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자력병원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19초

견갑골의 방골성 연골지방종: 증례 보고 (Parosteal Chondrolipoma of the Scapula: A Case Report)

  • 장연;유지영;공준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676-681
    • /
    • 2024
  • 방골성 지방종은 뼈에 매우 인접한 위치에 생기는 지방종으로 전체 지방종의 약 0.3%를 차지하는 드문 종양이다. 한편 연골지방종은 지방종에서 연골 화생이 발생한 것으로 성숙한 지방조직과 연골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방골성 지방종과 연골지방종의 특징을 모두 보이는 경우는 더욱 드물다. 저자들은 우측 견갑골 부위에 만져지는 덩이 및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55세 여자 환자가 광범위 절제술 후 조직병리검사에서 방골성 연골지방종으로 진단된 증례를 영상 소견을 중심으로 보고한다.

췌공장 스텐트의 공장으로의 이동으로 발생한 스텐트-돌 복합체 형성과 이로 인한 소장폐색: 증례 보고 (Migrated Pancreaticojejunal Stent Forming a Stent-Stone Complex in the Jejunum with Resultant Small Bowel Obstruction: A Case Report)

  • 김지원;김영한;이병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512-517
    • /
    • 2023
  • 췌공장문합술 후 췌관 내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은 수술 후에 췌장루나 췌관 협착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널리 시행하는 술기이다. 그러나 삽입한 스텐트가 막히거나 이동하는 등 스텐트에 의해서도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췌관에 삽입한 플라스틱 스텐트가 이동하면서 발생된 매우 드문 합병증의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 절제술 시행 후 췌장 내 삽입한 스텐트는 공장으로 이동하여 스텐트-돌 복합체의 근원으로 작용하여 공장 폐색을 일으켰다. 스텐트-돌 복합체는 탐색적 개복술로 제거되었다.

연부조직에 발생한 평활 근육종의 임상양상 및 치료 결과 (Leiomyosarcoma of the Somatic Soft Tissue: Clinical Manifestation and Treatment Results)

  • 김용성;공창배;조완형;전대근;김경훈;송원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397-404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연부조직에 발생한 평활 근육종 환자의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율과 재발 및 전이의 양상 등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연부조직에 발생한(사지 및 체간) 평활 근육종으로 치료 받은 7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후 재발, 전이 발생, 생존율 및 생존의 예후 인자를 조사하였다. 생존자 중 1년 이상 추시되지 않은 증례는 제외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1개월(범위, 7-163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3.6%, 10년 생존율은 66.2%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종양의 크기(p=0.018), 병리학적 등급(p=0.017), 국소재발(p=0.04)이었다. 전이성 병변은 72명의 환자 중 23명(31.9%)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전이 후 사망까지의 중간값은 15.6개월(범위, 3-78개월)이었다. 결론: 연부조직에 발생하는 평활 근육종은 주로 하지에 발생하며 종양의 크기, 병리학적 등급, 국소재발이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고, 전이 후 생존율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불량하였다.

양측 액와유방 접근법과 개방성 접근법과의 비교를 통한 일측 액와유방 접근 내시경 갑상선 전 절제술과 중심 경부 절제술의 수술적 완전성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Surgical Completeness in Endoscopic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via a Unilateral Axillo-Breast Approach Compared with Bilateral Axillo-Breast and Open Approach)

  • 최익준;임일한;이병철;이국행;이명철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1권12호
    • /
    • pp.697-701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urgical completeness in endoscopic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via unilateral axillo-breast approach (UABA) compared with bilateral axillo-breast (BABA) and open approach (OA) by means of the radioactive iodine uptake (RAIU) ratio and thyroglobulin (Tg) of remnant thyroid. Subjects and Method From July 2010 to March 2013, 82 patients who had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with central neck dis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oactive iodine (RAI) ablation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ere enrolled. Of these patients, 27 patients underwent UABA, 24 patients BABA, and 31 patients OA. Clinicopathologic data, surgical outcome, stimulated Tg and RAIU ratio on the first postoperative RAI ablation scan were compared among 3 groups. Results Patients in the endoscopic surgery groups (UABA, BABA) were younger than those in the OA groups. Invasiveness such as operation time, postoperative pain, and drain amount in UABA was less than that in BABA and severer than that in OA. Other variables regarding clinicopathologic and surgical dat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timulated Tg and RAIU rati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groups (p=0.659 and p=0.664). Conclusion The completeness of UABA was comparable with that of BABA and OA. The UABA may be a safe option for patients who need endoscopic thyroidectomy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회원사 동정

