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위 연부조직 교정술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중등도 이하의 변형을 보이는 무지외반증에서 연부조직 교정술과 근위부 절골술의 비교 (Distal Soft-Tissue Procedure with or without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for Mild to Moderate Hallux Valgus)

  • 조덕연;김희천;선창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1
    • /
    • 1997
  • 국립의료인 정형외과에서 최근 10 년간 경도 및 중등도의 변형을 보인 무지외반증에 대해, 원위 연부조직 교정술을 시행받은 환자 12명, 20례(1군)와 원위 연부조직 교정술 및 근위 중족골 절골술을 시행받은 환자 6명, 9례 (2군)를 최초 6개월 이상 추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최종 추시상 주관적 평가 및 합병증의 유무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1군 80%, 2군 78%에서 만족으로 분류되었다. 2. 술전 무지외반각 및 중족골간각은 1군에서 평균 30.6도, 12.5도 였으며 수술 직후 각각 7.3도, 10.4도로 호전되었다. 술전 2군에서 평균 32.5도, 12.4도 였으며 순술 직후 각각 8.0도, 10.1도로 호전되었다.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최종 추시 상 교정각의 소실은 무지외반각의 경우 1군에서 평균 8.7도, 2군에서 평균 10.9도 로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중족골간각 친정의 소실은 1관에서 평균 0.4도, 2군에서 평균 2.7도 였다. 그러므로 중등도 이하의 변형을 보이는 무지외반증에서 원위 연부조직 교정술에 추가한 근위 절골술은 별다른 잇점이 없었다.

  • PDF

무지외반증 치료에서 근위 중족골 절골술과 원위 연부조직 교정술 후 종자골의 교정정도 (Correction of Sesamoid after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and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in Hallux Valgus)

  • 정화재;신헌규;장일성;이종근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4-80
    • /
    • 2005
  • Purpose: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radiographs of the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and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for hallux valgus, evaluating the correction of the tibial sesamoid, was undertaken.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duction of the tibial sesamoid and the clinical outcomes. Materials and Methods: 17 patients (23 cases) with moderate to severe hallux valgus deformity underwent the proximal metatarsal osteotomy and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The preoperative and last follow-up radiographs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tibial sesamoid grade classification recommended by the Research Committee of the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tibial sesamoid. We anaylyzed the clinical outcomes in each group according to Mayo Clinic Forefoot Scoring System (FFSS). Results: In all of the patients, the preoperative tibial sesamoid position were grade 2 or greater. At the last follow-up, 52% (n=12) were grade 1 or less (Group I) and 48% (n=11) were grade 2 or greater (Group II). In group I, the forefoot score was improved from preoperative mean value of 32.0 points to final follow-up value of 66.3 points. In group II, the forefoot score was improved from preoperative mean value of 31.7 points to final follow-up value of 65.9 point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ostoperative, average scores in group I and II (p>0.05). Conclusion: The position of the tibial sesamoid was corrected insufficiently in almost half of all cases. In view of clinical outcom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rrected group and the other group.

  • PDF

근위 중족골 갈매기형 절골술과 원위 연부조직 교정술을 이용한 중등도 무지 외반증의 치료 (Treatment of Moderate Hallux Valgus with Proximal Chevron Metatarsal Osteotomy and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 안재훈;김환정;김하용;최원식;강성일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44
    • /
    • 2007
  • Purpose: The authors intended to analyze the operative results of moderate hallux valgus with proximal chevron metatarsal osteotomy and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feet of fifty-seven patients were followed for more than 1 year after the proximal chevron metatarsal osteotomy. The mean age was 47.2 years, and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2 years and 3 months. Clinicall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AOFAS MP-IP scale and satisfaction after the surgery were analyzed. Radiologically hallux valgus angle, hallux valgus interphalangeal angle, the intermetatarsal angle and sesamoid 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were analyzed. Results: Additional Akin osteotomy was performed 48 out of 70 feet. Clinically AOFAS MP-IP scale was increased from 60.4 points preoperatively to 89.8 points postoperatively. Ninety-four percents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Radiologically hallux valgus angle was decreased from $34.8^{\circ}$ preoperatively to $12.8^{\circ}$ postoperatively. The intermetatarsal angle was decreased from $15.7^{\circ}$ preoperatively to $8.0^{\circ}$ postoperatively. Hallux valgus interphalangeal angle was increased from $7.4^{\circ}$ preoperatively to $9.8^{\circ}$ postoperatively. There were 3 recurrences, 1 hallux varus and 3 minor wound infections. There were no nonunion or malunion of the 1st metatarsal. Conclusion: Proximal chevron metatarsal osteotomy with distal soft tissue procedure and additional Akin osteotomy appears to be safe and satisfactory procedure.

  • PDF

슬개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 결과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Patella Dislocation)

  • 김휘택;조윤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34-141
    • /
    • 2021
  • 목적: 슬개골 탈구는 다양한 원인을 가지고 있다. 슬개골 주위 연부조직 균형을 일차 목표로 한 치료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8명의 환자(여자 21명, 남자 7명)에서 발생한 32예의 슬개골 탈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군의 평균 연령은 11.5세였으며 수술 후 평균 4.6년을 추시하였다. 탈구의 종류는 만성 19예, 습관성 6예, 선천성 6예, 급성이 1예였다. 연부조직 균형 수술은 관절 외측 유리술, 내측 주름술, 내측 대퇴광근의 외측하부 이전술을 기본으로 하였고, 슬개건 전체 혹은 슬개건과 대퇴직건의 내측 일부의 내측 이동술, 원위 대퇴 교정 절골술 등을 선별적으로 시행하였다. 수술 전 Q각과, 대퇴 전염각, 경골 외회전각, TT-TG 거리(tibial tubercle-trochlear groove distance), 기계적 대퇴-경골각, Dejour 분류에 따른 대퇴 과간 절흔 이형성 등을 측정하였고 수술 전후 Lysholm-Tegner 점수를 이용하여 임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전 평균 Q각은 9.3°±5.8°, TT-TG 거리는 15.5±6.2 mm, 대퇴 전염각은 25.6°±12.3°, 경골 외회전각은 30.4°±9.6°, 기계적 대퇴-경골각은 3.0°±6.4°, Lysholm-Tegner 점수는 75.8±9.6점이었다. Beighton score 5점 이상의 전신인대 이완성을 보인 환아는 11명이었다. 대퇴 과간 절흔의 이형성을 가진 환자는 22명이었고, Dejour 등의 분류에 따라 A형이 3명(4예), B형이 15명(16예), C형이 1명(1예), D형이 3명(4예)였다. 32예 중 28예에서 1차 수술로 정복을 얻었고, 아탈구를 보인 4예 중 3예에서 2차 수술, 그 중 1예에서 3차 수술 이후 정복을 얻었고, 1예는 경과 관찰 중이다. Lysholm-Tegner 점수는 수술 후 최종 85.6±11.6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슬개골 탈구의 다양한 원인을 동시에 모두 교정하기는 어렵다. 연부조직 균형 수술과 함께 대퇴골-경골 기계적 축과 염전 이상 교정 절골술 등 적절한 술식을 조합해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