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류유량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seawater inflow equations considering density difference between seawater and freshwater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해담수 밀도차를 고려한 낙동강하굿둑 해수유입량 산정식 개발)

  • Jeong, Seokil;Lee, Sanguk;Hur, Young Teck;Kim, Youngsung;Kim, Hwa Yo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5
    • /
    • pp.383-392
    • /
    • 2022
  • The restora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ject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A real-scale experiment of gate operation was executed from 2019 to 2020, and a pilot operation was performed in 2021. The gate of Nakdong River Estuary Barrier (NEB) is supposed to be continuously opened based on the experiment results. Many critical decisions should be made immediately during the experiment based on the real-time measured data and numerical analysis considering the seawater inflows. The decision-making sequence was made systematically with the accurate estimation of seawater inflow. The estimation of seawater inflow is the main research objective and the equations of seawater inflow were developed, reflect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EB. The inflow equations were developed in two forms, overflow and underflow. ADCP (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was used to measure seawater inflow, check the accuracy of the developed equations, and derive the flow coefficient. The comparison error of the developed equations was about 3% compared to the measured data.

A Study on Estimation of Levee Safety Map for Determining the Priority of River Maintenance (하천 유지관리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제방안전도맵 산정방법 연구)

  • Yoon, Kwang Seok;Kim, Soo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17-25
    • /
    • 2017
  • Owing to recent climate change, the scale of rainfall tends to increase gradually and the risk of flooding has increase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levee management and disaster response is increasing. Levee management in Korea is carried out at the level of damage recovery after the occurrence of dam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predicting and managing the levee safety with proactive river management. In this study, a method to estimate the safety against erosion and overflow was suggested. A map of levee safety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is presented by displaying the levee safety on the map. The levee erosion safety wa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force for each shore type. The levee overflow safety was calculated as the ratio of the maximum conveyance and design flood. The maximum conveyance was a discharge when the level of the river was equal to the level of the levee crown. The levee safety was classified into 5 grades: very safe, safe, normal, dangerous, and very dangerous. As a research area from downstream of Nam River Dam to Nakdong River Junction, the levee safety against erosion and overflow was estimated for all levees and all cross-sections of the river. The levee safety was displayed on a map using GIS. Through the levee safety map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evee safety can be observed intuitively. Using the levee safety map, a maintenance plan for a river can be easy to build. This levee safety map can be used to help determine the priority of investment for efficient budget used.

Analysis on the Effects of Flood Damage Mitigation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지하저류조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 분석)

  • Kim, Young Joo;Han, Kun Yeun;Cho, Wan 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1B
    • /
    • pp.41-51
    • /
    • 2010
  • In this study, runoff simulation was carried out in the area of Bisan 7-dong, Seo-gu, Daegu as drainage basin and the effects of the installation of underground storage facilities were analyzed during heavy rainfall. SWMM model was used for the runoff and pipe network analysis on Typhoon Maemi, 2003. 2-D inundation analysis model based on diffusion wave was employed for inundation analysis and to verify computed inundation areas with observed inundation trace map. The simulation results agree with observed in terms of inundation area and depth. Also, the effects of flood damage mitigat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overflow discharge and 2-D inundation analysis, depending upon whether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is installed or not. When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W:120m{\times}L:180m{\times}H:1.7m$) is installed, volume of overflow could be reduced by 72% and flooding area could be reduced by 40.1%. When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W:120m{\times}L:180 m{\times}H:2.0m$) is installed, volume of overflow could be reduced by 84.8% and flooding area could be reduced by 50.6%. When the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W:120m{\times}L:180m{\times}H:2.2m$) is installed, volume of overflow could be reduced by 94% and flooding area could be reduced by 91.2%. There is no overflow of manhole, when the height of storage facility is 2.5 m.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presented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effects of underground facilities can be used as base data for socially and economically effective install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to prevent flood damage.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Flow Characteristics of a Sharp-Crested Side Weir (예연측면웨어의 종방향 흐름특성 해석)

