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정보

Search Result 10,392, Processing Time 0.066 seconds

A Study on the Accessibility and Usefulness of Cited Web Resources: Based 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인용 웹 자원의 접근성과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를 중심으로)

  • Jang, Sun-Young;Jung, You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2.08a
    • /
    • pp.137-142
    • /
    • 2012
  • 웹 자원의 휘발성에 대한 불안에도 불구하고 학술정보 유통의 거대한 통로로 웹이 부상함에 따라 웹상에 존재하는 정보자원들이 학술정보의 재생산에 활용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학술정보에 인용된 웹 자원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것의 접근성과 유용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 중 하나인 한국문헌정보학회지를 대상으로, 2007년에서 2011년까지 5년간 수록된 논문에 인용된 웹 자원을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록된 논문들의 참고문헌 중 웹 자원 비율, 현시점에서의 웹 자원의 접근 가능성, 그리고 웹 자원 주소를 분석하여 도메인과 파일 각각의 비율과 종류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또한 표기된 웹 자원의 주소는 아니더라도 인용에서 사용한 정보를 통해 웹상에서 여전히 사용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세계 3대 검색엔진을 사용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Mining System Using WMSQL (WMSQL을 이용한 Web Mining System의 설계 및 구현)

  • 최성경;박민호;이근호;백인구;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166-168
    • /
    • 2000
  • World-Wide Web(WWW)이 발전하면서 웹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찾기 위한 정보검색 방법론이 연구가들로부터 중요한 이슈로서 대두되었고 이에 기반하여 여러 상용 정보검색 시스템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검색 시스템들은 웹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비구조화와 다양성, 사용자의 다양성, 그리고 정보의 질과 양이 문제로 인하여 사용자의 의도와 요구에 맞는 정보를 구하기 어렵다. 또한, 웹 상의 많은 데이터들로부터 단순히 일반적인 정보만을 얻어 이용할 뿐 효과적인 지식의 탐사나 관리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의 정보검색 시스템들이 갖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하고자 웹에 대한 지식 발견(Knowledge Discovery)의 새로운 시도인 웹 마이닝(Web Mining)에 대한 관련 연구를 토대로 웹 마이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특히,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기존의 SQL 과 유사한 형태의 질의어인 WMSQL을 사용하여 웹 문서의 내용에 직접적인 웹 마이닝을 수행하는 Web Content Mining을 개발함으로서 웹의 비구조화된 데이터로부터 의미있고 함축적인 지식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Web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Methodologies: A Survey of the Literature (웹정보시스템 개발 방법: 문헌 서베이)

  • Choi, Jae-Hwa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8 no.2
    • /
    • pp.73-102
    • /
    • 2006
  • The success of a Web information system(WIS) can be achieved only if it is developed in a proper and rigorous manner. As WIS has currently assumed a greater significance in organizations, WIS developers need a better understanding of methodologies support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WIS. Existing literature provides few guidelines to the WIS developers. This work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and a comparative study of the current approaches available in the WIS field that use different methodologies and techniques to develop WI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WIS development methodologies and techniques in literature,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and generate new research issue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cceptance and Characteristics of Tourism Information Web-Site (웹 사이트 관광정보에 따른 탐색과 수용에 관한 연구)

