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기반 도서관 이용자 교육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State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Through Web Site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2.0 기반 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 Noh, Dong-Jo;Min, Sook-Hee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2 no.4
    • /
    • pp.195-22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ogres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in Korean university libraries. We assess the Service-based Library 2.0 based on the web site analysis of 179 different Korean university libraries. Highlights of our survey include: (1) The most accessed features of the Service-based Library 2.0, were the 'Book Review', 'RSS', 'Tag & Tagging', 'Mobile App', 'Facet' and 'Open API'. (2) Among 179 libraries, of the 16 different services offered by the Service-based Library 2.0, 145 libraries opted for 4 or fewer services offered through the Service, 3 libraries opted for 5-9 services and 3 libraries availed themselves of 10 or more services. (3) More 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than private libraries are implementing Service-based Library 2.0, including such services as 'Book Review', 'RSS', 'Mobile App', 'Facet', 'Blog', 'Twitter', 'Personnel service', 'SMS', 'Facebook'.

A study on the service model of digital library (디지털도서관의 서비스운영 모델에 관한 연구)

  • Nam, Young-Joon;Yi, Hyu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8a
    • /
    • pp.97-104
    • /
    • 2010
  • 디지털도서관은 전통적인 도서관의 역할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전자자원과 웹자원을 열람할 수 있는 시설과 기기를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IT환경에 익숙한 이용자들에게 검증된 어떤 형태의 정보자원도 제공하는 도서관이다. NDL은 국립중앙도서관의 부서이지만 별도의 공간에서 디지털정보자원만으로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여 명실상부한 디지털도서관의 원형을 구현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NDL의 구성원들의 디지털도서관의 운영고도화를 위한 설문을 바탕으로 디지털도서관 운영모델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도서관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주요 요인은 조직의 전문성을 비롯하여, 제도적 정보자원의 확보, 정보활용교육에 기반한 홍보방안 수립 등이었다.

  • PDF

Usability Evaluation of Aggregator-supplied Full-text Database (수집자공급형 학술정보데이터베이스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Kim, Jong-A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0 no.2
    • /
    • pp.223-242
    • /
    • 2009
  •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argeting initial user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an aggregator-supplied full-text databas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ask performance and perceptions based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s in completion time and perceptions on ease of use, terminology, subject categories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rticipant characteristics such as Kolb learning style, gender and participation in user instruction on full-text databa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etion time based on the Kolb learning style.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ceptions on ease of use and terminology based on gender.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ceptions on the usability of the database based on the participation in user instruction.

  • PDF

A Study on Design of Storage Structure for Educational Digital Library (교육전문 전자도서관 저장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 - SAN방식을 중심으로 -)

  • Kim, Yong;Kwon, You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1
    • /
    • pp.5-23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대용량의 디지털저작물을 저장하는 웹기반의 교육전문전자도서관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로써 고려되어지고 있는 저장구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이용자의 요구에 대한 신속한 대응, 관리자의 효율적인 관리 서비스제공자에 있어서 저장장치에 대한 경제성 등을 기준으로 가장 적절한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버스부착형방식과 NAS에 대한 장, 단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제시되고 있는 SAN방식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여 교육전문 전자도서관과 같은 대용량의 디지털데이터를 저장해야 하는 대용량저장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인 저장구조 방식을 제시한다. 즉. 서버와 저장장치사이의 I/O처리속도, 관리의 용이성, 경제성 등의 저장구조방식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들을 기준으로 하여 실제 시스템을 구현하여 이를 직접 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여 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y Mobile App Service Based on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한 학교도서관 모바일 앱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Sora;Lee, Mihwa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2 no.2
    • /
    • pp.49-67
    • /
    • 2021
  • The school library provides a mobile web service that allows access to the library catalog system, and provides services that reflect the needs of search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devic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mobile web services, and a survey of the mobile service user experience of students and teachers to find the contents and service plans for school library mobile app services that meet the school library mobile needs. Based on the survey, the contents and design plan of the school library DLS mobile service was prepared. First, the steps were reduced from step 4 to step 3. In the first step, solution of screen clipping errors in registering as a member and various login platforms for accessibility are needed. In the second step, integrated search and detailed search, provision of materials for use and reading education, post-booking activities, guides and announcements on the use of the affiliated school library, inter-loan, and e-books are provided as main menu. In the third step, it was proposed to provide related functions such as reservations as well as the display of the detailed screen of the search results of the collection. This study can be used not only to develop dedicated mobile app services, but also to change current web-based mobile services.

