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해킹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Research for Cyber Security Experts (사이버보안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연구)

  • Kim, Seul-gi;Park, Dea-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6
    • /
    • pp.1137-1142
    • /
    • 2017
  • Cyber hacking attacks and cyber terrorism are damaging to the lives of the people, and in the end, national security is threatened. Cyber-hacking attacks leaked nuclear power cooling system design drawings, cyber accidents such as hacking of Cheongwadae's homepage and hacking of KBS stations occurred. The Act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Protecti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remove the responsibility for cyber attacks, but it is difficult to prevent attacks by hackers armed with new technologies. This paper studies the development of cyber security experts for cyber security. Build a Knowledge Data Base for cyber security professionals. Web hacking, System hacking, and Network hacking technologies and evaluation. Through researches on the operation and acquisition of cyber security expert certification, we hope to help nurture cyber security experts for national cyber security.

Verification Methods of OWASP TOP 10 Security Vulnerability under Multi-Tenancy Web Site's Environments (멀티테넌시 기반 웹 사이트의 OWASP TOP 10 보안취약성 검증 방법)

  • Lee, Do Hyeon;Lee, Jong Wook;Kim, Jeom Goo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6 no.4
    • /
    • pp.43-51
    • /
    • 2016
  • Nowadays hacked using a security vulnerability in a web application, and the number of security issues on the web site at many sites due to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 open-source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website. Proposed the OWASP TOP 10 vulnerability verification method,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and then analyzed for improved method and vulnerability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security vulnerabilit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dvanced Web Services Security System With High Portability (높은 이식성을 제공하는 향상된 웹 서비스 보안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Moon, Chang-Hyun;Park, Ji Soo;Park, J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987-989
    • /
    • 2012
  • 현대사회에서 웹 서비스의 대중화로 인한 정보누출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 웹 서비스에 대한 보안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웹 서비스 제공자에게 취약점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공개된 취약점에도 보안이 되지 않은 웹 서비스들이 다수 존재하고 새로운 해킹기법들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보안솔루션 연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입력값을 검증하여 무분별하게 입력되는 Script 공격을 방어하는 높은 이식성을 제공하는 향상된 웹 서비스 보안 시스템을 설계 및 프로토타입을 구현한다.

Malicious Cross Site Script Filtering Using ACL (접근 제어를 이용한 교차 사이트 스크립트 필터링)

  • 김형주;예홍진;조은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799-801
    • /
    • 2002
  • 최근 웹 메일은 사용과 관리의 편리함 등으로 그 사용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웹 메일은 본래 보안 기능을 중시해서 만들지 않았다는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탈법적인 해킹이나 토정 같은 악의적인 공격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e-메일과 HTML, 스크립트 언어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 이후로 스크립트를 이용만 인터넷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스크립트 공격 중 상호 교차된 사이트 스크립트 공격에 대해서 기술하고 이 공격의 실행을 성공적으로 막을 수 있는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 PDF

A System to Diagnose Security Vulnerabilityes of System on Based Web (웹 기반에서 시스템 보안 취약점을 진단하는 시스템)

  • 서현진;강태호;이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632-634
    • /
    • 2000
  • 최근에 일어나는 해킹 사고의 대부분은 스캐닝 도구를 사용하여 일차적으로 공격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취약점 정보를 수집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에 대해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자들은 자신의 시스템의 취약점에 대한 정보 부족과 기술 부족으로 인하여 무방비 상태로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대부분은 스캐닝 도구들은 처음에는 시스템 보안취약점 진단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해커들에 의해 악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에 미숙한 관리자도 시스템의 취약점을 쉽게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웹 기반에서 시스템 보안 취약점을 진단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SSL/TLS, WTLS의 현재와 미래

