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사이트 모형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Evalua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s based on 3C-D-T Model (3C-D-T 모델에 기반한 인터넷 쇼핑몰 평가)

  • Lee, Yo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447-450
    • /
    • 2004
  • B2C 전자상거래 분야의 대표격인 인터넷쇼핑몰은 유통산업의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침에 따라 쇼핑몰의 성공적 구축 및 운영이 주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웹사이트 평가모델로 주목 받고 있는 3C-D-T 모델을 기반으로 보완하여 국내 인터넷쇼핑몰 웹사이트 평가에 보다 최적화된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평가모형의 보완은 주로 평가영역 부분에서 이루어졌는데, 인터넷 쇼핑몰 웹사이트에서 비교적 비중이 적은 Community 영역의 평가점수가 전체 웹사이트 평가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 시키는 의미가 있었다. 그리하여 3C-D-T 모델의 평가영역의 Commerce 항목과 Community 항목을 통합하여 새로이 Com&Com 항목을 구성했고, 그것으로 보다 최적화 된 인터넷쇼핑몰 웹사이트 평가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새로운 평가모델로 국내 메이저 종합쇼핑몰 웹사이트들을 분석, 비교평가 하였다.

  • PDF

Quality Analysis of Web-site User Interface ; Using Kano's Two-dimensional Concept of Quality Model (웹사이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품질 분석 - Kano의 품질 인식 모형의 적용 -)

  • 김재전;이경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2.11a
    • /
    • pp.85-98
    • /
    • 2002
  • 인터넷 이용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웹사이트에 대한 개인적ㆍ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참여가 늘어남에 따라 정보의 무분별한 발생을 막고 검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치가 더욱 증대되었다. 최근에는 개별적인 연구자들뿐 아니라 웹사이트 평가기관과 순위기관들이 각각의 평가영역과 평가모형에 따라 웹사이트,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기준들은 웹사이트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주로 일원적인 인식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웹사이트 품질이나 사용자 만족을 측정하는 데 있어 품질의 고저나 만족ㆍ불만족을 일직선상에서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어떤 물리적 상황이 충족되면 사용자가 만족을 느끼지만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불만을 가지게 된다는 가정에서 평가모형들이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Kano의 모형에 따라 품질을 물리적 충족상황을 횡축에, 고객의 만족감을 종축에 두고 품질개념을 이원적으로 해석하여 매력적, 당연적,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웹사이트 평가와 웹사이트 인터페이스 평가를 위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화면구성, 항해성, 검색성, 상호작용성, 사용자지원성의 5가지 영역에서 25개의 평가항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Kano의 설문지조사법을 이용하여 설문을 수행하였다. 게임사이트, 커뮤니티 사이트, 쇼핑몰 사이트, 일간신문 사이트를 대상으로 290부의 설문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각각의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품질요소에서 매력적 품질요소, 일원적 품질요소, 당연적 품질요소를 분류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인트로나 메인페이지의 포인트, 다양한 정렬방식, 개인화된 페이지, 개인장치로의 다운로드가 매력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으며, 시각적 구성, 링크의 정확성, 링크분류의 체계성, 용어의 명료성, 컨텐츠 이용의 용이성, 적절한 강조의 사용, 고객피드백시스템은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다. 또한 당연적 품질요소는 사이트 설계의 일관성, 에러처리, 의견제시 공간, 이용설명서 또는 도움말, FAQ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기업에 새로운 웹사이트의 설계 및 운영에 있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Quality Analysis of Web-site User Interface ; Using Kano′s Two-dimensional Concept of Quality Model (웹사이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품질 분석 - Kano의 품질 인식 모형의 적용 -)