  • Park Jong Pyo;Kim Dae Geun;Park Chang Geun;Kim Nam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970-975
    • /
    • 2005
  • 측면웨어(side weir)는 본류의 수위가 한계수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본류로부터 저류지나 분수로(distributary channel)로 흐름을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공구조물이다. 최근 들어 치수와 관련된 계획에서 본류의 홍수량 중 일부를 저류지나 홍수 우회수로로 전환시키는 시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측면웨어가 하천에 설치되는 경우, 측면웨어 부근 표층부의 흐름은 측면웨어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수의바닥이나 측면웨어에서 떨어진 지점의 흐름은 측면웨어의 영향을 작게 받는 등 측면웨어 주변부는 3차원적인 흐름특성을 보인다. 또한 측면웨어를 월류하는 흐름이 일반 웨어와 같이 웨어 마루부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본류의 유속에 따라 비스듬하게 흐르게 된다. 이러한 흐름특성으로 인해 측면웨어를 통과하는 유량은 본류의 하폭, 본류의 흐름특성, 측면웨어의 길이 및 설치위치 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측면웨에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고 상용 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하여 측면웨어가 설치된 경우의 흐름을 해석하였다. 해석결과는 기존 실험연구에 바탕을 둔 이론식과 비교하였다. 계산격자는 구조물 부근의 흐름이 급변하는 곳은 격자크기를 작게, 흐름의 변화가 완만한 곳은 격자크기를 크게 하였다. 경계조건으로 상류는 유량, 하류는 수위경계를 입력하였다. 본 수치모의결과와 이론식을 이용하여 산정한 월류량을 비교한 결과 약 $10-30\% 내외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류의 흐름은 웨어의 길이가 짧을수록 상$\cdot$하류단의 수위차가 작아지며 유속의 경우 웨어길이가 길고, 높이가 낮을수록 빨라진다. 측면웨어 주변부 흐름의 경우, 웨어의 길이가 짧을수록 방류강도가 강하고 횡방향의 수면변위가 급하게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웨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경우에는 3차원적 흐름특성에 의하여 유속의 분포가 다양하여 이론식과 결과의 오차가 점점 더 커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사각형수로에 측면웨어가 설치된 경우, 월류량과 수리학적 거동을 해석할 때 수치모형실험이 수리모형실험과 더불어 유용한 해석도구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인 깃으로 이후 관련 구조물의 설계와 해석 시 참고자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odeling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Combined Sewer Overflows(CSOs) from a Small Urban Watershed in Daejeon City (대전광역시 소유역에서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CSOs)의 배출특성 모델링)

  • Kim, Jeong-Kon;Ko, Ick-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8 no.6
    • /
    • pp.654-660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combined sewer overflows(CSOs) at a small watershed located in the Ojeong-cheon area of the Daejeon-cheon, Daejeon City. The long-term variations of discharges, water quality, and SS loads from 2001 to 2004 were simulated using SWMM.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suspended solid(SS) loads during the rainy seasons(July${\sim}$August) were highest throughout the whole year, but not substantially higher than those during the dry seasons. This result is due to the fact that contaminants do not buildup significantly because of frequent rainfall events during the wet seasons. It was estimated that about 9.3% of SS was discharged to the receiving body the during dry seasons while 90.7% during the rainy seasons.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during the wet seasons SS loads discharged at the site as CSOs and at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without treatment were 38% and 62%, respectively.

