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웨이블릿 변환

검색결과 715건 처리시간 0.026초

연속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한 비프로파일링 기반 전력 분석 공격 (Non-Profiling Power Analysis Attacks Using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Method)

  • 배대현;이재욱;하재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1127-1136
    • /
    • 2021
  • 전력 분석 공격에서 소비 전력 파형의 잡음과 정렬 불량은 공격 성공 여부를 좌우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이를 완화하기 위한 여러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웨이블릿 변환 기반의 신호처리 방법도 그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웨이블릿을 사용한 연구에서는 파형 압축할 수 있는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해 왔는데, 그 이유는 연속 웨이블릿변환 기법이 선택된 스케일의 개수에 따라 데이터 크기 및 분석 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스케일 선택 방법도 없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 분석 공격에 최적화된 연속 웨이블릿 변환의 효율적인 스케일 선택 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이용해 파형을 인코딩할 경우 분석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보인다. 비프로파일링 공격인 CPA(Correlation Power Analysis) 및 DDLA(Differential Deep Learning Analysis) 공격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잡음 감쇄와 파형 정렬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웨이블릿 기반의 영상 압축 및 에지 검출 (Image Compression and Edge Detection Based on Wavelet Transforms)

  • 정일홍;김영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9-26
    • /
    • 2005
  • 본 논문에서 사용한 웨이블릿 변환의 기저 함수는 일반적인 웨이블릿 변환과 다른 리프팅 스킴을 사용하여 만들어 졌다. 리프팅 스킴은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여 기저 함수를 생성하지 않는 새로운 쌍직교 웨이블릿 기저 함수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본 본문은 리프팅 스킴을 이용한 새로운 영상 압축 및 에지 검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방법은 부분 복원과 공간 복원을 할 수 있어 데이터 가시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해상도에서의 근사 영상은 원래 영상으로부터 적은 정보만으로 다양한 크기의 특징을 뽑아낼 수 있고, 적은 양의 스케일링 계수를 사용하여 생성된 근사 영상은 빠르게 원래 영상의 대략적인 개요만이 필요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영상 압축 및 에지 검출 기법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관리와 데이터 가시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기틀을 마련해 준다.

  • PDF

Haar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가역적 데이터 삽입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 (An Evaluation of Reversible Data Embedding Algorithm using Haar Wavelet Transform)

  • 오인정;김민수;박하중;정현열;정호열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3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가역변환 (reversible transform)에 기반을 둔 가역 워터마킹 기법에 관해 기술한다. 워터마크를 삽입한 후 원본 데이터에 영구적으로 남아있는 기존의 워터마킹 기법과는 달리 가역 워터마킹 기법의 경우, 컨텐츠의 인증이 이루어진 후 삽입되었던 워터마크 신호를 컨텐츠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원 영상을 화소단위로 무손실 복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역 변환인 Haar 웨이블릿 변환(Haar Wavelet Transform) 이용하여 원 영상을 변환한 후 웨이블릿 계수를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삽입 및 추출한다. 이러한 가역워터마킹 기법은 판사 목적의 영상 혹은 의료영상과 같은 민감한 영상신호처리가 요구되는 분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웨이블릿 변환에 의한 시스템 감쇠변수 평가 (Estimation of System Damping Parameter Using Wavelet Transform)

  • 이석민;정범석;홍석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30-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한 시스템 감쇠비 평가에 있어서 고유주파수가 저주파 영역에 속하고, 비교적 높은 감쇠비를 갖는 응답신호에 대하여 웨이블릿 기저함수의 중심주파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일 모드로 구성된 신호와 일정 주파수를 이격시킨 분리 중첩 모드 신호 및 모드 주파수 성분을 근접시킨 인접 중첩 모드 신호에 대하여 수치해석으로 분석하고, H-Beam을 통한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분석하고자 하는 모드의 고유주파수는 전체 스케일에 대한 대응 스케일로서 고려되고, 이러한 대응 스케일의 위치는 웨이블릿 기저함수의 중심주파수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각 모드의 고유주파수에 대응되는 스케일이 전체 스케일의 1/2에 위치되도록 웨이블릿 기저함수의 중심주파수가 선택될 때 감쇠비 평가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 될 것이다.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잡음제거기 설계 (Design of the Noise Suppressor Using Wavelet Transform)

  • 원호진;김종학;이인성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37-4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주변 잡음제거기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고정된 시간-주파수 해상도를 가지는 단구간 푸리에 분석법 대신 다양한 시간-주파수 해상도를 제공하는 웨이블릿 분석법을 사용함으로써 시간 특성이 변하는 베이블 (Babble) 잡음에 좀더 효율적인 잡음제거 방법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 제안된 웨이블릿 변환 잡음제거기는 스펙트럴 차감법에 기반하여 구성하였으며, 고주파 영역에서 높은 시간 해상도를 갖는 웨이블릿 마스크 패턴을 사용함으로써 시간 특성이 빠르게 변화하는 고주파 잡음에 더욱 효율적인 동작을 하도록 설계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해 차량 잡음, 길거리 잡음, 베이블 잡음과 같은 이동통신에서 많이 사용하는 주변잡음에서 시험하였으며, 그 주관적 음질 평가 결과 베이블 잡음의 경우 기존의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r) 잡음 제거기보다 Mos (Mean Opinion Score) 0.2의 성능 개선을 이룰 수 있었다. 출력 음성의 스펙트로그램에서도 성능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웨이블릿 변환과 PN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Digital Watermarking using the Wavelet Transform and PN Code)