  • Choi, Hoon;Kim, Su-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657-671
    • /
    • 2003
  • 정보화 사회에서 관광 웹 사이트는 그 지역의 가치가 있는 관광정보를 제공하고, 관광객을 유치하는 마케팅 도구로서 그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정보 수용자는 관광 웹 사이트를 매개로 하여 그 지역에 대한 이미지를 갖게 되고, 점차적으로 일정한 태도를 형성하여 결국 관광지를 선택하는데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지방 자치 단체의 홈페이지에서 관광 홍보가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첫째 인터넷 외에 지역의 관광정보를 여행하기 전에 입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고, 둘째로, 인터넷을 통한 관광 정보 탐색이 대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정보탐색은 지속적 탐색이라 표현할 수 있는데 잠재적 관광객이 관광 홈페이지를 매개로 하여 그 지역의 대한 이미지를 갖게 되고 그에 따라 관광지 선택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광역자치단체의 웹사이트 상에서 관광정보를 구축하여 제공할 때에 정보 수용자 측면보다는 개발자 측면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이 있다. 그래서, 막대한 재정적 투자를 통해 개발된 관광정보가 수용자의 욕구에 다소 못 미칠 수 있다. 이에 관광정보 수용자들의 정보탐색 요인을 파악하여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관광정보 요구자가 관광정보를 탐색할 때 그들의 특성에 따라 관광정보 웹 사이트를 평가하는 기준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대학생들이 개인의 특성에 따라 웹 사이트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전남 D대학교의 관광학 전공, 경영학 전공, IT(정보통신)학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총 90부를 설문조사 하였으며, 각 전공별 학생들을 컴퓨터 실습실에서 1시간 동안 전남도청 관광 웹 사이트를 탐색하게 한 후 설문지에 응답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개인의 특성에 따라서 관광정보 웹 사이트 수용도 에서는 유흥성향과 외향-내향성 성향이 관광정보 웹 사이트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매우 유의하다는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웹 사이트의 특성에 따라서 관광정보 웹 사이트 수용도 에서는 탐색의 편리성, 정보의 충실성, 정보의 질이 관광정보 수용도 유의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했다. 하지만, 대고객 서비스에는 관광정보 웹 사이트 수용도에 대한 영향이 유의적이지 못한 결과를 보이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개별서비스 제공을 함으로서, 동영상이나 각종 사운드, 사용자 편의를 위한 관련정보 다운로드, 사용자를 고려한 부과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웹 사이트의 성과가 높을 것임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Knowledge-Based Web Document Filtering (지식기반 웹 문서 필터링)

  • 황상규;김상모;변영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51-53
    • /
    • 1999
  • 인터넷에서 검색 가능한 정보의 양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웹 기반 정보검색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필터링하여 이용자의 정보검색 수행과정에 부담을 덜어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정보검색에 익숙치 못한 초보 이용자들이 실제 웹 정보검색을 수행하는데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초보 이용자들의 보다 편리한 웹 정보검색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WordNet을 활용한 지식베이스와 SDCC(Semantic Distance for Common Category)를 이용한 웹 문서 필터링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그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 PDF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Search Engine Using Semantic Category and Hyperlink (의미 카테고리와 하이퍼링크를 이용한 검색엔진의 성능 향상)

  • 김형일;김준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649-651
    • /
    • 2004
  • 현재, 웹의 정보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모든 정보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방대한 웹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추출하기란 어려운 문제이다. 이러한 정보 추출의 어려움은 방대한 정보량과 정보추출 방식과 직결된다. 웹에서 정보를 정확히 추출하여도 일반적인 검색엔진들의 웹 페이지 순위 결정 방식을 따르게 되면, 사용자에게 중요한 페이지를 상위에 위치시키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어의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 워드넷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웹 페이지의 가중치에 의미 카테고리 빈도 확률과 하이퍼링크 가중치를 이용한 웹 페이지의 가중치 결정 방식을 제안한다.

  • PDF

Index Extraction Method of Web Contents Transcoding System for Small Display Devices (무선 단말기에서의 웹 컨텐츠 변환을 위한 인덱스 추출 방법)

  • 김범호;마평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262-264
    • /
    • 2002
  • 기존의 웹 컨텐츠는 유선망에 접속된 PC를 대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무선환경의 단말기 상의 소형 디스플레이에서 표현되기 위해서는 웹 문서의 변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웹 컨텐츠를 자동 변환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인덱스를 추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HTML 태그 패턴 분석뿐만 아니라 컨텐츠 정보의 속성 분석을 통하여 실시간 분석으로 웹 문서 변환에 필요한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웹 페이지에서 인덱스 정보를 추출하고 이러한 인덱스 정보를 브라우저에게 전달함으로써, 웹 문서 변환에 있어서 콘텍스트를 제공하고 변환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웹 사이트 및 웹 접근성 평가 기법의 비교에 기초한 웹 접근성 평가방안

