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 응용

Search Result 1,49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rends of Hardware Acceleration Technology in Wed Browser (HW 가속 기반 웹 고속화 기술동향)

  • Lee, J.H.;Cho, H.W.;Kim, D.H.;Lee, H.S.;Yoon, S.J.;Ryu, C.;Cho, C.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4
    • /
    • pp.65-76
    • /
    • 2016
  • 특정 제조사의 단말 또는 운영체제에 의존성이 없는 플랫폼 독립적인 웹은 높은 이식성, 소프트웨어의 재활용, 개발 생산성, 풍부한 개발자 존재, 유지 보수 면에서 장점을 가지나, 화려한 UI/UX를 제공하는 네이티브 응용에 비해 낮은 성능으로 웹 기반의 응용 개발 및 보급이 크게 활성화되지 못했다. 한편 데스크톱은 물론 모바일 단말의 멀티코어 기반 Graphic Processing Unit(GPU), CPU 탑재 등 HW 고사양화와 웹 응용에서도 HW 가속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표준 제공으로 성능 제약을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GPU 발전동향을 살펴보고, 고속 렌더링 및 병렬 연산처리를 요구하는 웹 응용이 GPU기반 HW 가속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크로노스 그룹의 그래픽 가속(Web Graphics Library: WebGL) 및 컴퓨팅(Web Computing Language: WebCL) 지원 표준 규격을 정리한다. 또한, 최근 차세대 GPU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로 발표된 Vulkan에 대해 알아보고, 웹 고속화 기술에 적용 가능성에 대해 전망한다.

  • PDF

A Technique to Extract Domain Requirements for Reengineering Web Application to Product Line (웹 응용을 제품 계열로 재공학하기 위한 도메인 요구사항 추출 방법)

  • Lee Kwang-Woo;Kim Jin-Han;Lee Chang-Ho;Lee Byung-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c
    • /
    • pp.154-156
    • /
    • 2006
  • 제품 계열 공학은 재사용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서 웹 응용들에서 요구되는 비용 절감 및 시장 적시성의 성취를 이루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웹 응용의 개발을 제품 계열로 이루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웹 응용이 가진 핵심 자산들을 확인하고. 정의하는 체계적인 절차를 제안하지는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해 웹 응용 도메인에 적합한 핵심 자산으로서의 체계적인 도메인 요구사항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rchitecture for Ontology based Intelligent Web Service Quality Factor Management (온톨로지 기반 지능형 웹서비스 품질요소 관리 아키텍처)

  • Kang, Yun-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5-167
    • /
    • 2007
  • 최근 웹서비스의 사용은 응용 칸 통신과 상호운용성의 필요가 증가됨에 따라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웹 서비스는 SOA의 참조아키텍처로서 필요한 복잡한 연산 수행 컴포넌트를 표준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결합하도록 한다. 그러나 웹서비스에 대한 분산 기업응용에 적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위험요소분석, 대응정책 및 해결책에 대한 방안이 부재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웹서비스의 품질관리를 위한 지능형 웹 서비스 품질 관리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웹서비스의 관리를 위해 온톨로지를 적용하여 운영할 수 있는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 PDF

Intelligent Image Retrieval Using Inference-Based Web Ontology (추론기반의 웹 온톨로지를 이용한 지능형 이미지 검색)

  • Kim, Su-Kyoung;Ahan, Ke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521-524
    • /
    • 2007
  • 추론 기반의 온톨로지 구축은 시맨틱 웹 응용의 구현을 위한 최소 요건이다. 그러나 현재 시맨틱 웹응용에 적용된 대부분의 온톨로지들은 추론을 통한 지식의 재사용을 제공하지 못하며, 이는 시맨틱 웹응용의 발전에 많은 지장을 주는 요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술 논리와 규칙 언어로 표현된 추론 기반의 웹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이를 지능형 이미지 검색에 적용하였다. 추론 엔진을 이용한 지능형 이미지 검색 결과 실험으로, 추론 기반의 웹 온톨로지와 주석 기반의 웹 온톨로지를 이미지 검색 시스템에 적용하였으며, 추론 기반의 웹 온톨로지를 적용한 검색 결과가 재현율과 정확율에 있어 더욱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The Technology of Device-to-Device Integration using Web Services (웹서비스를 이용한 서비스 기반 디바이스 연동 기술)

