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월경 전 증후군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7초

여대생의 건강행태, 월경전증후군 대처 및 증상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Behaviors, Premenstrual Coping and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on Subjective Happiness in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아린;전해옥;채명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93-505
    • /
    • 2017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월경전증후군 대처, 월경전증후군,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여대생 122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7일부터 4월 20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IBM SPSS WIN 20.0을 이용한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월경전증후군 대처수준은 평균 96.10점, 월경전증후군은 평균 27.97점, 주관적 행복감은 평균 19.23점이었다. 주관적 행복감은 건강관련 특성 및 월경관련 특성 중 주관적 건강상태(F=5.48, p=.005), 수면의 질(F=9.47, p<.001), 평균 월경기간(일)(r=-.21, p=.02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행복감의 영향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beta}=.23$, p<.011), 월경증후군 증상(${\beta}=-.22$, p<.012), 평균 월경기간(${\beta}=-.17$, p<.044)으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14.0%였다. 여대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월경전증후군 증상, 평균 월경기간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여대생의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월경증후군 증상 관련 요인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건강증진행위가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Premenstrual Syndrome in Clinical Nurses)

  • 구정순;김선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25-23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건강증진행위 및 월경전증후군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C 지역에 위치한 1개의 상급 종합병원과 2개의 종합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195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7월 3일부터 7월 21일 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5점 만점에 $3.35{\pm}0.63$점,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2.08{\pm}0.40$점, 월경전증후군 정도는 6점 만점에 $2.94{\pm}1.09$점이었다. 월경전증후군은 감정노동(r=.292, p<.001), 건강증진행위 하부영역인 대인관계(r=.208, p=.004)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월경전증후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beta}=.54$, p=.001), 감정노동(${\beta}=.40$, p=.001), 월경통 정도(${\beta}=.14$, p<.001)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변수들은 월경전증후군의 30.0%를 설명하였다(F=9.33, p<.001).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월경전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과 월경통을 감소시키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스트레스반응이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emenstrual Syndrome and Stress Response on Learning Flow in Nursing Students)

  • 심정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83-9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 스트레스반응과 학습몰입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광역시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62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1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과 스트레스반응과는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389, p<.001), 월경전증후군과 학습몰입도(r=-1.93, p<.014), 스트레스반응과 학습몰입도(r=-.216 p<.001)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반응(${\beta}=-.314$, p=<.001)과 심리변화(${\beta}=-.358$, p=<.001)이며 설명력($R^2$)은 30.3% 이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월경전증후군과 스트레스반응의 적극적 관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전략이 필요하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에 따른 맛 선호도 및 식품섭취 변화 (Food Cravings, Appetite, and Taste Palatability in Women with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 정범석;김창윤;이철;장남수;김지명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314-321
    • /
    • 2002
  • 월경전기 증상에 따른 맛 선호도와 식품섭취 변화를 알아보고자 정규간호사 1,301명을 설문조사한 후 분석가증한 626명의 자료를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 월경전기 증상이 없는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별 맛에 대한 선호도 변화, 식사량 변화, 특정 음식에 대한 선호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월경전기에 맛 선호도 변화정도가 세 집단간에 다르게 나타났다. 월경전 불쾌지분장애 집단의 경우 월경전기에 단맛, 짠맛, 매운맛, 신맛 4가지 맛에 대한 선호도가 모두 증가하였고, 세 집단 모두 단맛을 가장 많이 찾았다.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과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에서는 매운 맛의 선호도도 증가하였다. 식사량은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과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 모두 무증상 집단에 비해 늘어났다. 월경전/평소의 음식 섭취량 변화는 물, 스포츠 음료 및 쥬스, 우유 등 음료수를 제외한 모든 음식에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 집단의 월경전기의 섭취량이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월경전기에 맵거나 단 음식을 유난히 많이 먹게 되며, 월경전기 증상을 경험하는 월경전 불쾌지분장애 집단이나 월경전기 증후군 집단 모두에서 매운 음식을 가장 많이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 월경통, 월경에 대한 태도, 수면의 질이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menstrual pain, attitude toward menstruation, and sleep quality on learning immers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지영;김나연;김나현;김다은;김세은;김수경;제남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5-50
    • /
    • 2024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 증후군, 월경에 대한 태도, 수면의 질, 통증이 학습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C 대학교 여대생 166명이며, 자료수집은 구글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3년 7월 01부터 8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월경전 증후군은 월경에 대한 태도(r=.40, p<.001)와 월경통(r=.33,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수면의 질은 월경통(r=.31, p<.001), 학습몰입도(r=.24, p=.002)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습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식사 '불규칙적'(β=.20, p=.007), 월경통 완화 '복무마사지'(β=.27, p=.003), 수면의 질(β=.16, p=.038)이었다. 월경통 완화 '복무마사지'가 학습몰입도를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식사 '불규칙적', 수면의 질 순이었다. 총 설명력은 13.9%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월경전 증후군을 완화를 통한 학습몰입도 증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치료법과 이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켜 적극적인 대처 방안을 모색하고, 올바른 식사 습관을 갖추어 월경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교육이 필요하다.