  • 김재전;이경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85-98
    • /
    • 2002
  • 인터넷 이용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웹사이트에 대한 개인적ㆍ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참여가 늘어남에 따라 정보의 무분별한 발생을 막고 검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가치가 더욱 증대되었다. 최근에는 개별적인 연구자들뿐 아니라 웹사이트 평가기관과 순위기관들이 각각의 평가영역과 평가모형에 따라 웹사이트,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기준들은 웹사이트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있어 주로 일원적인 인식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웹사이트 품질이나 사용자 만족을 측정하는 데 있어 품질의 고저나 만족ㆍ불만족을 일직선상에서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어떤 물리적 상황이 충족되면 사용자가 만족을 느끼지만 충족되지 않을 경우에는 불만을 가지게 된다는 가정에서 평가모형들이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Kano의 모형에 따라 품질을 물리적 충족상황을 횡축에, 고객의 만족감을 종축에 두고 품질개념을 이원적으로 해석하여 매력적, 당연적,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웹사이트 평가와 웹사이트 인터페이스 평가를 위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여 화면구성, 항해성, 검색성, 상호 작용성, 사용자지원성의 5가지 영역에서 25개의 평가항목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Kano의 설문지조사법을 이용하여 설문을 수행하였다. 게임사이트, 커뮤니티 사이트, 쇼핑몰 사이트, 일간신문 사이트를 대상으로 290부의 설문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각각의 사이트의 인터페이스 품질요소에서 매력적 품질요소, 일원적 품질요소, 당연적 품질요소를 분류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인트로나 메인페이지의 포인트, 다양한 정렬방식, 개인화 된 페이지, 개인장치로의 다운로드가 매력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으며, 시각적 구성, 링크의 정확성, 링크분류의 체계성, 용어의 명료성, 컨텐츠 이용의 용이성, 적절한 강조의 사용, 고객피드백시스템은 일원적 품질요소로 분류되었다. 또한 당연적 품질요소는 사이트 설계의 일관성, 에러처리, 의견제시 공간, 이용설명서 또는 도움말, FAQ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기업에 새로운 웹사이트의 설계 및 운영에 있어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물리적 제품과 디지털 제품 판매 웹사이트 특성의 비교 분석

  • 장활식;오창규;정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153-16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비즈니스 웹사이트를 물리적인 제품을 판매하는 웹사이트와 디지털 제품을 판매하는 웹사이트간에 웹사이트 평가 영역을 잣대로 삼아 차이가 발생하는 지를 분석하였다. 웹사이트 평가영역에 사용될 평가기준을 도출하기 위해 성공한 국내외 웹사이트 사례와 평가업체의 기준, 그리고 성공적인 웹사이트 구축요소 등을 토대로 새로운 평가기준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을 토대로 고객지향적 요인, 컨텐츠 및 제품 정보와 관련된 요인, 디자인 및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요인, 그리고 사용성과 관련된 요인 등 4가지의 중요요인과 각각에 대한 전체 15개의 하위 평가요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직접적인 고객 지각 데이터를 통해 실증 분석함으로써 두 그룹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대분류 요인에서는 고객지향적 요인이, 소분류 요인에서는 거래상의 안전성, 메뉴의 적절성, 그리고 참신성 등이 유의적인 결과가 도출되었다.

  • PDF

해외지역 다국어기반 웹사이트 표준 모형에 관한 연구

  • Kang, Ji-Hoon;Cho, Jea-Hyung;Mo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8a
    • /
    • pp.83-86
    • /
    • 2008
  • 해외지역 다국어기반 웹사이트는 사용자에게 해외지역 관련 기본정보 및 전문정보를 다국어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해외지역 다국어 기반이라는 사이트의 특성에 맞는 메뉴와 콘텐츠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해외지역 다국어기반 웹사이트의 표준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에서 운영 중인 해외지역 관련 웹사이트들을 대상으로 정보구조, 사이트맵, 용어 등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해외지역 다국어기반 웹사이트 구축 시 참고할 수 있는 표준 모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Weight between Evaluation Factors of Information Dissemination Web Site using AHP (AHP 접근방법을 통한 정보제공 웹사이트 평가요소 가중치 산정에 관한 연구)

  • Kim, Dae-Jin;Hong, Il-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87-490
    • /
    • 2006
  • 웹사이트 평가는 서비스의 대상과 방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웹사이트 간 특성을 파악하여 상대적인 중요도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평가 모형내의 요소에 대한 가중치를 과학적으로 산출하는 방법 및 웹사이트 사용자별 차이를 고려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가지고 3C-D-T 프레임워크내의 각 평가요소간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일반사용자 및 업체사용자 측면에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요인간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밝혀내어 정보제공 웹사이트 평가모형으로서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웹사이트 구축, 운영, 관리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제시하고는 것이 목적이다.