A Study on Social Network of Library Information User (도서관 정보 수요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 Cho, Jan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9 no.2
    • /
    • pp.169-186
    • /
    • 2008
  • Social Network has been known as friendship basis human relation service in online network. But a broad sense of Social Network can be explained as a mechanism which makes web evolve to information-ecosystem by human relation and network data which has been generated by the mass of people's cooperation and interchange. Social Network has been expanding their domain from friendship basis relation service to broad social relationship focus of matter of concern. It has been applied to diverse domain. Library community begins to take an interest in Social Network concept to apply user's interchange for information. This paper considers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 and it's appliance to a library service. For the more, suggest basic element for vitalizing library user's Social network.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stribute Multimedia System (분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상국;신화종;김세영;신동규;신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66-69
    • /
    • 2000
  • 웹이 등장하면서 지금까지 인터넷 상에서 텍스트와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보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웹 관련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과 네트워크 속도의 증가 및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으로 단순한 텍스트와 이미지 중심의 HTML 문서를 이용한 정보의 전달이 아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정보의 표현과 전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스트리밍 프로토콜도 등장하였다. 최근에는 컴퓨터의 성능 증가 및 네트워크 속도의 증가(초고속 통신 서비스의 보급)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공중파나 CATV 방송국의 형태 지니고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 생방송 서비스와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방송국이 급속하게 생겨나고 있다. (11) 인터넷 방송은 동영상과 오디오의 실시간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기술과 멀티미디어를 실시 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다. 인터넷 상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는 대부분의 인터넷 방송은 스트리밍 서버로서 RealNetworks사의 RealSystem과 Microsoft사의 WMT(Windows Media Technologies)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Real Server와 WMT의 비교 분석을 통해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기술을 지원하는 자바를 기반으로 한 분산 서버 구조의 스트리밍 서버, 서버간의 부하를 제어하는 미들웨어,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를 설계하고 구현한다.있다.구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시스템은 전자 상거래, 가상 쇼핑몰, 가상 전시화, 또는 3차원 게임이나 가상교육 시스템과 같은 웹기반 응용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다.물을 보존·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도서관의 기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학정보화의 센터로서의 도서관과 공공기록물 전문 담당자로서의 대학아카이브즈가 함께 하여 대학의 공식적인 직무 관련 업무를 원활하게 지원하고, 그럼으로써 양 기관의 위상을 높이는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크기에 의존하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Ti_{1-x}AI_{x})N$ 피막에 존재하는 AI의 함량이 높고, 초기에 증착된 막의 업자 크기가 작을 수록 클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 PDF

3D Interactive Virtual Space System based on VRML and EAI (VRML과 EAI를 이용한 3D 상호작용 가상공간시스템)

  • 염창근;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49-15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월드와이드웹상에서 3차원 인터페이스를 기술하는 표준 사양인 VRML과 자바의 EAI(External Authoring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들을 동기화 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제시한 방법에서는 별도의 독립적인 응용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동기화를 위하여 확장된 VRML을 사용할 필요없이 웹브라우저와 바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방대한 웹문서와 연계가 쉬우므로 범용적인 자료구축이 가능하다. 하지만, 가장 최근의 VRML97에서조차도 VRML이 제시하는 가상공간 다중 사용자 환경의 지원은 아직 미비하다. 더 이상 단순히 3차원 월드를 탐험하는 시기는 지났으며, 같은 공간상에서 혼자가 아닌 여럿이 함께 하는 다중 사용자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에 자바의 네트웍 기능과 가상공간의 외부에서 동적으로 월드를 제어할 수 있는 EAI를 이용하여 부족했던 다중 사용자 환경을 지원함으로써 가상 공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러나, 가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이벤트는 단지 동일 브라우저에서만 유효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할 때는 이벤트를 원격지의 이벤트와 연동하기 위하여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사용자 상호작용 시스템에 있어서 이러한 이벤트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바타의 행동양식(avatar's behavior)이라 할 수 있다. 가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이벤트의 대부분이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들이다. 즉, 아바타의 행위에 따라서 사용자 서로 간에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되며 이들 이벤트를 서로 동기화 함으로써 실시간 3차원 상호작용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시스템은 전자 상거래, 가상 쇼핑몰, 가상 전시화, 또는 3차원 게임이나 가상교육 시스템과 같은 웹기반 응용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다.물을 보존·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도서관의 기능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학정보화의 센터로서의 도서관과 공공기록물 전문 담당자로서의 대학아카이브즈가 함께 하여 대학의 공식적인 직무 관련 업무를 원활하게 지원하고, 그럼으로써 양 기관의 위상을 높이는 상승효과를 낼 수 있다.하여는, 인쇄된 일차적 정보자료의 검색방법등을 개선하고, 나아가서는 법령과 판례정보를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며,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요구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잇는 도서관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법과대학과 사법연수원에서 법학 연구방법에 관한 강좌를 개설하여 각종 법률정보원의 활용 내지 도서관 이용방법에 관하여 교육하는 것이다.글을 연구하고, 그 결과에 의존하여서 우리의 실제의 생활에 사용하는 $\boxDr$한국어사전$\boxUl$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어떤 의미에서 실험되었다고 말할 수가 있는 언어과학의 연구의 결과에 의존하여서 수행되는 철학적인 작업이다. 여기에서는 하나의 철학적인 연구의 시작으로 받아들여지는 이 의미분석의 문제를 반성하여 본다.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크기에 의존하며, 또한 이러한 영향은 $(Ti_{1-x}AI_{x})N$ 피막에 존재하는 AI의 함량이 높고, 초기에 증착된 막의 업자 크기가 작을 수록 클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ulcorner$순응

  • PDF

The Use of Web-based Electronic Book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대학생의 웹기반 전자책 이용에 관한 연구)

  • Chang, Hye-R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3 no.4 s.62
    • /
    • pp.233-256
    • /
    • 2006
  • To understand the use of the ebook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 questionnaire was devised and collected data from 466 respondents. The level of ebook and its service awareness appears to be low, and only about 30% of the students have used ebooks in the past. Students access ebooks primarily through the library homepage. 73% of the users read 3 ebooks and below. The subject and area of reading is fairly spread, however literary works and genre fiction were most popular And the purpose is split into academic and private reading. Most of the users lack of knowledge about additional functions. Overall satisfaction level is low. Discomfort and ebooks illiteracy constitute the major reasons of nonuse, however about 88% of the nonusers show willingness to use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interview, active users are familiar with the screen reading as well as perceived advantages of ebooks. Nontheless, their satisfaction level is still low. Based on the results, recommendations for creating awareness, education, production development and service evaluation are suggested to promote the ebooks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