  • Lee, Won-Suk;Lee, Kang-Chan;Jeon, Jong-Hong;Lee, Seung-Yu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301-306
    • /
    • 2005
  • 초기의 웹서비스는 인터넷에 존재하는 응용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기술로 인식되어,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기업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한 목적이나 서로 다른 기업 간의 시스템 연동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웹서비스의 적용이 크게 확산되면서 인터넷의 응용을 넘어 이동통신 망 응용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웹서비스가 아스키 기반의 XML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플랫폼, 프로그래밍 언어, 통신망에 독립적인 특징을 갖으며, 또한 웹의 국제 표준화 기구인 W3C를 중심으로 개발된 표준 기술이기 때문이다. 현재 MS, IBM 등 주요 IT 기업들은 이와 같은 웹서비스의 장점을 이용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를 연동하기 위한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기술과 디바이스가 기존에 인터넷에 존재하는 웹서비스를 연동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An Architecture for Distributed Processing of Composite Web Services (복합 웹 서비스의 분산 처리 구조)

  • Park, Chang-Sup;Lee, S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33-636
    • /
    • 2004
  • 웹 서비스는 이질적인 응용 시스템들 사이의 연동 및 통합을 위한 표준화된 수단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웹 서비스들을 이용하여 정의되는 복합 웹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사용자 에이전트를 이용한 분산 처리 시스템 구조 및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웹 서비스들의 통신 QoS 및 복합 웹 서비스의 부하 등을 고려하여 복합 웹 서비스의 호출 및 통합 작업을 사용자 에이전트에게 동적으로 위임하여 분산 처리함으로써 복합 웹 서비스의 성능 및 가용성을 향상시킨다.

  • PDF

Modeling Adaptive Context-Based Contents Navigation of Web Applications (웹 응용의 적응하는 문맥 기반 컨텐츠 항해 모델링)

  • Lee, Byung-Jeong;Hong, Ji-W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8 no.1
    • /
    • pp.93-106
    • /
    • 2007
  • Web Applications are rapidly increasing and the structure becomes very complicated. However, when users explore such complex Web applications, they cannot often grasp the current location and get the information that they want. Therefore, a novel approach to model the navigation of Web application contents is required. In this study, a framework has been presented for modeling adaptive context-based contents navigation of Web applications. The framework performs activities including navigation analysis, navigation design, and navigation realization. first, in navigation analysis domain is analyzed by using use case, focusing on navigation. Next, in navigation design three models have been produced: a navigation information model, a profile, and a navigation interface model. Finally, in navigation realization a Webpage navigation model and a component navigation model have been produced. In this work, several formal definitions and rules for checking validity of navigation model have also been provided.

  • PDF

Toward Adaptive Navigation of Web Applications Based on User Modeling (사용자 모델링에 기반한 웹 응용의 적응하는 항해)

  • 홍지원;이병정;김희천;우치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361-363
    • /
    • 2004
  • 웹의 사용자와 정보의 급속한 증가로 특정 사용자가 자신에게 맞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 더 오랜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한다. 따라서 웹 응용에서 효과적인 사용자 항해를 위해서는 문맥정보의 제공이 필수적이다. 특히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적응적인 문맥정보를 제공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사용자 항해가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는 웹 응용의 체계적인 항해 설계 과정이 필요하다

  • PDF

Classification of Web Application Model ing Elements and Constraints Based Web Application Modeling (웹 응용 모델링의 요소 분류와 그에 따른 제약조건 기반 모델링)

  • 박영주;이기열;이병정;김희천;우치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358-360
    • /
    • 2004
  • 웹 어플리케이션은 생명 주기가 짧고, 마르고 정확한 개발이 요구되므로 모델링 단계에서의 요소 분류 및 요소간의 제약조건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프레임과 페이지를 그 성격에 따라 집합 프레임과 구조 프레임, 내용 페이지와 구조 정보 페이지로 분류, 이를 바탕으로 요소간의 관계를 정의하였다. 웹 응용 모델링의 요소 분류를 통해 그에 따른 제약 조건을 서술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사소한 예측할 수 있는 오류를 피할 수 있고, 웹 응용의 기본적인 테스트 케이스로도 사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