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자력 정책

Search Result 51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연구경향 분석

  • Kim, Yeong-Jun;Wa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873-900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이론을 통해 원자력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과학 연구의 경향적 특징을 파악하고, 동 분야의 주요 연구주제와 하부 연구분야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195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분야 연구논문 605건으로, 저자가 제시한 키워드 간 관계망 형성을 통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에서 수행된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연구의 기술통계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원자력 사회과학 연구는 1957년부터 시작되어 꾸준히 수행되어졌는데, 2011년을 기점으로 논문발표가 급격히 증가했다. 주로 법학, 행정학, 정책학, 정치학의 연구가 대학 내 연구자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다. 원자력 관련 기술개발이 주로 정부 출연연구기관에서 수행된다는 점을 고려 했을 때, 향후 사회과학 분야에 있어 대학과 출연기관 간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둘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 2011년을 기점으로 사회과학의 원자력에 관한 연구가 양적, 질적으로 본격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원자력 관련 사회과학 지식 네트워크는 2011년 이전에 비해 규모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결과, 후쿠시마 사고 이전 사회과학 연구자들의 연구경향은 핵비확산, 과학기술 정책, 사회수용성이었다면, 후쿠시마 이후에는 원전해체, 손해배상, 에너지믹스, 탈핵운동 등과 같은 다양한 원자력 현안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하부 연구분야 도출을 통해 특정 연구주제별 쏠림현상을 확인했다. 하부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제시된 9개의 하부 연구분야는 네트워크 속성 값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히, 법학 관련 연구주제가 가장 높은 밀도를 갖는 반면 지속가능 발전과 에너지 믹스 관련 연구주제의 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자력에 관련된 학자의 인식을 연구경향 분석을 통해 파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는 추후 원자력 관련 정책연구자 혹은 정책결정자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세계 정책 동향 - 유럽의 원자력 전망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3 no.5
    • /
    • pp.100-101
    • /
    • 2013
  • 후쿠시마 사태 이후 여론이 반원자력으로 돌아섰음에도 불구하고, 유럽 국가들의 발전 계획에서 원자력을 제외하는 것은 타당하지 못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PDF

플루토늄 리사이클, 조기실현 추진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7 no.4 s.50
    • /
    • pp.84-86
    • /
    • 1987
  • 일본원자력위원회는 원자력 장기계획 재검토에 있어서 장래는 신형로 개발이라는 관점에서가 아니고 플루토늄이용의 있음직한 방법의 시점에서 앞으로의 정책을 검토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