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기반 학습에 대한 인식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tem Analysis for Course Evaluations in Web-based Classes (웹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에서 강의평가를 위한 문항 분석)

  • Park, Chan-Jung;Rim, Hwa-Kyung;Chi, Eun-Lim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5 no.2
    • /
    • pp.61-68
    • /
    • 2002
  • The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y has brought many changes in education as well as in overall society and especially, web-based instruction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Unlike the conventional education environment, many web-based instructions offer multimedia effects with text, graphics, sound, animation, video, and so on via internet. In addition, by using the hypermedia functionality, they help students to navigate anywhere they want to go. However, the web-based instructions have been evaluated by the same criteria as the conventional courses. This paper develops the course evaluation items for web-based instruction and compares the results of course evaluation for the web-based instructions and the conventional courses.

  • PDF

Implementation of a Distance-Education Environment with SMIL Extending and Multimedia Scheduling (SMIL 확장과 멀티미디어 스케줄링을 이용한 원격교육환경 구축)

  • 하영미;한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68-570
    • /
    • 2003
  • 현대에는 학습자에 대한 교육 방법으로 여러 전달 매체를 통한 원격교육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그중 컴퓨터를 이용한 원격교육이 많이 도입되고 있다. 여기에 고성능 컴퓨터의 보급과 초고속통신망의 구축으로 하드웨어적 환경이 뒷받침되면서 전통적인 교육방식인 면대면 수업과 같은 효율적이고 생동감 있는 학습의 전달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웹 기반 원격교육은 일반적으로 상업성에 기초를 두고 있으므로 학습자의 요구와 특성에 따라 교과 내용이 결정되어 학습자가 원하지 않는, 듣기 싫은 과목 등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학습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대부분의 원격교육에서는 교과목마다의 특성을 무시하고 일률적인 화면구성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객체들 간의 시간적 연관성을 무시하고 각 멀티미디어 객체들을 독립적으로 표현하여 멀티미디어 교육의 장점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케줄러를 설계, 구현하여 학습자는 최소한의 학습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수자는 담당 교과목이 재생될 때 학습자의 질의에 대해 즉각적으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SMIL을 이용해서 다중사용자 환경을 표현하고 이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객체들의 시간적 동시성과 연관성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학습 능력과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Learning Platform based on Linux -e-Learning Contents Design Module with ISD Model- (리눅스 기반 인터넷 원격 교육 시스템 개발 - ISD Model 지원 교육용 컨텐츠 설계 모듈 -)

  • 성평식;박춘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1.05a
    • /
    • pp.165-183
    • /
    • 2001
  • 지난해부터 인터넷 분야에서 가장 확실한 수익 모델을 갖춘 사업 분야로 e-Learning 분야가 손꼽히면서 많은 온라인 교육 서비스가 우후죽순처럼 등장해 이미 1,000여 개의 서비스가 각축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e-Learning은 무엇보다도 학습용 컨텐츠의 품질이 그 성패를 좌우한다 할 때 한국의 온라인 학습 컨텐츠의 품질은 부실하기 이를 데 없다는 게 중론이다. 이는 S/W 공학에서 S/W 품질 보장을 위해 개발 방법론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Method II등 여러 도구들이 보급되고 있는데 비해 학습 컨텐츠는 그 중요도와 개발이 복잡하고 정교함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개발 방법론에 대한 인식과 개발방법론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가 없음에 기인하는바 크다 할 수 있겠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MacroMedia Director나 ToolBook, Authorware등 일반적인 저작 도구나 웹 기반의 컨텐츠를 제작하는 Dreamweaver등의 HTML Editor만 있으면 컨텐츠가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으로 착각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육 학습용 컨텐츠의 개발 주기를 살펴보면 요구 분석->교수 설계->저작->평가->배포의 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학습 컨텐츠의 품질은 사실 요구 분석과 교수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게 되며 이 학습 컨텐츠의 품질을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IT 분야 지식보다는 오히려 교육 공학적 지식이 더욱 요구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 단계의 절차적 복잡성과 전문성으로 인해 거의 대부분의 학습 컨텐츠들이 제대로 개발 주기를 거치지 못하고 검증되지 않은 스토리 보드에 의한 저작 단계로 바로 돌입하고 있는 것이 한국의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 된 교수 설계 도구는 교육/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을 위한 방법론인 교육 공학의 체제적 교수 설계 이론 Model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특히 그 중에서도 이 분야의 사실상의 표준 이론(de facto standard)인 Dick & Carey 교수와 Gagne 교수의 인지주의 ISD Model을 기반으로 정교한 교수 설계와 코스 맵 설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의 품질 보증 활동을 지원 할 수 있는 도구로 개발하였다. 특히 Linux 기반에서 PHP로 개발 함으로써 Platform에 구애받지 않은 사용 환경을 구현 하였으며 향후 많은 e-Learning Platform에 교수 설계 모듈로 장착 함으로써 기존의 e-Learning Platform들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Multi-Certification of Agent System Using XML (XML 전자서명을 이용한 다중인증 멀티 에이전트시스템)

  • J. Kim, Kui-Nam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5 no.1
    • /
    • pp.29-34
    • /
    • 2005
  • Internet becomes absolutely necessary tools due to rapid progr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al correspondence about an age of information demand is focused on a learner and remote education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WBI(Web Based Instruction) is a formation that remotly educate a learner using web, possible mutual re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submit various studying material, has a good point to overcome spatial restriction. Internal and external standardization working is accelerated and recently XML security studies are activated using XML which is next generation web standard document format. In this paper, we propose multi-Certification of agent system using XML digital signature to satisfy security requirement.

