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웨어러블 컴퓨팅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Service Discovery in PAN (PAN환경에서의 서비스 탐색)

  • Park, Sang-Kyu;Kim, Dong-Chul;Kang, Bum-Seok;Han, Tack-D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063-1068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PAN에서의 빠르고 안정성 있는 서비스 탐색방법으로 그룹관리와 지역캐시를 이용한 논리적 메쉬구조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기법은 PAN 내부의 노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하는데, 각 노드들은 그룹에 속한 모든 노드들의 정보를 지역캐시로 저장하고 있어 논리적인 메쉬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 지역캐시 정보는 가입과 탈퇴 방법을 통해 각 노드에게 저장되므로 탐색시 발생하는 브로드캐스팅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논리적 메쉬구조를 사용하여 전송하므로 직접전송을 통한 빠른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이런 논리적 메쉬구조는 특정 서비스의 탐색을 위해 중간에 다른 노드나 레지스트리 서버를 거치지 않으므로 레지스트리 의존 구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있다. 이 서비스 탐색 방법은 향후 상황정보 공유를 위한 프레임워크에 상황정보 탐색 모듈로서 반영 될 수 있을 것이며 웨어러블 컴퓨팅에도 적용 가능하다.

  • PDF

Intelligent Maneuvering Decision System of Mobile Vehicle using Wearable Computing (웨어러블 컴퓨팅에 의한 지능형 주행 판단 시스템)

  • 정성호;김성주;김용택;서재용;전홍태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d
    • /
    • pp.1561-1564
    • /
    • 2003
  • Intelligent Wearable Module is intelligent system that arises when a human is part of the feedback loop of a computational process like a certain control system. Applied system is mobile robot. This paper represents the mobile robot control system remote controlled by Intelligent Wearable Module. So far, owing to the development of 802.l1b technologies, lots of remote control methods through internet have been proposed. To control a mobile robot through internet and guide it under unknown environment. The information about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the mobile robot feedbacks to the PDA and the PDA send new control method produced from the combination of Neuro and Hierarchical Fuzzy Algorithm

  • PDF

Multi-Camera-based Place Recognition using Nonstationary HMM (Nonstationary HMM을 이용한 다중 카메라 기반 장소 인식)

  • Min, Kyung-Min;Lee, Seong-Hun;Kim, Dong-Ho;Kim, Jin-Hy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0-57
    • /
    • 2007
  • 사용자가 현재 위치해 있는 장소를 알아내는 것은 상황인식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야중 하나로, 이를 위해서 사용자의 몸에 다양한 센서를 장착하고 그 센서로부터 추출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몸에 장착된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장소를 인식하는 장소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론들에 비해서 높은 성능을 보이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한 방향만의 영상으로는 인식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좋은 인식 성능을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대의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하여 여러 방향의 영상을 얻어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전 시간의 장소 인식 결과로부터 현재 시간의 장소를 추론하는 데에 있어서, 각 장소들에 대해 알고 있는 사전지식을 보다 많이 적용할 수 있는 인식 모델을 제안하였다. 실제 대학 실내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을 이용한 장소 인식기법이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Wearable Personal Security System Using GPS (GPS를 이용한 웨어러블 개인 안전 시스템)

  • 라혁주;김성주;최우경;김성현;전홍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04a
    • /
    • pp.38-41
    • /
    • 2004
  • 납치ㆍ유괴는 개인의 자유로운 활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이다. 이러한 위험 요소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개인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다.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은 기상 상태에 상관없이 지구 전역에서 사용 가능한 효율적인 항법 시스템으로 위치정보에 대한 지표를 제공한다. GPS는 현재 지속적인 개발에 의해 수신 모듈의 소형화 고성능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고정 또는 이동하는 시스템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 GPS 시스템을 개인이 휴대하게 되면 개인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개인의 이동경로는 생활권역 내에 특정 지역으로 한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동경로 자체도 주된 교통수단과 맞물려 일정한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이동특성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개인 안전을 위해 GPS의 위치정보와 소프트 컴퓨팅 기법을 접목한 시스템을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학습하여 개인의 안전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Ontology Representation of Pulse-Diagnosis Data and an Inference System for the Diagnosis Service (맥진 데이터의 온톨로지 표현과 진단 서비스 추론 시스템)

  • Yang, Dong-Il;Park, Sun-Hee;Lim, Hwa-Jung;Yang, Hae-Sool;Choi, Hyung-Ji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5B no.3
    • /
    • pp.237-244
    • /
    • 2008
  • In this paper, an infra-structure using the ontology based on the pulse information is proposed for the context-aware service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An diagnosis service inference system that represents the pulse data which was generated by the pulse-diagnosis with wearable signal, temperature, humidity, time, and other factors as ontolog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and describes the service scenario based on the ontology is designed and implemente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Managerment System Using Open Hardward Platform in IOT. (사물인터넷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을 활용한 스마트홈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ang, Jung-Ku;Park, Seok-Cheon;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633-636
    • /
    • 2015
  • ICT 시대를 맞아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에는 빅데이터, 모바일, 웨어러블 컴퓨팅 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사물인터넷 시대까지 도래하였다. 스마트 홈은 인간에게 가장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율적으로 관리되면서 실감 그런 감성화된 가정환경으로 발전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온도, 습도, 조도, 인체 동작 감지 센서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오픈 하드웨어 플랫폼인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스마트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The study of vision-based context-awareness research for intelligent realistic communication (지능형 실감 통신을 위한 비젼 기반의 상황인식 연구)

