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 검색어

Search Result 26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nalysis and Evaluation of Term Suggestion Services of Korean Search Portals: The Case of Naver and Google Korea (검색 포털들의 검색어 추천 서비스 분석 평가: 네이버와 구글의 연관 검색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 Park, So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2
    • /
    • pp.297-315
    • /
    • 201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valuate term suggestion services of major search portals, Naver and Google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evaluated relevance and currency of related search terms provid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such as number and distribution of terms, and queries that did not produce terms. This study also analyzed types of term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queries and terms, and investigate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armful terms and terms with grammatical errors. Finally, Korean queries and English queries, and popular queries and academic querie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amount and relevance of search terms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relevance and currency of Naver's related search terms are somewhat higher than those of Google. Both Naver and Google tend to add terms to or delete terms from original queries, and provide identical search terms or synonym terms rather than providing entirely new search te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mplemented to the portal's effective development of term suggestion services.

Open API를 활용한 다국어 정보검색 시스템 모델링에 관한 연구

  • Hwang, Se-Chan;Kim, Heung-Cheol;Kim, Seon-Jin;Jeong, Ju-Seok;Kang, Sin-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9-132
    • /
    • 2009
  • 본 논문은 오픈 API를 이용하여 다국어 정보검색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웹 2.0이 대두되면서 웹 2.0의 개념을 활용한 기술들이 발달하고 있는데, 그 중 한 기술이 오픈 API이다. 기업에서 개발한 새로운 서비스나 기능, 데이터 등을 API로 공개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공개된 API를 이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쉽게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 플리커, 유튜브, 네이버, 다음 등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오픈 API를 이용하여, 다국어 정보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글 번역 API를 이용하여 한국어 질의어를 검색 대상 언어(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로 번역한 후, 소설 웹 사이트(플리커, 유튜브, 다음, 네이버 등)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결과 내 텍스트를 다시 한국어로 번역한 후, 통합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 PDF

시맨틱 웹 기반의 협업적 교육을 위한 문제은행 시스템

  • O Gyeong-Jin;Kim Heung-Nam;Bae In-Gyeong;Jo G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270-276
    • /
    • 2006
  • 문제은행 시스템은 학습 평가를 위한 문제를 DB로 구성한 다음, 추후에 인터넷으로 검색하여 재 사용하게 하는 시스템이므로 교사 업무의 효율성 및 비용이 절감되며, 사용자에게 제공할 문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 저장, 검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하지만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문제 은행 시스템들의 데이터들은 컴퓨터가 그 의미를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동의어, 유의어들에 대한 정확한 검색이 어렵고, 단순한 키워드 검색으로 인하여 학생들과 교사들은 수많은 불필요한 검색 결과 속에서 원하는 정보를 다시 재 검색해야 하는 시간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시맨틱 웹 기반 기술인 OWL을 사용해서 문제은행 시스템의 온톨로지를 구성하고 개념 정의, 구조 및 관계를 명시한다. 그리고 온톨로지 기반위에 OWL 개체를 생성하고, SWRL에 정의된 규칙과 함께 추론 통해 시맨틱 검색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의 관계 및 의미 분석을 통한 향상된 검색 결과와 학습자와 교사가 다양하게 문제를 공유하고 재 사용함으로써 협업적 학습에 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Public Health System Using Search Engine Query Trends (사용자 검색 패턴 기반의 공공보건 시스템)

  • Park, Jung-Eun;Jung, Jin-Young;Park, Koo-Rac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25-428
    • /
    • 2010
  • 웹을 통해서 수천 또는 심지어는 수백만 명의 정보 수집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러한 사용자들로부터 생성된 데이터를 결합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집단지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최근 건강정보에 있어서도 웹을 통하여 사용자들이 정보의 획득이 일반화되면서 웹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패턴을 이용하여 식중독이나 독감 같은 공공보건 관련 예후를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검색 동향을 통해 독감의 유행을 예측하기 위해 국내외의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데이터 및 검색 동향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사용자들이 독감 관련 검색어의 증가는 실제 독감의 유행과 높은 상관관계(p=0.5, p=0.76)를 보였으며, 이는 인터넷 검색 동향만으로도 초기 단계에서 감시하고자 하는 질병의 발생 양상과 유행 양상의 전개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터넷 검색 동향을 통해 공공보건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 PDF

Personalized Search based on Community through Automatic Analysis of Query Patterns (질의어 패턴 자동분석을 통한 커뮤니티 기반 개인화 검색)

  • Park, Gun-Woo;Lee, Sang-Hoo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6 no.4
    • /
    • pp.321-326
    • /
    • 2009
  • Since the existing Web search engines don't sufficiently reflect user's search intent,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accurate information that users want to find. Therefore, a lot of researches, study for personalized search, to enhance satisfaction of Web search results by analyzing search pattern and applying it to search are in progress in these days. Web searchers can more efficiently find information and easily obtain appropriate information through the personalized search.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ersonalized search based on community through the analysis of web users' query patterns and interest. Consequently, when applying query frequency, interest and community to web search, we are able to the confirm that the search results which hit to the search intent of the individual are provided.