  • PDF

A Web-Based Construction Failure Information System using Case-Based Reasoning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웹 기반 건설실패사례 정보시스템)

  • Park, Yong-Sung;Oh, Chi-Don;Jeon, Yong-Seok;Park, Chan-Si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6
    • /
    • pp.257-267
    • /
    • 2008
  • In order to encourage construction practitioners to acknowledge failures and disseminate the information, the failure information must be documented and accumulated with a well-structured format, which contains not only the fact and result but also the circumstance and cause of the failure.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many failures are not explained clearly and often not even reported publicly, partly because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positive aspects of failures, which can improve construction practices as a result of learning from fail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eb-based construction failure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case-based reasoning techniques, which can systematically accumulate, manage, and share the valuable failure information using a structured failure cases database. It can be utilized for planning proactive solutions on future failures by searching the very similar past failure cases.

Intelligence e-Learning System Support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based on Face Recognition (학습자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얼굴인식 기반 지능형 e-Learning 시스템)

  • Bae, Kyoung-Yul;Joung, Jin-Oo;Min, Seung-Woo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3 no.2
    • /
    • pp.43-53
    • /
    • 2007
  • e-Learning education system as the next educational trend supporting remote and multimedia education. However, the students stay mainly at remote place and it is hard to certificate whether he is really studying now or not. To solve this problem, some solutions were proposed such as instructor's supervision by real time motion picture or message exchanging. Unhappily, as you can see, it needs much cost to establish the motion exchanging system and trampling upon human rights could occasion to reduce the student's will. Accordingly, we propose the new intelligent system based on face recognition to reduce the system cost. The e-Learning system running on the web page can check the student's status by motion image, and the images transfer to the instructor. For this study, 20 students and one instructor takes part in capturing and recognizing the face images. And the result produces the prevention the leave of students from lecture and improvement of attention.

  • PDF

A Study on the Copyright Education using Mobile Web : Focusing on SNS (모바일 웹을 이용한 저작권 교육에 관한 연구 : SNS를 중심으로)

  • Lee, Myung-Suk;Pi, Su-Yo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4
    • /
    • pp.59-67
    • /
    • 2014
  • With the development of SNS, many different areas including education are utilizing SNS in various ways. And there are more and more learners and teachers who intend to use it for learning. Lately, however, the students using SNS environment hardly consider the issues regarding copyright, so this is raising even legal issues, too. Therefor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undergraduates on copyright and extracted the general cases of copyright which undergraduates may face in the actual class or everyday life. The cases extracted are expressed in the rules of "If ~ Then", stored in the knowledge base of rules in the rule-based system, and realized as the mobile web. And regarding the copyright-related problems inputted by the students, similar rules are drawn from the knowledge base of rules so that they can solve copyright-related problems anytime, anywhere with the mobile web in a self-directed way.

  • PDF

Development of Language-Learning Courseware in Korean Environments (한글 환경에서의 언어 교육 시스템 개발)

  • Kim, Hae-Gyung;Yoon, Ae-Sun;Lee, Mi-Hw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335-340
    • /
    • 1998
  • 최근 컴퓨터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교육분야에서의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한 학습의 효율성 증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지금까지의 학습 방식은 교과목 특성의 개별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혹은 기술적인 문제점 등으로 인하여 학습자들에게 일관된 단답형이나 선다형의 학습 방식을 요구하여 왔다. 웹을 기반으로 한 원격 교육으로의 활용 측면에서 프랑스어와 같은 제2외국어의 경우, 한국어 환경에서의 프랑스어 악상 문자 입력이나 개별화된 저작 언어 개발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다. $\lceil$Voila-web$\rfloor$ 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프랑스어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 시스템으로 개별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하고 능동적인 학습 방식을 통한 학습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시스템이다. 학습자들에게는 학습 자료의 전체적인 내용 흐름만을 제시하고 영역별 구체적인 자료의 전개는 다양한 교과 내용을 자유 항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통신망을 통한 컴퓨터 이용 학습의 장점을 기존의 학습 방식에 보완하여 보다 능동적인 학습 방식을 유도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Text Books in order to Utilize Regional Text Books for Social Studies (사회과 지역교과서 활용을 위한 전자교과서의 설계 및 구현)

  • Kang, Oh-Han;Park, Hui-Seo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1
    • /
    • pp.19-28
    • /
    • 2006
  •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electronic textbooks for social studies centering on contents of a public educational process so that primary schools can use them as a text book. Also, we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how teachers perceived electronic textbooks in respect to site accessibility and utility, instructional design, progress of lesson, validity and accuracy of learning content, interface design, and web-based multimedia. In this paper, we presented a new model for electronic textbooks development, which is expected to be useful in developing electronic textbooks as a main text book, unlike other existing models. We applied the navigation utilizing book metaphors to the user interfac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electronic textbooks. In addition, we provided affluent multi-media materials as well as hyperlink, a strong point of on-lin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in knowledge-understanding areas and functional areas in the perspective of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learners.

  • PDF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Utilization of Generative AI-Based Classes - Focusing on Programming Classes (생성형 인공지능 기반 수업 경험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 프로그래밍 수업을 중심으로)

  • Jung-Oh Park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6 no.1_spc
    • /
    • pp.33-39
    • /
    • 2024
  •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learners' positive/negative perceptions of classroom experience and actual utilisation of AI chatbots in response to the recent changes in education trends caused by generative AI. AI chatbots were utilised in web programming classes for six classes of engineering students over two semesters. The learners' experience and usage were analy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rough surveys until the submission of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 reports. The study's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tbot enhanced learning by providing Q/A feedback and solving practical problems. Additionally, the perception of the chatbot improved from midterm to the end of the course. The study also drew meaningful conclusions about the issue of community disconnection (personalisation) in the classroom and how to use it as educational softwar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for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AI-based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