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전 건설공사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Development of RCB Exterior Wall Form for Duration Reduction (공사기간 단축을 위한 원자로 건물 외벽 거푸집 개발)

  • Cho, Yerim;Shin, Yoonseok;Ko, Young-T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
    • /
    • pp.587-595
    • /
    • 2018
  • Countries that have been banned from building nuclear plants are becoming more tolerant in respons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Thus, the construction of future nuclear plants will increase, and the competition will also intensify. A nuclear power plant has a long construction period compared with conventional construction projects. In order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the construction period must be decreas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xterior wall form for a reactor containment building to reduce the construction time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form. The structural safety,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were analyz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orm. The proposed form was determined to be structurally safe. Furthermore, the construction period was shortened by reducing the duration of the construction units, and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nd interest were also reduced. Therefore, the proposed form could contribute to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for nuclear power plants.

장기 원전건설계획의 새로운 방향 - 원자력 전문가 설문 조사의 분석 -

  • 박용남
    • Nuclear industry
    • /
    • v.16 no.12 s.166
    • /
    • pp.14-22
    • /
    • 1996
  • 한국전력공사는 최근 장기 전력수급의 안정화를 위한 원자력 발전 공급 기반 확충에 역점을 두고, 97년도 장기 전력 수급 계획 정책 과제인 $\ulcorner$원전의 적정 비중을 토대로 한 최장기 원전 건설 계획 추진 방안 수립$\lrcorner$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의 일환으로 원자력 전문가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cdot$분석된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한다.

  • PDF

해외 원전 건설 동향 - 미국·아르헨티나·브라질·파키스탄·중국·인도·한국·일본·대만·러시아·벨라루스·핀란드·프랑스·슬로바카나·우크라이나·UAE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5 no.5
    • /
    • pp.68-83
    • /
    • 2015
  • 본고는 현재 건설 중에 있는 전 세계 67개 원전 프로젝트의 진척 상황을 업데이트하여 정리한 자료이다. 2015년이 시작되면서 지금까지 5기의 원자로 공사가 완료되어 전력 생산을 시작했으며, 올해 연말까지 10곳의 원전이 더 완공될 예정이다.

  • PDF

월성 원자력 2호기 건설사업 -추진 경위와 전망

  • 오재식
    • Nuclear industry
    • /
    • v.17 no.3 s.169
    • /
    • pp.4-9
    • /
    • 1997
  • 70만kW급 가압 중수로형 원전(CANDU-PHWR)으로 건설되고 있는 월성 원자력 2호기가 오는 6월의 상업 운전을 목전에 두고 있다. 월성 2호기가 준공되면, 우리 나라의 원전 설비 용량은 1천만kW를 돌파하게 된다. 한국전력공사의 종합사업 관리하에 건설 추진되어 온 월성 2호기는 충분한 운전 경험을 통해 그 안전성과 신뢰성이 입증된 CANDU-600과 동일한 노형으로, 월성 1호기 건설 이후의 설비 개선과 최신 기술 기준 및 강화된 인허가 요건을 적용하여 발전소 안전성과 신뢰성을 제고하였으며, 선행 호기의 건설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여 공정 계획을 수립$\cdot$추진하여 왔다. 그간의 건설 경위 등을 특징별로 살펴 본다.

  • PD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s (원전건설의 성공적인 시공을 위한 핵심성공요인(CSFs) 도출)

  • Shin, Gisung;Bang, Seongdeok;Kim, Kyeongseok;Kim, Hyoungkwa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8 no.1
    • /
    • pp.48-57
    • /
    • 2017
  •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nuclear power plant (Kori #1) in Korea started in 1971, Korea operates 24 nuclear power plants and is constructing 4 in 2015. During about 45 years of construction experience, insufficient studi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the identification of critical success factors(CSFs) for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is study presented a list of CSFs for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A survey for validating the results of CSFs was conducted with 164 experts. This study indicates that attentions should be placed upon the lowest price-based contract awarding policy, the need for reasonable pricing standard implementation, database development, and deployment for experienced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workers, identification and nurturing of competitive subcontractors, and minimization of lag times in construction activities.