  • PDF

AHP모형을 적용한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신대균;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81-584
    • /
    • 2000
  • 웹사이트의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매우 많으며 또한 각각이 갖는 비중 또한 다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한 웹사이트의 사용성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방법의 개발은 웹사이트 개발자 뿐 만 아니라 사용자들에게도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다중기준 평가에서는 대상 시스템의 전체적인 사용성을 효과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단일기준을 추출할 수 없기 때문에 다중기준을 고려하였고 그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해 AHP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웹사이트의 설계, 개발 단계에서 사용성을 평가, 개선할 수 있는 효율적인 사용성 평가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항목 정의, 각 사용성 평가항목에 대한 세부평가기준 정의, 각 평가기준에 대한 쌍대비교, 가중치 산출, 가중치 종합에 의한 사용성 평가값 산출의 단계를 거쳐 연구가 수행된다.

  • PDF

Structural Relation betwee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eb Site's Trust of Venture Company (벤처기업의 웹사이트에 대한신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구조적 관계)

  • Kwak, Won Seob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8 no.4
    • /
    • pp.25-35
    • /
    • 2013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eb sites' trust of venture company. It examines consumer perceptions trust in a web site and addres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factors influence consumer trust in a web site and what specific web site cues are associated with trust, satisfaction, and intention? We test our hypothesis in a empirical data from 123 consumers across 3 web sites of venture companies. B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web site characteristics are such as design, business function, interface, technology, community, and contents of each web site. We also find that web site characteristics such as design, interface, technology, and community can influence significantly satisfaction of web site, and design and contents of web site can influence consumer's trust. And the results show that trust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the satisfaction. The results offer important implication for web site strategies of venture company that include the manipulation of factors influencing web site trust. And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discussed.

  • PDF

A Study on the Internet Website Evaluation of Local Government (지방자치단체의 인터넷 웹사이트의 평가에 관한 연구)

  • 박동진;김선주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05a
    • /
    • pp.77-80
    • /
    • 2002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웹사이트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을 통해서 공공 부문 웹사이트 평가의 일반적 영역과 각 요인들을 파악한 후, 이를 기반으로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는 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평가 영역은 크게 공공서비스 평가영역, 커뮤니티 서비스 평가영역, 행정지원 평가영역, 기술 및 정보인프라 평각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별로 다시 세부영역을 파악하였으며, 각 세부영역에는 3내지 5개 정도의 평가요인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평가모형은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 졌다.

Attitude toward the Website for Apparel Shopping (Part I): Measurement Model Testing (의류 쇼핑 웹사이트 태도 형성 모델 연구 (제1보) -웹사이트 속성, 웹사이트 쇼핑가치, 웹사이트 태도 측정모형 검증-)

  • 홍희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11
    • /
    • pp.1482-1494
    • /
    • 2004
  • This study identified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measurement variables by factor analysis using Spss program and tested covariance measurement model including latent variables such as the website attributes (interactivity, search and visual information of website), shopping values(utilitarian and hedonic value) and attitude toward website by AMOS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71 internet shopper of university students(male: 82, female: 189). They visited the website for apparel shopping and, after searching a casual clothing which they wanted to buy, request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Variables that reduce validity were deleted in the several steps of factor analysis and initial measurement model testing. Final measurement model was constructed by valid variables was accepted. This measurement model will be input for testing causal research model that can explain how attributes of the website influences on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web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