  • 배성범;이상민;최귀열;이광형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3-676
    • /
    • 2001
  • 디지털 워터마킹이란 디지털 데이터에 인간이 감지 할 수 없도륵 특정정보를 삽입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3레벨을 이용하여 각 부대역에 디지털 영상 내부에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심벌(마크, 심벌, 인장 또는 사인)을 삽입한다. 다중 문턱값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중요한 웨이블릿 계수를 선택하여 각 부대역별 웨이블릿 계수에 가중치를 달리 결정하여 삽입하고 PN코드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워터마킹 방법은 실험을 통해 워터마크의 비가시성, 다양한 공격에 대하여 우수한 강인성을 확인하였다.

  • PDF

잡음영상의 크기와 회전불변 패턴인식을 위한 광 웨이블릿 필터 (Optical wavelet filter for Rotation and Scale-Invariant Pattern Recognition of images with Noise)

  • 이승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81-88
    • /
    • 2004
  • 잡음을 갖는 영상의 크기와 회전불변 패턴인식을 위한 광 웨이블릿 CHF-fSDF((wavelet circular harmonic function-filter modulation synthetic discriminant function, WCHF-fSDF) 필터를 제안하였다. 웨이블릿 CHF-fSDF 필터는 기준영상에 대하여 크기변화된 영상들을 웨이블릿 변환한 후, 이들로부터 추출한 단일 원형고조함수를 학습영상으로 사용하여 합성한다. 제안된 광 웨이블릿 CHF-fSDF 필터는 정합필터의 형태로서 전통적인 4f 광 상관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필터는 크기변화와 회전에 무관한 상관출력을 나타내며 특히 잡음환경하에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 PDF

신뢰성 있는 웨이블릿 이미지 전송을 위한 패킷타이징 기법 (Enhanced Dispersive Packetization Scheme for Reliable Transmission of wavelet Image)

  • 장신애;이주경;정기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475-477
    • /
    • 2002
  • 이미지 압축을 위한 새로운 기법 중의 하나가 웨이블릿 변환이다. 웨이블릿 변환된 이미지는 이미지 전체의 중요 정보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므로 웨이블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네트웍상에 전송한다면 중요 정보가 포함된 패킷에 손실이 발생할 경우 이미지의 품질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된 웨이블릿 이미지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새로운 패킷타이징 기법을 제안한다. 즉 주파수 부대역(frequency subband)을 여러 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이 블록들을 서로 다른 패킷에 삽입하여 패킷의 중요도를 분산하는 것이다. 또한 주파수대역이 가장 낮은 부대역 정보를 중복하여 전송함으로써 이미지 전체의 품질을 보장한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객관적인 성능평가 단위인 PSNR과 주관적인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기법의 성능이 순차적인 블록 패킷 기법에 비하여 PSNR에서 1~4 ㏈ 높았으며, 이미지의 선명도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웨이블릿 변환과 보간법을 이용한 OFDM 파일럿 지원 채널 추정기술 (Pilot-Aided Channel Estimation for OFDM System Using Wavelet Transform and Interpolation)

  • 공형윤;;남두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5호
    • /
    • pp.665-67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변환과 보간법을 이용하여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파일럿 지원 채널 추정 기법을 소개한다. 웨이블릿 변환의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감쇄능력이 뛰어남으로 인해 파일럿 채널은 아주 정확하게 추정될 수 있고, 이렇게 추정된 파일럿 데이터는 남아있는 다른 데이터 심볼 채널에 대해 2차 다항식 보간법을 하는데 사용된다. Short WATM(Wireless Asynchronous Transfer Mode)채널에 대한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이 추정기를 쓴 OFDM 시스템의 성능은 완벽한 CSI(Channel State Information)에서 발생하는 BER(Bit Error Ratio) 성능과 거의 비슷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웨이블릿 변환 영역에서 영상 잡음 제거를 위한 다중 결정 모델 (Multiple Decision Model for Image Denoising in Wavelet Transform Domain)

  • 엄일규;김유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7C호
    • /
    • pp.937-945
    • /
    • 2004
  • 잡음 제거에 사용되는 이진 결정 모델은 단지 이분적인 구분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잡음에 대한 신호의 정확한 비율을 측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복잡한 통계 모델 및 다운샘플링이 되지 않은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 영상에서 잡음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수준 결정 모델을 이용한 잡음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잡음에 대한 신호의 비율을 다수준 값의 형태로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직교 웨이블릿 변환으로 좋은 잡음 제거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논문의 방법이 직교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한 최신의 잡음 제거 방법보다 PSNR 측면에서 평균적으로 0.ldB 정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