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웰니스 분위기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1초

지각된 웰니스가 역할수행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rceived Wellness on In-role Performance)

  • 차윤석;이정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241-251
    • /
    • 2012
  • 최근 기업내 구성원들의 웰니스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장 내 웰니스가 개인 및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확장-구축이론을 토대로 웰니스 의도, 웰니스 리더십, 그리고 웰니스 분위기가 개인과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가설의 검증을 위해 11기업의 81팀 총495명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웰니스 리더십과 웰니스 분위기는 개인의 지각된 웰니스 및 성과와 긍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의 웰니스 의도는 웰니스 지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그러나 웰니스 리더십과 웰니스 의도의 상호작용은 웰니스 지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웰니스 분위기는 웰니스 지각과 개인성과 간의 관계를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였다.

일-정 촉진과 지각된 팀성과 간의 관계: 웰니스 분위기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and Perceived Team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Wellness Climate)

  • 최서현;차윤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79-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신세대의 가치관 등장 및 일-가정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인해 일과 가정은 분리된 것이 아닌 긍정적 상호작용 한다는 일-가정 촉진(work-family facilitation)(Grzywacz & Marks, 2000)과 팀성과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일-가정 촉진을 지원하는 조직분위기라 할 수 있는 웰니스 분위기의 일-가정 촉진과 지각된 팀성과 간의 조절효과도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은 위계적회귀분석(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가정 촉진은 팀성과와 정(+)의 관계를 가질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웰니스 리더십은 일-가정 촉진과 팀성과 간의 관계를 정(+)의 방향으로 조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가정 촉진이 팀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줌으로써 향후 조직 내 직무설계시 직무 그 자체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정에도 직간접적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설계를 해야 됨을 시사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웰니스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입증함으로서 일-가정 촉진을 지원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유지 발전시키는 활동도 수반 되어야 함을 시사 한다고 할 수 있다.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조직분위기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llness Leadership and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limate)

  • 차윤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79-285
    • /
    • 2018
  • 최근 조직내 구성원들의 긍정심리가 성과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많은 조직들이 구성원들의 정서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키려는 노력 해 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기업들은 그동안 개인적인 영역으로 생각되어오던 구성원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조직의 체계적인 지원 및 제도 운영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이러한 제도적 지원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리더 역할을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들의 웰니스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 리더행동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건강지원조직분위기의 역할에 대해 실증해 보았다. 이를 위해 IT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215부의 설문응답을 모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리더의 웰니스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지각된 팀성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건강지원분위기는 웰니스리더십과 팀성과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실증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영학적 관점의 실무적 및 학문적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