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웨어러블 시각정보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sign and Analysis of T2S System Implementation (T2S(Text-To-Speech) 시스템 구축을 위한 분석 및 설계)

  • Kim, Jung-Hyung;Lee, Wang-Hun;Lee, Hyu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713-716
    • /
    • 2006
  • IT 정보 기술 발달로 관련 하드웨어와 스프트웨어의 보급이 일반화 되며, 그에 따라 신체적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IT기술을 이용하여 신체적 결함을 극복할 수 있는 정보통신 응용제품은 필수적이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신체적 기능저하들 중에서 시각 기능 저하도 대표적인 부분이다. 이러한 시각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정보전달 수단으로 점자책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일반 서적에 비하면 이용 및 활용을 위한 제반 기술이 상당히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장애를 겪는 사람 및 장애자들에게 일반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오픈 소스 기반에 소형 스캐너를 부착한 웨어러블(wearable) PC를 직접 제작하여 개발 완료시점에 있는 시스템 내용에 관한 분석 및 설계에 관한 내용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일반 스캐너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책 혹은 정자로 주어진 문서를 실시간으로 스캔닝을 통해서 글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글자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휴대용 통합시스템(T25:text-to-speech)의 개발 진행된 연구에 관하여 살펴본다.

  • PDF

Devlopment of wearable and liked apps to improve chewing move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 아동의 저작(씹는)운동 개선을 위한 웨어러블 및 연동 앱 개발)

  • Su-In Cha;Young-Min Go;Soo-Yong Choi;Jin-Young Kim;Jin-Yo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988-989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발달장애 아동의 교육 및 치료에 있어서 감각, 인지훈련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 및 연동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임베디드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이와 연동할 수 있는 앱, 앱 내 게이미피케이컨텐츠, 학습 내용 및 결과 리포트를 개발했다. 발달장애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하드웨어는 유아 친화적 디자인으로 설계해 아동이 쉽게 착용 가능하며, 주의집중을 위한 감각 훈련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도록 시각, 촉각 등의 자극 촉구 행동을 유도하며, 반복적 교육으로 인한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개발한 기기 및 연동앱을 직접 교육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주의집중과 저작능력 향상을 위한 센터에서의 지속적인 실사용 가능성을 제고했다.

Desigining a Feedback for Exercises Using a Wearable Device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 중 피드백 방식 연구 - 근력 운동에 대한 멀티 모달 피드백 적용을 중심으로 -)

  • Yoo, Hyunjin;Maeng, Wookjae;Lee, Joongseek
    • Journal of the HCI Society of Korea
    • /
    • v.11 no.3
    • /
    • pp.23-30
    • /
    • 2016
  • The landscape of the current fitness trackers is not only limited to the aerobic exercises but also the weight training is comparatively excluded. Recently, a few weight training fitness tracker was released, human-computer interaction was not well designed due to the lack of considering the context. Because body movement would be intense while doing exercises, having exercise performers hold or operate a device makes a negative experience. As the wearable device is always inseparable to body, it could provide effective feedback because holding or operating a device is not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make the exercise performers feel a natural feedback through the wearable device to do effective exercises.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ree findings. First, the information which exercise performers most needed was 'during exercise.' and the most necessary information for exercise performers through wearable device's sensory feedback was about 'pace control' with counting and motivation. Second, the order of the most preferred presentation type of sensory feedback was auditory feedback, haptic feedback and visual feedback. Third, the satisfaction, utility, usefulness score of sensory feedback as same as the personal trainer's feedback. In conclusion, this study illustrated the feedback design implications using a wearable device while doing weight training and the possibilities that wearable device could be substitute for personal trainer.

Wearable devices for the visually and aurally handicapped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의 생활 보조를 위한 착용형 단말기 개발)

  • Kim, Rae-Hyeon;Ha, Seong-Do;Park, Jin-Yeong;Jo, Hyeon-Cheol;Park, Se-Hye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585-590
    • /
    • 2007
  • 최근 IT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는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장애인들의 일상생활의 보조 도구에 활용되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 및 청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착용형 단말기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시각 장애인용 단말기인 SmartWand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에 부착하거나 손에 휴대할 수 있는 장치로, 시작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 및 색상과 명암 정보 인식 보조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SmarWand는 시각장애인이 보행 시 이용하는 기존의 지팡이로는 감지할 수 없는 전방의 장애물을 초음파 센서를 통해 탐지하여 촉각이나 음성으로 경고해주고, 물체의 색깔이나 주변의 밝기 정도를 측정하여 시각장애인에게 알려준다. 청각 장애인용 단말기인 SmarWatch는 손목에 착용하는 장치로서 아기 울음소리, 노크나 초인종 소리, 물 끓는 소리, 화재 경보 등 가정에서 발생하는 일상적인 소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준다. SmartWatch는 입력 모듈의 마이크로 입력된 소리를 문선통신을 통해 컴퓨터로 전송한 후에 소리의 종류를 인식하고 적절한 제어신호를 다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받아 감지된 소리의 종류를 해당하는 진동과 시각정보로 표시해준다. 이런 착용형 단말기들을 통해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의 일상 생활의 안정성과 편의성이 증대 되기를 기대한다.