Personalized Web Search using Query based User Profile (질의기반 사용자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개인화 웹 검색)

  • Yoon, Sung 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2
    • /
    • pp.690-696
    • /
    • 2016
  • Search engines that rely on morphological matching of user query and web document content do not support individual interests. This research proposes a personalized web search scheme that returns the results that reflect the users' query intent and personal preferences. The performance of the personalized search depends on using an effective user profiling strategy to accurately capture the users' personal interests. In this study, the user profiles are the databases of topic words and customized weights based on the recent user queries and the frequency of topic words in click history. To determine the precise meaning of ambiguous queries and topic words, this strategy uses WordNet to calculate the semantic relatedness to words in the user profile.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installing a query expansion and re-ranking modules on the general web search systems.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method has 92% precision and 82% recall in the top 10 search results, proving the enhanced performance.

Web Search Personalization based on Preferences for Page Features (문서 특성에 대한 선호도 기반 웹 검색 개인화)

  • Lee, Soo-J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5 no.2
    • /
    • pp.219-226
    • /
    • 2011
  • Web personalization has focused on extracting web pages interesting to users, to help users searching wanted information efficiently on the web. One of the main methods to achieve this is by using queries, links and users' preferred words in the pages. In this study, we surveyed from the web users the features of page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to themselves in selecting web page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 of the pages is the most important. However, images and readability of the page are rated as high as the content for some users. Based on this result, we present a method for maintaining relative weights of major page features differently in the profile for each user, which is used for personalizing web search results.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ersonalization method is analyzed to prove its superiority such that it yields as much as 1.5 times higher rate than the system utilizing both queries and preferred words and about 2.3 times higher rate than a generic search engine.

  • PDF

A Rich Web Search Mechanism using Linkage Information (링크 정보를 활용한 확장된 웹 검색 방법론)

  • Kim, Seung;Lim, Tae-Soo;Lee, Woo-Key;Kang, Su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531-536
    • /
    • 2007
  • 기존의 웹 검색 시스템은 주어진 키워드들을 모두 포함한 웹 페이지의 도출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검색어의 popularity가 떨어지는 경우나, 키워드의 한정 정도가 과도하거나 많아지는 경우, 또는 키워드가 길어지는 경우 등에는 검색결과가 크게 줄어드는 결과희소성 문제(scarcity problem)를 겪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검색결과를 개별 웹페이지 집합이 아닌 관련 웹페이지들간의 링크 구조로 도출해주는 확장된 검색 방법을 제시한다. 확장된 웹 검색은 링크기반 분석을 활용하여 개별 질의들에 대한 검색 결과 페이지들간의 링크 관계를 탐색하고, 도출된 검색 결과의 순위 측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확장된 웹 검색 방법은 결과희소성 문제에 효과적임을 보였다.

  • PDF

Semantic Information Retrieval using User-Word Intelligent Network (사용자 어휘지능망을 이용한 의미적 정보검색)

  • Kim, Chang-Hwan;Im, Ji-Hui;Choe, Ho-Seop;Yoon, Hwa-Mook;Ock, Cheo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57-160
    • /
    • 2006
  • 웹 자원이 방대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얼마나 정확하게 제시하느냐가 정보검색시스템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그러나 동형이의어만을 질의어로 이용한 검색 결과는 동형이의어 각 의미에 관련된 문서가 혼재되어 있거나, 특정 의미에 관련된 문서가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사용자 어휘지능망(U-WIN)의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질의어의 모호성을 해결하고 의미적 정보검색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우선, 전문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동형이의어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동형의어를 구번하여 질의어로 선정하고, '질의어+상위어' 형태의 확장 질의어에 대해 두 개의 포탈사이트(Google, Naver)를 대상으로 웹 문서를 검색하여 정확률이 각각 81.5%(Naver), 65.5%(Google)로 나타났다.

  • PDF

Subtopic Mining from the View of Dependency Structure (의존 구문 구조 관점으로 본 서브토픽 마이닝)

  • Kim, Se-Jong;Lee, J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b
    • /
    • pp.294-296
    • /
    • 2012
  • 본 논문은 일본어 웹 문서 말뭉치로부터 의존 구문 구조 관점으로 바라본 단어들의 동시발생(co-occurrence) 정보를 사용하여 서브토픽 마이닝(subtopic mining)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우리는 의존 구문 구조를 반영하는 간단한 패턴들을 사용하여 서브토픽들을 추출 및 생성하고, 제안한 수식을 바탕으로 순위화한다. 본 방법론은 기존의 주요 상용 검색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연관 검색어 및 추천 검색어를 사용한 방법론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