  • 박지용;강영무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5.12a
    • /
    • pp.86-96
    • /
    • 2005
  • 본 논문은 웹 사이트 평가 기법과 웹 접근성 평가 기법을 비교함으로써, 웹 사이트 평가 기법에 비해 적용 기법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웹 접근성 평가 기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웹 접근성 평가 기법의 활용을 제안한다. 웹 접근성이라 함은 정보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소외되기 쉬운 장애인이 웹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어떤 사용자라도 보편적으로 웹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웹 접근성에 대한 국내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적용되고 있는 웹 접근성 평가가 실제로는 장애인이 웹을 사용함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웹 접근성 평가 방법의 개발과 시행이 시급하다 하겠다. 본 논문은 웹 사이트 평가 및 웹 접근성 평가 기법을 비교 조사함으로써, 현재 적용되고 있는 평가 기법의 현황 및 동향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웹 접근성 평가에 있어 평가 기법 범위의 협소성과 한계를 지적하였다. 또한, 웹 접근성 평가의 평가기법상의 한계가 웹 접근성을 포함한 통합적 웹 사이트 평가의 개발에 문제가 되며, 그에 따른 많은 문제가 발생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웹 접근성 평가에 대해 다양한 평가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생기는 이점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평가 기법을 적용한 웹 접근성 평가 방법 개발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 PDF

A Survey of Web Mining Focused on Web Structure Mining (웹 구조 마이닝에 초점을 둔 웹 마이닝의 조사)

  • Lee, Seok-Min;Park, Dae-Myeong;Yoo, Dae-Hun;Choi, Wo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334-338
    • /
    • 2010
  • 컴퓨터 기술의 발달 및 웹의 확산으로 인해 개인이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이 증가되었지만, 이로 인해 필요한 관련 정보를 탐색하는 것과 다량의 정보로부터 지식을 창출한다는 것이 어렵게 되었고, 고객 또는 사용자에 대한 학습 과정 및 정보의 개인화 등의 문제가 대두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웹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동화된 툴이 필요하게 되었고,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웹 사용자들의 패턴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 또한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심은 데이터 마이닝을 온라인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이어졌고, 현재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온라인에 적용한 웹 마이닝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웹 마이닝은 웹의 방대한 양의 자료 및 구조를 좀 더 유용하고, 효율적인 정보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 마이닝의 전반적인 개념과 분류를 소개한다. 또한, 웹 마이닝의 분류 중 웹 구조 마이닝에 초점을 맞추어 개념 및 웹 구조 마이닝의 대표적인 알고리듬을 소개한다.

  • PDF

Summarizing relevant web pages based on semantic region (의미 구역에 기반한 관련 웹 페이지 요약 기법)

  • 이시은;황인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597-599
    • /
    • 2003
  • 웹 상의 정보는 여러 페이지들에 걸쳐 표현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 단위로 정보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여러 웹 페이지들을 방문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정보를 검색해 여러 페이지 상에 흩어져 있는 정보들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컬렉션 페이지를 제공한다. 컬렉션 페이지는 검색된 웹 페이지들의 링크 관계를 제공하여 페이지들 사이에서의 정보의 구성을 알 수 있게 하고, 관련도 높은 페이지들의 주요 내용을 미리 가져와 보여 줌으로써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다. 이를 위해 페이지 안에서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동일한 주제의 정보를 담은 블록을 의미 구역으로 정의하고 웹 페이지를 실제 정보의 단위인 의미 구역으로 나누었다. 또한 의미 구역단위의 검색으로 여러 주제의 정보를 담고 있는 웹 페이지에 대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