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뿔나방과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원뿔나방과(개칭)의 1신종 (A new Promalactis species from Korea (Lepidoptera, Ocecophoridae))

  • 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5-147
    • /
    • 1980
  • 신종 Promalactis odaiensis n. sp.(솔피원뿔나방 : 신칭)의 기재. Promalactis속은 주로 동양구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 보고된 종이 없다. 그러나 최근 필자의 조사로 $5\~6$종이 확인되었으며 그 1종을 신종으로 우선 발표한다. 또한 Ocecophoridae 한국동물명집, 곤충편<1968>에 원무늬잎말이 나방으로 되어있으나, 뿔나방상과(Gelechioidea)에 속함으로 원뿔나방과로 개칭한다.

  • PDF

라오스 Promalactis속(나비목: 원뿔나방과)의 미기록 1종 보고 (A Newly Recorded Species of Genus Promalactis Meyrick (Lepidoptera, Oecophoridae) from Laos)

  • 김소라;배양섭;이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235-239
    • /
    • 2021
  • 본 연구를 통해 라오스지역에서 분포하는 미소 나방인 Promalactis vittapenna종을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미기록 종의 분류학적 진단과 분포정보, 성충과 생식기 도해사진을 제시하였다. 또한, 라오스 전체 종에 대한 분류학적 키를 함께 제공하였다.

단감 잎 가해 해충으로 국내 처음 보고되는 미소 나방류 3종 (Three Microlepidopterous Insects, First Reported as Pests of the Leaf of Non-Astringent Persimmon in Korea)

  • 임유진;최윤정;변봉규;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9-132
    • /
    • 2013
  • 2012년 경남 창원의 농약 무살포 단감원에서 단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 단감 해충으로 기록되지 않은 3종을 채집 동정하였다. 동정된 종은 몸노랑들명나방, 우묵날개원뿔나방, 사과잎말이나방이었다. 이들의 채집기록, 형태, 기주와 간단한 생태를 조사하여 보고한다.

한국산 미소나방류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I) 원뿔나방과의 우리나라 미기록 13종 정리 (TAXONOMIC STUDIES ON MICRO-LEPIDOPTERA OF KOREA (I) The family Oecophoridae with thirteen unrecorded species from Korea)

  • 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7-97
    • /
    • 1981
  • 원뿔나방요(Oecophoridae)는 최근 저자에 의하여 정리 발표된 Promalactis속을 제외하고는 별로 알려진 바가없는 미소나방류이다. 금번의 조사결과로 13종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발표되며 동시에 추후 분류동정을 위한 지침을 제공코자 각종별 외형적특정과 특히 웅자의 생식기 사진을 첨부하였다. 새로이 발표되는 미기록 13종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 PDF

휴전선일대(休戰線一帶)(강원도접경(江原道接境))의 나방류(類) 조사(調査) (Moths Collected in the Northen Part of Civilian Control Line Neighbouring D.M.Z.)

  • 박규택;김재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7-83
    • /
    • 1986
  • 조사(調査) 결과(結果) 21과(科) 89종(種)의 나방류가 채집, 분류(分類) 동정(同定) 되었다. 과별(科別)로는 곡나방과(科) 1종(種), 잎말이나방과(科) 10종(種), 가는나방과(科) 2종(種), 집나방과(科) 1종(種), 감꼭지나방과(科) 1종(種), 밑두리나방과(科) 1종(種), 원뿔나방과(科) 2종(種), 명나방과(科) 13종(種), 주머니나방과(科) 1종(種), 불나방과(科) 2종(種), 혹나방과(科) 1종(種), 뾰족날개나방과(科) 1종(種), 독나방과(科) 3종(種), 재주나방과(科) 3종(種), 자나방과(科) 6종(種), 밤나방과(科) 34종(種), 박각시과(科) 3종(種), 산누에나방과(科) 1종(種), 뿔나비나방과(科) 1종(種) 이었으며 곡나방과(科)의 아스콜드긴수염나방(Nemophora askoldella (M.)), 잎말이나방과(科)의 반원무늬애기잎말기나방(Epiblema sugii K.), 해안애기잎말이나방(Dichrorampha albistriana K.), 복숭아순나방붙이(Grapholita dimorpha K.) 등(等) 4종(種)은 우리나라 미기록종(未記錄種)이었으며 가는나방과(科)의 Acrocercops sp.와 집나방과(科)의 Ypsolopha sp.는 신종(新種)으로 밝혀졌다. 신종(新種) 2종(種)에 대해서는 추후 기술코자 한다.

  • PDF

한국산 Promalactis속 (원뿔나방과)의 분류학적 정리 (A Revision of the Genus Promalactis of Korea(Lep., Oecophoridae))

  • 박규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50
    • /
    • 1981
  • 원뿔나방과(Oecophoridae)의 Promalactis속에 속하는 종들은 주로 인도지나 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동양구에 분포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외국에서도 이 속에 대한 분류학적 정리가 이루어진 바가 없다. 금번 필자는 우리나라산에 대한 정리를 위하여 일본의 북해도대학에 보관중인 일부 모식표본(Type Specimen)들의 생식기 스라이드를 송부받아 우리나라산과 비교검토할 기회를 얻었었다. 그 결과 필자에 의해 이미 신종으로 발표된 1종에 이어 2종을 추가로 분류동정하여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발표한다.

  • PDF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모니터링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Field Monitoring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with Sex Pheromone)

  • 김용균;정성채;배성우;권보원;윤향미;홍용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49-356
    • /
    • 2007
  •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의 세 가지 성페로몬 성분(Z8-12:Ac, E8-12:Ac, Z8-12:OH)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상용화되어 해충집단 모니터링과 교미교란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상용화 제품들을 살펴보면, 성페로몬 성분비 및 각 방출기에 들어있는 유효성분 량에서 있어서 상이했다. 본 연구는 성페로몬을 이용한 복숭아순나방 모니터링에 있어서 수컷 유인과 포획에 대한 변동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밝히고, 이들 요인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성페로몬 성분비 및 함량, 유효방출기간 그리고 트랩 형태 및 설치높이를 분석하였다. 이상적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높은 농도(96% 이상)의 Z8-12:Ac 성분이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방출기에 들어 있는 성페로몬 함량은 $0.01-1\;{\mu}g$ 농도에서 야외 설치 이후 90일 동안(6-9월) 차이가 없었다. 트랩은 델타형이 원뿔형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이 트랩의 위치는 과수의 수관부위가 수컷을 유인하는 데 이상적이었다. 이러한 이상적 모니터링 변수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화학농약살포가 이뤄지는 안동 지역의 사과농가에서 복숭아순나방을 모니터링한 결과, 4-5월에 있는 월동세대 이후 3-4회의 성충발생 피크를 감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