  •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
    • 동위원소뉴스
    • /
    • 7호통권67호
    • /
    • pp.4-5
    • /
    • 2002
  • PDF

회원사 동정

  •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
    • 동위원소뉴스
    • /
    • 9호통권69호
    • /
    • pp.3-3
    • /
    • 2002
  • PDF

회원사 동정

  •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
    • 동위원소뉴스
    • /
    • 4호통권52호
    • /
    • pp.10-10
    • /
    • 2001
  • PDF

총간동맥 가성동맥류의 치료로 삽입한 스텐트 그라프트의 공장으로의 위치 이동 (Jejunal Migration of the Stent-Graft Used for Common Hepatic Artery Pseudoaneurysm)

  • 김지원;이병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89-193
    • /
    • 2022
  • 췌장-담도계 수술 후에 발생하는 합병증 중에 출혈은 드물지만 사망률이 높은 합병증이다. 출혈의 주요 원인은 가성동맥류의 파열이며, 코일색전술 혹은 혈관 내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이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절제술 이후 발생한 총간동맥의 가성동맥류의 치료를 위해 삽입한 스텐트 그라프트가 공장으로 이동한 후 몸 밖으로 빠져나간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B세포림프종의 임상적 악성도 표지자로서 혈청 Thymidine Kinase 1의 유용성 (Usefulness of Serum Thymidine Kinase 1 as a Biomarker for Aggressive Clinical Behavior in B-cell Lymphoma)

  • 김혜진;강혜진;이진경;홍영준;홍석일;장윤환
    • Laboratory Medicine Online
    • /
    • 제6권1호
    • /
    • pp.25-30
    • /
    • 2016
  • 배경: Thymidine kinase 1 (TK1)은 세포 주기의 중요한 조절 효소로 암세포의 증식 시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혈액종양과 다양한 고형암에서 진단 또는 치료 후 모니터링과 예후 예측에 중요한 표지자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 혈청 TK1 정량분석을 통하여 건강인의 혈청 TK1 참고치를 설정하고자 하였으며 B세포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악성도 표지자로서 혈청 TK1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72명의 B세포림프종 환자와 143명의 건강대조군의 혈청검체에서 화학발광면역측정법으로 혈청 TK1 농도를 측정하였다. 건강대조군에서 혈청 TK1의 참고치를 설정하였고, 환자군과 건강대조군에서 측정된 혈청 TK1 결과를 이용해 ROC 분석을 통한 기준치를 구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혈청 TK1 정량값과 B세포림프종의 임상 지표들과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건강대조군의 혈청 TK1의 95 percentile에 따른 참고범위는 5.4-21.8 U/L였다. B세포림프종 환자군과 건강대조군의 혈청 TK1 수치 비교에서 평균${\pm}$표준편차는 각각 $40.6{\pm}68.5U/L$$11.8{\pm}4.4U/L$로 나타났으며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ROC 분석 후, 혈청 TK1 수치 15.2 U/L를 이용하였을 때 민감도 59.7%, 특이도 83.2%, AUC 0.73을 보여 B세포림프종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기준치로 설정하였다. 상대적으로 높은 혈청 TK1 수치(${\geq}15.2U/L$)는 병기, 골수침범, IPI 점수, LD 수치, 낮은 Hb (<12 g/dL), 림프구 수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B세포림프종 환자에서 측정되는 혈청 TK1 수치는 B세포림프종의 임상적 악성도 표지자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