  • PDF

User Experience Analysis of Smart bands (스마트 밴드에 대한 사용자경험 분석)

  • Kim, Gun-A;Kim, Suk-T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8
    • /
    • pp.99-105
    • /
    • 2017
  •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e wearable-device industry is growing at a rapid pace in line with the hyper-connected society of people-to-things and things-to-things network connections. 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IDC), a market research institute, estimates that the wearable-device industry will grow rapidly by 2020, despite not yet attracting a popular respon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nd of the wearable-device industry and draws implications for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through user experience analysis. The subject of analysis was smart bands and the data generated from product review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user experience could extract utility, usability, aesthetics, value, and reliability, and polarity was analysed and visualized in the extracted data. The study results reveal that current wearable-devices are expensive, that users cannot receive useful information from the long-term viewpoint since the analysis of accumulated data remains focused on functional development, and that they are recognized as a fashion item or an accessory. These factors hinder the continuous usage, motivation and market spread of the product. In a future follow-up study, we will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bands and watches by analyzing the second smart watch.

Reinterpreting and utilizing data visualization based on public data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가시화의 활용방법)

  • Bak, Seon-Hui;Lee, Hee-Man;Lee, Jeong-Bae;Bae, J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791-794
    • /
    • 2017
  • IoT, 소셜미디어, 스마트 폰, 웨어러블 기기의 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바야흐로 "빅 데이터" 시대가 다가왔다. 이에 정부와 기업에서는 빅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전문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그 중 빅 데이터를 이용한 시각화는 빠른 의사결정을 도와주고, 자료로부터 데이터를 얻는 시간을 단축하고 즉각적인 상황판단이 가능해지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수히 많은 데이터 중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시각화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가시화의 활용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Evaluating the Operational Capabilities and Security of the IoBT Network Architecture (IoBT 네트워크 환경에서 작전 영역의 보안 대응 체계 연구)

  • Kang, Hae-Young;Lee, Jemin Justin;Kim, Yu-Kyung;Go, Myong-Hyun;Lee, Ky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140-143
    • /
    • 2021
  • IoBT시장은 2023년까지 317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센서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IoBT 장비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IoBT 장비들로부터 수집된 생체 정보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초경량화, 저전력화된 IoBT 장비들은 보안적인 측면에서 취약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Fog computing을 적용하여 전장과 지휘관 사이에서 결심 및 통제에 필요한 시각화 자료를 신속하게 제공하고 IoBT 장비의 보안 사항과 공격에 따른 완화 기법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제공하고자 한다.

Textile-IT Convergence Platform for Digital Garment and Wearable Computing (디지털의류와 웨어러블컴퓨팅의 섬유IT융합플랫폼)

  • Lee, Tae-Gyu;Shin, Seong-Yoon;Lee, Hyu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439-442
    • /
    • 2014
  • The previous wearable computing researches have been taken the deficiency of global view about ubiquitous integration. They have approached the skewed directions and approaches for the wearable ubiquitous computing. Therefore we propose a more advanced global architecture model and a general service cycle. This paper firstly proposes an architecture design of computing life cycles in digital garment environments. Then it also provides the process cycles for supporting general services in digital garment applications. Finally, we present the important design consideration issues for implementing a digital garment system.

  • PDF

Development of Lifelog Collection Interface and Visualization System for User Location Information Analysis (사용자 위치 정보 분석을 위한 라이프로그 수집 인터페이스 및 시각화 시스템 개발)

  • Choi, Jinu;Lee, Sukhoon;Jeong, Dongw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 /
    • v.17 no.7
    • /
    • pp.1-11
    • /
    • 2019
  •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s and wearable devices, researches related to platforms that collect lifelogs from these devices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lifelog results have also been advanced. However, the existed researches were impossible to collect data from various devices because they depended on a specific device and platform when transmitting or receiving lifelog data. In addition, they do not provide visualized analysis results of specialized lifelogs in specific areas, such as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o resolve the problems, this paper analyzes user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lifelog collection platform and develops the interface and visualization tools for lifelog collection. To do this, we define and analyze the requirements of developing the proposed system. Then, based on the analyzed requirements, this paper develops a lifelog visualization tool using various graphs, maps and the RESTful API interface and shows its implemented results.

Determination of Walking Direction for Guidance of the Blind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를 위한 진행 방향 판단 기법)

  • Ko, Byung-oh;Kim, Hakyung;Son, Jinwoo;Jung, Kye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49-52
    • /
    • 2019
  • Braille guide block of sidewalk is an essential facility for independent walking of the blind. The blind walks while checking the braile guide blocks with white cane and sense of sole. When they leave the braile area, they face difficulties until they find the braile guide blocks agai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guides the walking of the blind by determining whether they follows the braille guide blocks safely. For this purpose, the slope of the braille block is selected as a feature and a 3-line detector is introduced. Also the slopes are stabilized using spatial filtering to deal with breaks or junctions of the braille block during the progress and temporal filtering to cope with ego-motion of the blind. Through simulations using a dataset obtained from the real sidewalks and indoors, it can be shown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successfully estimate the walking direction and determine whether the blind is out of the braille guide block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