Threshold Runoff Computation for Flash flood forecast on Small Catchment Scale (돌발홍수예보를 위한 미소유역의 한계유출량 산정)

  • Kim, Woon-Tae;Bae, Deg-Hyo;Cho, Chun-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5 no.5
    • /
    • pp.553-561
    • /
    • 200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troduce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in Korea and to develop a system for computing threshold runoff on very fine catchment scale. The developed GUI system composed of 9 steps starting from input data preparation to Input file creation for flash flood forecasting compute basin subdivision, hydrologic subbasin characteristics, bankfull flows, unit peak flows and threshold runoffs on about 5 $\textrm{km}^2$ scale. When the developed system was applied on Pyungchang IHP basin, the computed 1-hour threshold runoffs ranged 18.72~81.96mm with average value of 46.39mm. Judging from the comparison of the computed threshold runoffs between this study area and three other basins in United States, the computed results in this study were reasonabl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developed system on ArcView/Avenue are useful for computing threshold runoff on small catchment and can be used as a component of flash flood forecasting system.

GIS Based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Protected Lowland Considering the Affection of Structure (구조물의 영향을 고려한 GIS기반의 제내지 홍수범람해석)

  • Choi, Seung-Yong;Han, Kun-Yeun;Cho, Wan-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4
    • /
    • pp.1-17
    • /
    • 2009
  • In recent years, most of flood damage is associated with the levee fail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flow depths, flood area, flooding time and flood damage through flood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the overflow of levee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vee failure. The hydrological parameters were extracted from GIS data such as DEM, land cover and soil map to estimate levee failure discharg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flood wave propagation could be accurately predicted as flood inundation analysis was accomplished considering the affection of structure within protected lowland and hourly prediction of flooded areas and estimation of flood strength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the flood defence and establishment of measure to reduce flood damage.

  • PDF

Analysis of Turbulent Flow by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ide Weir inlet in Meandering Channels (사행수로 구간의 횡월류위어 유입구 위치특성에 따른 흐름해석)

  • Yu, Chang Hwan;Shin, Jae Sung;Oh, Yeun 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6-306
    • /
    • 2020
  • 횡월류위어(side weir)는 하천의 수위가 한계수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본류로부터 저류지나 분수로(distributary channel)로 흐름을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공구조물로 강변저류지나 off-line저류지의 유입부에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유량관리 및 전환, 홍수통제, 에너지 소산, 수위조절, 일정 유량의 취수 및 분배, 초과 홍수량의 전환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구조물이다. 횡월류 위어의 월류 흐름은 일반위어와 같이 위어마루부 직각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본류 흐름특성에 따라 비스듬하게 유입된다. 이러한 흐름특성으로 횡월류위어 월류량은 본류의 하폭, 흐름특성, 위어길이 및 설치위치 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산정된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된 횡월류위어 흐름특성에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직선수로에 집중되어 있으며 사행하천의 흐름특성에 따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3차원 상용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하여 사행하천구간 유입부 설치위치 특성에 따른 횡월류 위어 유입흐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행하천 구간 횡월류위어 설치위치에 따른 3차원 흐름해석을 위해 AUTO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로길이 30m, 수로폭 2m의 구형 사행수로를 구성하였고, 횡월류위어 유입부 위치를 20°~120°로 변화시키며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수로흐름은 유입부 설치각이 작을수록 상·하류 수위차가 작아지며 유속이 감소하며 설치위치각이 클수록 수로내 평균유속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입부 설치각이 작을수록 방류량이 증가하여 수로내 흐름분리현상 증가하였고 이로인한 지체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 사행하천구간에 횡월류위어가 설치된 경우, 월류량과 수리학적 흐름특성을 해석할 때 3차원 수치모형실험이 유용한 해석도구로 이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후 수치모형실험이 수공구조물 설계 및 해석 시 참고자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storage performance of gabion weir for the supply of raw water for artificial recharge (대수층함양 원수공급을 위한 돌망태 취수보의 저류성능)