폐경 단계에 따른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과거력과 혈관운동증상의 차별적 연관성 (Differential Association of History of Premenstrual Syndrome/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ith Vasomotor Symptoms According to Menopausal Stage)

  • 현홍대;조숙행;정현강;고영훈;권은주;김혜경;고승덕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57-65
    • /
    • 2015
  • 연구목적 급격한 호르몬 변화가 발생하는 월경과 폐경 시기에 기분증상 및 신체증상이 나타난다는 공통된 임상적 특징과 생물학적 기전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하여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와 폐경기 증상의 연관성이 제기되었으나 아직까지 일관된 결론이 내려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에서 각각의 폐경 단계에 따라 월경 전 증후군의 과거력과 대표적인 폐경기 증상 중의 하나인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방 법 한국건강관리협회 전국 16개 지사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방문한 361명의 폐경주위기 여성과 693명의 폐경후기 여성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혈관운동증상과 월경전 증후군 과거력 및 여러 요인(연령, 결혼, 수입, 교육 수준, 음주, 운동, 흡연, 폐경에 대한 태도, 우울, 스트레스)에 대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결 과 전기 폐경주위기를 제외한 후기 폐경주위기, 전기 폐경후기, 후기 폐경후기에서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의 과거력이 있는 여성에서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을 호소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전기 폐경주위기, p=0.824 ; 후기 폐경주위기, p=0.001 ; 전기 폐경후기, p=0.001 ; 후기 폐경후기, p=0.01).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에서 PSST score와 혈관운동증상의 심각도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후기 폐경주위기, r=0.213, p=0.010 ; 전기 폐경후기, r=0.246, p<0.001). 우울, 폐경에 대한 태도, 스트레스, 생활습관요인 등의 관련된 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후기 폐경주위기와 전기 폐경후기에서 월경전 증후군/월졍전 불쾌장애의 과거력이 중등도 이상의 혈관운동증상을 예측하는 유의한 인자로 나타났다(후기 폐경주위기, OR=5.197, p=0.005 ; 전기 폐경후기, OR=3.017, p=0.010). 결 론 본 연구는 폐경 단계에 따라 월경전 증후군/월경전 불쾌장애와 혈관운동증상의 연관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규명하기 위한 추가적인 대단위의,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용전념치료가 월경전증후군을 가진 여성의 월경 전 증상,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Premenstrual Symptoms, Attitudes about Menstruation, and Perceived Stress of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 정민정;나미옥;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485-495
    • /
    • 2017
  •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 프로그램이 월경전증후군을 가진 20대 여성들의 월경 전 증상, 월경에 대한 태도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3~4년제 대학생 263명 중 21명이 참가자로 선발되었다. 참가자들은 월경전증후군 진단을 받았고, 수용전념치료집단 7명, 인지행동치료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무선할당 되었다. 수용전념치료와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10회로 진행되는 도중 수용전념치료 집단에서 참가자 1명이 개인사정으로 인해서 탈락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월경 시작 시점에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약 1달 뒤 월경 시점에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월경 전 증상 중 정서요인이 수용전념치료집단과 인지행동치료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다. 월경에 대한 태도는 수용전념치료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인지행동치료집단은 추적조사에서 유의하게 변화되었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수용전념치료 집단이 통제집단과 인지행동치료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그 수준은 추적조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흡연 및 음주 경험과 스트레스가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Smoking, Drinking and Stress on Female college Premenstrual syndrome(PMS))

  • 이윤영;박지선;윤효현;이승희;이은형;진소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35-142
    • /
    • 2017
  • 본 연구는 흡연 및 음주 경험과 스트레스가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비교 서술적 연구이다. 2017년 1월 19일부터 3월 1일까지 전남에 위치한 대학교 여대생 중 산과력과 자궁관련질환이 없는 218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IBM SPSS 23프로그램을 사용, Mann-Whitney U test, 단순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월경전증후군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2=.155$, ${\beta}=.393$, p<.001), 흡연 및 음주 경험 여부에 따른 월경전증후군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내고, 관리 프로그램과 간호 중재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으며, 여대생의 월경전증후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융합적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여대생에서의 월경전기증후군 및 월경전불쾌장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MS and PMDD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이문수;양재원;고영훈;고승덕;조숙행
    • 정신신체의학
    • /
    • 제20권1호
    • /
    • pp.22-31
    • /
    • 2012
  • 연구목적 : Premenstrual Symptoms Screening Tool(PSST)를 통해서, DSM-IV상의 월경전불쾌장애(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PMDD)에 대한 진단기준을 사용하여 월경전기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PMS) 및 PMDD의 빈도, 기능장애, 위험인자들, 월경에 대한 태도, PMS 및 PMDD의 발현 양상 들을 조사하여 보았다. 방 법 : 서울 및 수도권의 중소도시인 수원에 소재하는 대학교에 다니는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월경에의 태도 질문지, PSST를 사용한 단면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총 1410명에게 질문지가 배부되었으며, 그 중 1063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은 PSST의 결과에 따라 3군[정상/경도 PMS군(n=759, 71.4%), 심한 PMS군(n=180, 16.9%), PMDD군(n=124, 11.7%)]으로 분류하였다. 각 군별로는 기본적인 역학적 변수 및 위험 인자(음주, 커피 소비, 월경통의 강도, PMS의 가족력)들의 분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응답자들을 또한 월경에 대한 태도에 따라 3군으로 구분하였다[긍정적 태도군(n=168), 부정적 태도군(n=122), 양가적 태도군(n=773)]. 심각한 월경전기 증상들을 호소하는 이들의 비율은 이 3가지 태도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부정적 태도군은 다른 군들에 비해 더 많은 월경전기 증상들을 보고하였다. 결 론 : PMS와 PMDD는 한국의 젊은 여성들에서 널리 발견된다. 일부 응답자들은 그들이 PMDD에 대한 DSM-IV의 진단기준을 완전히 충족시키지 못하였음에도 유의한 기능손상을 보고하였다. 일반적으로, 월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더 많은 월경전기 증상들의 경험과 관련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