  • Kim, Jong-Bae;Jang, J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679-682
    • /
    • 2012
  • 본 논문은 지능형 실감 통신 서비스를 위해 단순히 영상 데이터만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이나 영상 내에 포함된 사용자 상황 정보(위치, 얼굴, 문자 등)들을 인식한 후 자연스럽게 사용자 화면상에 오버레이 시키는 증강현실 기반의 상황인식 기술 개발을 위한 방안을 기술한다. 제안한 방안은 사용자 위치 인식 기술, 사용자 인식 기술,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 증강현실 기술, 그리고 화질 개선을 위한 에러 은닉 기술들을 기반으로 한 연구이다. 제안한 방안은 향후 이동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정보 제공 환경으로 공함으로써, 도서관이나 박물관 또는 관광지 등에서 사용자에게 쉽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Development of Light Care System for Reducing Stress Using Sensor (센싱 기반 스트레스 완화용 빛 치유 시스템의 개발)

  • Woo, Chang-Gene;Kong, Suk-min;Kim, Gwa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566-567
    • /
    • 2019
  •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건강 기록을 관리 가능한 스마트 헬스(s-Health), 웨어러블 컴퓨팅 기기들과 모바일 기기들이 헬스케어 도구로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모바일 기반의 헬스케어(m-Health)가 부상하고 있으며, 현재 여러 가지 Light Care 제품이 있으나 수면 유도 및 기상 유도 등과 같이 간단한 색상으로 LED Spectrum을 이용한 제품과 리모콘을 이용한 조명 색상을 조절하는 제품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제 사용자의 스트레스와 생활환경 등의 다중인지 요소를 이용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LED 조명을 조정하며, 그 정보를 수집하여 헬스 케어 플랫폼과 연계한 컨텐츠를 구현하고자 한다.

  • PDF

Bio-Sensing Convergence Big Data Computing Architecture (바이오센싱 융합 빅데이터 컴퓨팅 아키텍처)

  • Ko, Myung-Sook;Lee, Tae-Gyu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7 no.2
    • /
    • pp.43-50
    • /
    • 2018
  • Biometric information computing is greatly influencing both a computing system and Big-data system based on the bio-information system that combines bio-signal sensors and bio-information processing. Unlike conventional data formats such as text, images, and videos, biometric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text-based values that give meaning to a bio-signal, important event moments are stored in an image format, a complex data format such as a video format is constructed for data prediction and analysis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Such a complex data structure may be separately requested by text, image, video format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data required by individual biometric information application services, or may request complex data formats simultaneous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Since previous bio-information processing computing systems depend on conventional computing component, computing structure,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y have many inefficiencies in terms of data processing performance, transmission capability, storage efficiency, and system safety. In this study, we propose an improved biosensing converged big data computing architecture to build a platform that supports biometric information processing computing effectively. The proposed architecture effectively supports data storage and transmission efficiency, computing performance, and system stability. And, it can lay the foundation for system implement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service optimization optimized for future biometric information computing.

Development of Wearable Vibrotactile Display Device (착용 가능한 진동촉감 제시 장치 개발)

  • Seo, Chang-Hoon;Kim, Hyun-Ho;Lee, Jun-Hun;Lee, Beom-Chan;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6
    • /
    • 2006
  • 촉감 제시 방법은 다른 사람에게 방해를 주지 않고 은밀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시각 혹은 청각 장애인에게는 반드시 필요한 정보 전달의 수단이다. 또한 촉감을 이용한 정보의 전달은 시청각을 이용한 정보전달의 방법을 보완하거나 때로는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모바일, 또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착용 가능한 진동촉감 제시 장치를 제안한다. 이 진동촉감 제시 장치는 25개의 진동모터를 $5{\times}5$의 형태로 배열하여 문자, 숫자뿐만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코인형 진동모터 각각을 스펀지로 감싸고 푹신푹신한 재질의 패드에 세워서 배열하여 진동의 퍼짐을 최소화하고 사람의 글씨 쓰는 순서에 따라 진동모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새로운 추적모드를 제안하여 사용자의 문자 및 숫자 인식률을 크게 향상시켰다. 사용자 성능 평가에서는 사용자의 발등에 영문 알파벳을 표시하여 86.7%의 인식률을 얻었다. 또한 진동촉감 제시 장치를 이용하여 핸드폰에서의 발신자 정보표시를 한다거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응용분야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