FM-CW 레이다 시스템에서는 이동 목표물 및 기상 현상 등의 원격탐지를 위하여 각 거리에 따른 변이 주파수 및 추가적인 도플러 스펙트럼의 추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파수 대역에 따른 신호의 크기는 목표물의 탐지 여부 및 추적을 위한 매우 중요한 파라메터이다. 그러나 레이다 운용환경에서는 매우 큰 크기를 갖는 클러터등의 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는다면 시스템의 성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즉 레이다 시스템에서의 위상잡음으로 인하여 신호 및 클러터 등이 스펙트럼 영역에서 분산되어 나타나는 경우 클러터 제거뿐만 아니라 추정 주파수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위상잡음이 목표물 정보 추출을 위한 주파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시변 페이딩 이동무선채널에서 Data-Recycling 등화기에 의한 BER 성능 개선 (BER Performance Improvement of Data-Recycling Equalizer in Time-varing Fading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 Kim, Nam-Yong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581-588
    • /
    • 1997
  • 시변 페이딩 이동무선채널은 전송 선호의 전폭, 주파수 그리고 위상까지 랜덤하게 왜곡시키며 시간적으로 변하는 스펙트럼 null 을 가진다. 이러한 채널에 대해 위상왜곡에 민감한 성질과 느린 수렴속도를 가지는 기존의 등화기는 열악한 에러 성능을 나타낸다. 이 논문에서는, 단순하면서도 빠른 수렴속도의 Data - Recycling 알고리듬 을 위상왜곡에 강한 Fractionally Spaced 동화기(FSE) 구조에 적용하였으며 시변 이동통신 페이딩 채널에 대 해 다른 기존의 둥화기들과 비교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Data-Recycling FSE는 시변 이동통신채널의 특성을 빠르게 추적하는 능력과 위상왜곡에 대한 효과적인 보상능력으로 상당한 BER 성능개선을 나타내었다.

  • PDF

CPSO를 이용한 GPS위성 데이터 추출회로 개발 (Development of GPS data recovery circuit using CPSO)

  • 변건식;정명덕;박지언;최희주;김성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317-323
    • /
    • 1998
  • 동기는 유선 통신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GPS에서 사용하는 대역확산 통신방식에 있어서는 더욱 중요하다. 50(Synchronous Oscillator)는 동기, 동조, 필터, 증폭, 분주를 하나의 과정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회로망이며 입력 신호가 없을 때에는 $w_0$ 에서 자주 발진하는 발진기이지만 SO는 추적 대역폭 내에서 위상이 $180^{\circ}$ 바뀐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CPSO를 사용하였으며 CPSO(Coherent Phase Synchronous Oscillator)는 SO에2개의 외부 루프를 첨가함으로서 구성되며 CPSO는 높은 잡음 제거능력과 빠른 획득시간의 SO 특성을 유지하는 동안 더 넓은 추적범위와 zero offset의 위상 응답을 가지게 되며 입출력 신호의 위상이 일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CPSO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데이터 추출회로에 적용하였으며 우수한 데이터 추출능력을 확인하였다.

  • PDF

GPS L1 신호추적 결과를 이용한 GPS L5 신호추적 기법 (GPS L5 Signal Tracking Scheme Using GPS L1 Signal Tracking Results)

  • 주인원;이상욱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99-104
    • /
    • 2012
  • 미국은 GPS 현대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주요 내용 중의 하나가 L5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1176.45MHz 대역의 L5 주파수는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할당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항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L1 주파수와 동시에 사용시 이온층 오차를 제거하여 보다 높은 측위 정밀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L5 신호의 코드길이는 L1 신호에 비해 10배가 더 길기 때문에 L5 신호의 획득시간도 L1 신호에 비해 더 길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신호획득에 사용되는 상관기 갯수를 늘려야 하는데, 이는 상관기 구조가 복잡해지고 연산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GPS L1/L5 겸용 수신기에서 L1 신호처리 결과를 이용하여 L5 신호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 것으로, L5 신호획득 과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L5 신호획득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지 않다. 제안된 방법은 동일한 GPS 위성에서 전송하는 L1/L5 신호는 코드시작시점의 코드위상이 동기가 되어 있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L1 신호의 메시지 비트가 시작하는 시점에 L5 코드의 시작시점을 동기시킨다. 그리고, GPS L1 신호를 처리하여 산출된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이용하여 캐리어 주파수간의 관계식을 통해 GPS L5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L5 신호의 코드시작시점과 도플러 주파수 변이값을 이용하면 L5 신호획득을 위한 별도의 상관기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L5 신호를 추적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이론적 분석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전파를 이용한 태양풍 관측기 개발