원자력안전규제활동 비판 동향

  • 천추영
    • Nuclear industry
    • /
    • v.15 no.2 s.144
    • /
    • pp.77-82
    • /
    • 1995
  • 미국은 전세계 가동중 원전의 약 25$\%$를 차지하는 108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원자력에 관한 한 최첨단의 기술을 보유하여 세계 원자력 산업계를 선도하고 있으나, 정작 자국에서는 최근 10여년간 신규 원전의 착공이 전무하고 이미 건설중인 원전도 공사가 중단되거나 화력발전소로 전환되는 등 원자력 산업이 크게 침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자력산업이 침체되어 가고 있는 이유중의 하나가 안전규제제도의 경직성에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 PDF

세계의 창 - 서방 세계는 러시아가 원전 시장을 지배하도록 내버려 둘 것인가?

  • Gallucci, Nick;Shellenberger, Michael
    • Nuclear industry
    • /
    • v.37 no.8
    • /
    • pp.34-37
    • /
    • 2017
  • 올 가을 안에 미 뉴욕에 있는 미국 연방파산법원의 판사 한 명은 연초에 재무상의 위기를 벗어나는 데 실패한 유수한 역사의 원전기업 웨스팅하우스의 운명을 결정짓게 될 것이다. 그 결정은 한 기업의 파산 이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그것은 서방 세계가 우리에게 위협이 되는 핵의 확산과 기후 변화라는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인지, 아니면 세계 원전시장의 주도권을 러시아에 넘겨줄 것인지를 의미하는 것이다. 한국의 KEPCO는 UAE 등 해외의 공사를 포함, 원전을 예산과 공기에 맞춰 건설하는 것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러나 최근에 새로 선출된 한국의 대통령은 지난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생긴 국민들의 두려움에 대한 대응책으로 탈원전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만약 이 정책이 성공하게 된다면 자국 내의 원전 건설 기자재 공급 체제가 없어지게 되고,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외국의 신뢰마저 잃게 됨으로써 한국은 세계 원전시장의 경쟁 구도에서 퇴출될 것이다.

  • PDF

한국표준형 원전 울진 4호기의 준공과 그 의의

  • 황상철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81
    • /
    • pp.17-21
    • /
    • 2000
  • 우리나라 전력산업사의 큰 이정표가 될 한국표준형 원전 울진 4호기의 준공식이 지난 2월 24일 경북 울진의 한국전력공사 울진 원자력본부에서 박태준 국무총리, 김영호 산업자원부장관 등 중앙인사와 이의근 경북도지사, 신정 울진 군수 및 지역주민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되었다. 1998년 8월 준공된 최초의 한국표준형 원전인 울진 3호기에 이어 두 번째 한국표준형 원전 울진 4호기가 이번에 중공 됨으로써, 1992년 5월 본관기초굴착을 시작한 이래, 7년여의 긴 시간을 거쳐 마침내 우리 기술로 지은 최초의 한국표준형 원자력발전소 건설사업이 완료되었다.

  • PDF

원자력발전소 건설 품질보증 체계

  • 이상국;정영식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8 no.2
    • /
    • pp.6-11
    • /
    • 1995
  • 우리나라 원전의 건설품질보증활동은 원자력법령으로부터 품질보증계획서.절차서에 이르기까지 엄격한 규제체계 아래에서 계획, 수행되고 감시되기 때문에 일반 건설공사시 야기될 수도 있는 문제점들이 사전에 방지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품질보증활동은 결코 강요될 수 없으며, 품질보증요원의 노력만으로는 성취될 수 없기 때문에 관계자 전원에 의해서만 확보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Risk Breakdown Structure of Nuclear Power Plant Decommissioning Project: Focusing on Structural Damage / Work Process Risks (원전 차폐 콘크리트 구조물 제염해체공사 리스크 분류체계 구축: 구조적 / 작업 리스크를 중심으로)

  • Kim, Byeol;Lee, Joo-Sung;Ahn, Yong-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2 no.3
    • /
    • pp.38-4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structural damage / work process risks factors which can be occurred during the decommissioning in the NPP containment concrete structure. To achieve these purpose, risk profile specifi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nalyzed, and the work process of NPP decommissioning and the construction project were matched based on the similarity of each works. Accordingly, human and physical risk factors are classified. Finally, the risk associated with the building structure and work process was classified as per their process activities, and risk typology explaining the disaster which put the structure, equipments, machine and workers in serious danger was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