  • 이진우;남정현;김승주;원동호
    • Review of KIISC
    • /
    • v.14 no.4
    • /
    • pp.27-36
    • /
    • 2004
  • 최근, 인터넷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해킹이나 바이러스, 개인 정보 유출 등의 발생 빈도도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러한 역기능들을 방어 통제하기 위한 웹 보안의 중요성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SSL/TLS와 WTLS는 전송 레벨 웹 보안 프로토콜로서 현재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의 인증, 데이터의 무결성 및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안 시스템 개발 시 그 활용도가 매우 크다. 본 고에서는 SSL/TLS와 WTLS의 변천사를 살펴보고, 각 프로토콜의 주요 동작과정 및 안전성을 분석한다. 또한, 사용자의 익명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SSL/TLS을 확장한 SPSL(Secure and Private Socket Layer) 프로토콜을 분석하며, 향후 SSL/TLS와 WTLS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모색한다.

A Study of Web Application Attack Detection extended ESM Agent (통합보안관리 에이전트를 확장한 웹 어플리케이션 공격 탐지 연구)

  • Kim, Sung-Ra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1 s.45
    • /
    • pp.161-168
    • /
    • 2007
  • Web attack uses structural, logical and coding error or web application rather than vulnerability to Web server itself. According to the Open Web Application Security Project (OWASP) published about ten types of the web application vulnerability to show the causes of hacking, the risk of hacking and the severity of damage are well known. The detection ability and response is important to deal with web hacking. Filtering methods like pattern matching and code modification are used for defense but these methods can not detect new types of attacks. Also though the security unit product like IDS or web application firewall can be used, these require a lot of money and efforts to operate and maintain, and security unit product is likely to generate false positive detection. In this research profiling method that attracts the structure of web application and the attributes of input parameters such as types and length is used, and by installing structural database of web application in advance it is possible that the lack of the validation of user input value check and the verification and attack detection is solved through using profiling identifier of database against illegal request. Integral security management system has been used in most institutes. Therefore even if additional unit security product is not applied, attacks against the web application will be able to be detected by showing the model, which the security monitoring log gathering agent of the integral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the function of the detection of web application attack are combined.

  • PDF

Applying CBR algorithm for cyber infringement profiling system (사례기반추론기법을 적용한 침해사고 프로파일링 시스템)

  • Han, Mee Lan;Kim, Deok Jin;Kim, Huy Ka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3 no.6
    • /
    • pp.1069-1086
    • /
    • 2013
  • Nowadays, web defacement becomes the utmost threat which can harm the target organization's image and reputation. These defacement activities reflect the hacker's political motivation or his tendenc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hacker's activities can give the decisive clue to pursue criminals. A specific message or photo or music on the defaced web site and the outcome of analysis will be supplying some decisive clues to track down criminals. The encoding method or used fonts of the remained hacker's messages, and hacker's SNS ID such as Twitter or Facebook ID also can help for tracking hackers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web defacement analysis system by applying CBR algorithm. The implemented system extracts the features from the web defacement cases on zone-h.org. This paper will be useful to understand the hacker's purpose and to plan countermeasures as a IDSS(Investigation Detection Support System).

A Study and Countermeasure of the Infected TTF(True type Font) Files (감염된 TTF(True Type Font)파일에 대한 연구 및 대응방법)

  • Park, Yeon-Jin;Oh, Ju-Hye;Lee,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283-285
    • /
    • 2016
  •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M2M(Machine-to-Machine) 산업분야의 시스템이 다기능 고성능화되고 있으며 IoT(Internet of Things), IoE(Internet of Everything)기술 등과 함께 많은 발전해가고 있다[1]. 가장 오래 된 정보통신 기술의 근간인 웹 애플리케이션은 점점 발전하고 고도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해킹하는 기술도 다양한 관점에서 발전하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파일인 TTF(True Type Font)파일에 대한 보안적 관심이 필요하다. TTF파일을 외부에서 받아옴으로서 웹 애플리케이션에 적용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때, 다른 서버에서 URL을 통해 받아오는 TTF파일에 대해 보안적 검사가 제대로 실행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TTF파일의 감염과 그 파일에 대한 대응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