  • 이방원;박용선;김창희;김정훈;노진철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133.1-133.1
    • /
    • 2011
  • 태양풍이 지구 전파통신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대응하기 위해 전파연구소와 협력하여 태양풍의 운동을 모니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태양풍이 일으키는 섬광(scintillation)에 의해 태양풍 배후에 있는 전파원 밝기가 변하는 것을 측정하여 역으로 태양풍의 이동속도, 전자밀도 등을 유도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포물면형의 전파망원경 대신 시야가 넓은 다이폴 안테나를 24개 단위로 묶은 타일 32개를 동서-남북으로 수백미터 넓이의 부지에 배열하고 전자빔조향으로 원하는 천체를 추적한다. 타일은 수동으로 남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계절별로 태양근처의 전파원을 잘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각 타일에서 나온 신호는 약 10MHz의 대역폭으로 디지털화되어 컴퓨터에 기록되고 실시간에 가깝게 각 타일간의 천체 위치별 위상차를 보정한 후 합성되어 전파원의 세기를 측정한다. 이 신호들을 교차상관시키면 야간에는 천문용 간섭계로도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MWA를 참고해서 설계한 것이나, 동작을 입증하기 위해서 타일 3개로 이루어진 시제품도 제작하였다. 현재 각 부분별로 제작이 진행되고 있으며 하드웨어는 올해 말까지 완성될 것이다.

  • PDF

천해 음파전달 모의에 적합한 음선기반 광대역 신호 모델링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y Based Broad Band Modeling for Shallow Water Acoustic Wave Propagations)

  • 박철수;조용진;안종우;성우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98-30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천해 음파전달 모의에 적합한 음선기반 광대역 주파수 신호 모의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기법은 깊이에 따라 음속이 선형적으로 변하는 환경 및 층매질에서의 음선추적을 기반으로 평면파 및 구형파의 반사 및 투과, 굴절 그리고 감쇠 등을 고려해 각 고유음선의 위상 및 크기로부터 신호를 모의한다. 본 기법의 가장 큰 특징은 주파수영역을 거치지 않고 시간영역에서 이산화된 신호를 직접 모의함으로써 주파수 대역에 관계없이 계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끝으로 제안된 기법을 네 가지의 테스트환경에 적용하여 기존의 검증된 모텔 (ORCA, Ram) 의 결과와 비교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RapidArc를 이용한 호흡연동 회전세기조절방사선치료 할 때 전달선량의 정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ccuracy for Respiratory-gated RapidArc)

  • 성지원;윤명근;정원규;배선현;신동오;김동욱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4권2호
    • /
    • pp.127-132
    • /
    • 2013
  • 환자 호흡할 때 흉 복부 내부에 있는 장기의 위치는 주기적으로 변한다. 이에 따라 방사선치료 동안 종양에 대한 선량불확도가 발생하게 되며, 불확도를 줄이기 위한 여러 방사선치료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호흡연동방사선치료는 특정 위상 또는 진폭에만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피폭선량은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긴 치료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호흡연동방사선치료 중 회전세기조절방사선치료(respiratory gated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는 다른 호흡연동치료시스템에 비해 치료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respiratory gated VMAT 치료 선량의 정확성을 검증하여 임상 적용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6개의 VMAT 치료계획(Eclipse, ver. 8.6, Palo Alto, USA)을 토대로 수행되었으며, 각각의 치료계획은 AAA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선량이 계산되었다. 환자의 호흡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환자 테이블 위에 1차원운동팬텀이 사용되었으며, 영상 기반 추적 시스템(Real-time Position Management, RPM, Varian Medical Systems, Palo Alto, USA)을 통해 운동 주기 신호를 획득하였다. 또한, 2차원-이온함-배열(MatriXX, IBA, Germany) 측정기를 이용하여 특정 호흡 신호 위상에 따른 전달 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선량과 치료 계획된 선량을 정성적인 분석을 위해 상용화되어 있는 선량분석용 프로그램(I'mRT, IBA, Germany)을 통해 2차원 선량분포를 0에서 1사이의 감마지표(Gamma index) 비교 결과 모든 케이스에서 97% 이상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호흡연동 회전세기조절 방사선치료는 호흡연동방사선치료의 단점인 시간적인 제약을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었으며 2차원 선량분포 비교 결과 오차값 3%이내의 정확도에서 환자정도관리 수준을 만족하였고 임상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