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 교육

Search Result 1,82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Web Identity of Online Education Contents for Foreign Languages -Focused 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온라인 외국어 교육 콘텐츠의 웹 아이덴티티 연구 -영어, 일어, 중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 Kim, Mirea;Hwang, Jung-Hy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93-49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대학학위 과정 교육을 목적으로 제작된 외국어 콘텐츠의 웹 아이덴티티 규명의 필요성과 규명된 웹 아이덴티티와 학습동기유발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데 중점을 둔다. 본 연구에서 채택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는 타 교육 분야보다 각 민족 언어의 아이덴티티가 시각적으로 재현되는 방식이 다양하다는 점에서 연구대상으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시된 바 있는 웹 아이덴티티 분석 기준에서 출발하여 온라인 교육 콘텐츠 측면에서 이를 적용 및 재해석하고, 온라인 교육 콘텐츠 의 웹 아이덴티티 기준을 추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4년제 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국내 0 사이버대학교의 외국어 교육 콘텐츠(영어, 일어, 중국어)의 사례를 웹 아이덴티티를 구현하는 세부 요소--시각디자인측면, 사운드측면, 인터페이스측면--에 맞추어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각 외국어 교육 콘텐츠의 교육 효과 획득을 위한 학습동기유발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하여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 제작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와 웹 아이덴티티가 적용되지 않은 채 제작된 외국어 교육 콘텐츠 간의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등 학습동기유발 효과를 비교하는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외국어 교육 콘텐츠에 있어서 웹 아이덴티티의 개발과 적용이 외국어 교육 효과를 높이는 학습동기유발에 유의미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Analysis of Perception on the Web Accessibility Education for Information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국내 전문계 고등학교 정보교사의 웹 접근성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 Kang, Young-Moo;Hong, Soon-Goo;Park, Seong-Je;Lee, Hyun-Mi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3 no.5
    • /
    • pp.39-49
    • /
    • 2010
  • The importance of web accessibility becomes important due to a legal obligation to comply with web accessibility. However, there are few educational programs developed on web accessibility for vocational high schools in Korea. In this study, to explore the future possibilities of web accessibility curriculum the survey with information teachers of 97 vocational high schools was conducted along with review of the curriculum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web accessibility educational programs.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1) the information teachers have only basic conceptual understandings on web accessibility and (2) they have little intention on teaching web accessibility at their vocational high schools due to current educational conditions and the lack of web accessibility knowled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employed as references for the web and web accessibility educational courses at the vocational high school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Courseware for Learning Boolean Algeba (불대수 학습을 위한 웹 기반 코스웨어의 설계와 구현)

  • 제경호;박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93-197
    • /
    • 2000
  • 웹 기반 교육은 웹을 수단으로 하여 지식을 생성조직전파하는 새로운 교육방식이다. 웹이라는 거대한 정보기반과 인터넷이 제공하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성은 교육에 활용한다면 기존의 면대면 교육에서 부족했던 점을 보완할 수있다. 독립형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는 많이 있으나 그것을 웹에 적용한 것은 아직까지 드물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웹 기반 교수-학습에 대하여 고찰한 다음 웹에서 실행되는 대수 학습을 위한 웹 기반 코스웨어의 설계 구현한후 평가하여 그 결과를 교육현장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esign Criteria for Web-based Library Instruction Program (웹 기반 도서관 이용자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 Shin, Kyoung-Hun;Choi, Sang-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1 no.3
    • /
    • pp.161-183
    • /
    • 2004
  • Recently. Web-based library instruction is incomplete in domestic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criteria of web-based library instruction programs. This study draws elements of synthetic criteria that are analyzed by evaluation criteria of web site and web-based library instruction, and compares and analyzes web-based library instruction programs.