  • Han, Il yeong;Lee, Jae joung;Kim, Gyoo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26
    • /
    • 2020
  • 하천수의 수심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취수보 대신 강자갈이나 쇄석을 채움재로 하는 돌망태를 사용하게 되면 토사퇴적으로 인한 건천화나 상, 하류 수생태계 단절과 같은 문제를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갈접촉산화작용에 의한 수질개선과 공사비 절감 효과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돌망태는 투수성이므로 불투수성인 콘크리트 보다 저류측면에서 불리하다. 콘크리트 취수보에서의 흐름은 보 정점의 형상, 보의 폭, 높이, 그리고 월류수심에 좌우되며, 베르누이 방정식과 연속방정식에 의해 방류량 산정식을 유도하고, 유량계수와 같은 실험상수를 결정하여 방류량을 계산한다. 돌망태 취수보의 흐름은 보의 높이, 보의 길이, 보의 상류수심 외에 채움재의 형상, 입경, 배치상태가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콘크리트 취수보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방류량 산정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돌망태 보의 통과류는 실험상수가 포함된 비선형 수두손실방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실험상수는 비표면적의 크기를 의미하는 채움재의 평균동수반경와 관계되며, 평균동수반경은 채움재 입자의 형상으로 부터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을 통하여 채움재 입자의 형상과 크기에 따른 실험상수와 평균동수반경의 관계를 구하면 비선형 수두손실방정식으로부터 통과류의 방류량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돌망태 취수보가 대수층함양 원수 공급시설물로서 타당한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콘크리트 취수보의 월류량 계산은 기존의 방류량 산정식을 이용하였으며, 돌망태 취수보는 실험상수와 평균동수반경의 기존관계식을 이용하여 통과류의 방류량을 계산하였다. 이와 같이 계산된 각각의 수심-방류량 관계로 부터 수심을 비교하였다. 동일한 유량조건에서 돌망태 취수보의 상류수심은 콘크리트 취수보보다 작게 계산되었다. 상류수심은 돌망태 채움재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증가하여, 돌망태 취수보는 채움재의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저류성능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돌망태 취수보는 채움재의 입경이 작을수록 콘크리트 취수보의 저류수준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nalysis of Turbulent Flow by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ide Weir inlet in Meandering Channels (사행수로 구간의 횡월류위어 유입구 위치특성에 따른 흐름해석)

  • Yu, Cha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50-250
    • /
    • 2021
  • 횡월류위어(side weir)는 하천의 수위가 한계수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본류로부터 저류지나 분수로(distributary channel)로 흐름을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공구조물로 강변저류지나 off-line저류지의 유입부에 흐름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유량관리 및 전환, 홍수통제, 에너지 소산, 수위조절, 일정 유량의 취수 및 분배, 초과 홍수량의 전환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구조물이다. 횡월류 위어의 월류 흐름은 일반위어와 같이 위어마루부 직각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본류 흐름특성에 따라 비스듬하게 유입된다. 이러한 흐름특성으로 횡월류위어 월류량은 본류의 하폭, 흐름특성, 위어길이 및 설치위치 등에 따라 각기 다르게 산정된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된 횡월류위어 흐름특성에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직선수로에 집중되어 있으며 사행하천의 흐름특성에 따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금회 연구에서는 3차원 상용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하여 사행하천구간 유입부 설치위치 특성에 따른 횡월류 위어 유입흐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행하천 구간 횡월류위어 설치위치에 따른 3차원 흐름해석을 위해 AUTO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로길이 30m, 수로폭 2m의 구형 사행수로를 구성하였고, 횡월류위어 유입부 위치를 20°~120°로 변화시키며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수로흐름은 유입부 설치각이 작을수록 상·하류 수위차가 작아지며 유속이 감소하며 설치위치각이 클수록 수로내 평균유속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입부 설치각이 작을수록 방류량이 증가하여 수로내 흐름분리현상 증가하였고 이로인한 지체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 사행하천구간에 횡월류위어가 설치된 경우, 월류량과 수리학적 흐름특성을 해석할 때 3차원 수치모형실험이 유용한 해석도구로 이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후 수치모형실험이 수공구조물 설계 및 해석 시 참고자료로 이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