웹 기반 원격교육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시스템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 Kim, In-Jae;Lee, Yeon-Jeo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892-896
    • /
    • 2008
  • 인터넷 사용의 일상화와 초고속통신망의 급속한 확산은 웹 기반 원격교육의 보편화를 가져왔다. 웹 기반 원격교육은 전통적 교육방식인 면대면 교육방식의 새로운 형태로써 도입되었으나 학습자와 교육자의 요구사항으로 면대면 교육방식의 대체제가 아닌 전략적 도구로써 진화하고 있다. 웹 기반 원격교육은 e러닝, e멘토링, 블렌디드러닝 등 다양한 시도가 추세이다. 이러한 시도의 공통적인 특징은 학습자, 교육자,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요구사항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웹 기반 원격교육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웹 기반 원격교육 시스템 상호작용에 대한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Process Modeling of Web Education Components based on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의 웹 교육 컴포넌트 개발과정 모델링)

  • Kim, Jae-Sae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6 no.3
    • /
    • pp.338-346
    • /
    • 2002
  • In these days, because of internet activation, each organs of education or istructors develop and manage the web based education system, but component development that used in web based education system development is not ready. When we develop the web education system using component, we can gain the various desired result of reusability, interaction in various computers, expansion, reduction of development time, saving of development expense, etc. Therefore, in this paper we classified the web based education components by the function of web based education system, did modeling for development process of components, and chose the component platform that can reuse components in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that the client/server environment is supported. The induction of these web based education components will be give many assistance to development of the web based education system.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Reading Education System (웹기반 독서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황미숙;장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3.05a
    • /
    • pp.791-794
    • /
    • 2003
  • Today, knowledge increase explosively on a rapid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due to computer and network. We got knowledge from a library before, but from internet substitute for a library now. In Web-based Reading System, it needs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This paper proposes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Web-based Reading System, it is possible to integrate.

  • PDF

Web accessibility Education Trends and Discussion to Vitalize a Web accessibility Education (웹 접근성의 교육현황 및 활성화를 위한 제언)

  • Hong, Soon-Goo;Kang, Young-Moo;Lee, Hyun-Mi;Cha, Yoon-Soo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6 no.3
    • /
    • pp.73-87
    • /
    • 2011
  • The development of a web has made our life more convenient than ever before; however, the elderly and disabled people have not advantage on it. Due to "Anti-Discrimination against and Remed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enacted in 2008, the importance of web accessibility education has been important, but education on the web accessibility has not been actively implemented yet. Thus, in this paper the trends of web accessibility education in both domestic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reviewed. In addition, its trends on the foreign government agencies, private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of universities are summarized.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and data collected from the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were compared. Based on the review, the way to vitalize web accessibility education in Korea is discussed.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web accessibility educ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are compared for the first time and thereby, the implications for activating web accessibility education are suggested.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Learning Methods According to the Platforms of Web-Based Teaching and Learning systems (웹기반 학습교육시스템 플랫폼에 따른 학습방식의 비교)

  • 서갑선;진미향;박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44-847
    • /
    • 2003
  • 정보화 시대가 발전함으로써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에 흐름에 따라 우리 교육 시스템에의 환경도 빠르게 변화, 발전하고 있다. 사회의 급속한 변화들과 더불어 정보기술의 발전은 교육환경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이 환경에 발맞춰 학습교육시스템도 다양하게 발전하게 되었다. 즉,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결과로 웹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학습교육시스템들이 선보이고 있다. 웹 기반교육은 웹을 수단으로 하여 지식을 생성, 조직, 전파하는 교육방식이며, 구조화된 웹 문서를 가지고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한 플랫폼을 구성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교육이 이루어지는 학습시스템의 다양한 플랫폼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비교를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Evaluation Standard about Web-based Project Instruction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의 평가 기준 개발)

  • Jeong, Su-Keun;Lee, Su-J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349-357
    • /
    • 2004
  •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유용성 및 그 효과에 대한 긍정적 연구 결과로 인하여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적용하려는 노력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기반 프로젝트 시스템의 평가 기준이 부족하며 이에 대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어떤 것이 양질의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질의 웹 기반 프로젝트를 선정하는 평가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은 매체적으로 교육용사이트에 기반하고, 전략적으로 교육용 코스웨어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으므로, 교육용사이트 선정 기준 및 교육용 코스웨어의 선정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기준을 교육전략적 차원, 운용적 차원, 매체적 차원의 세 차원으로 분류한 후 24개의 평가 요소와 24개이 평가 기준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의 평가 기준을 제공하여, 교수자, 교육관리자, 시스템 설계자,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을 선정, 활용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