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격 탐사

Search Result 5,17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n Cloud-Originated Errors of MODIS Leaf Area Index and Primary Production Images: Effect of Monsoon Climate in Korea (MODIS 엽면적지수 및 일차생산성 영상의 구름 영향 오차 분석: 우리나라 몬순기후의 영향)

  • Kang, Sin-Kyu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8 no.4
    • /
    • pp.215-222
    • /
    • 2005
  •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e Spectrometer) is a core satellite sensor boarded on Terra and Aqua satellite of NASA Earth Observing System since 1999 and 2001, respectively. MODIS LAI, FPAR, and GPP provide useful means to monitor plant phonology and material cycles in terrestrial ecosystems. In this study, LAI, FPAR, and GPP in Korea were evaluated and errors associated with cloud contamination on MODIS pixels were eliminated for years $2001\sim2003$. Three-year means of cloud-corrected annual GPP were 1836, 1369, and 1460g C $m^{-2}y^{-1}$ for evergreen needleleaf forest, deciduous broadleaf forest, and mixed forest, respectively. The cloud-originated errors were 8.5%, 13.1%, and 8.4% for FPAR, LAI, and GPP, respectively. Summertime errors from June to September explained by 78% of the annual accumulative errors in GPP. This study indicates that cloud-originated errors should be mitigated for practical use of MODIS vegetation products to monitor seasonal and annual changes in plant phonology and vegetation production in Korea.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Land Cover Change and Vegetation Temperature Condition Index in Central Dry Zone of Myanmar (미얀마 건조지 토지피복 변화와 식생온도조건지수간의 관계분석)

  • Choi, Sol-E;Lee, Woo-Kyun;Yu, Hangnan;Kang, Ho-Duck;Kim, Y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2
    • /
    • pp.82-9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increasing dry zones through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land cover and Vegetation Temperature Condition Index(VTCI) using Landsat 4-5 TM satellite images in Central Dry Zones of Myanmar. As a result of land cover classifications, while vegetation areas gradually decrease, residential area and cropland were increased. VTCI analysis shows that region (a) showed a gradual decrease in the area of severely arid, and increase in the area of moderate dry and wet, which sums up to a slight decrease in aridity. Region (b) also showed to increase in dry areas and severe aridity. The result of relational analysis between VTCI and land cover change showed high ratio of land cover change, from severe arid area to forest and residential farmland. The average VTCI decreased in the changed land covers, which indic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ridity and land cover change and a gradual increase in the arid area was identified.

Prediction of the Land-surface Environment Changes in the Anmyeon-do Using Fuzzy Logic Operation (퍼지논리연산을 이용한 안면도 지표환경 변화 예측)

  • 장동호;지광훈;이현영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4
    • /
    • pp.371-384
    • /
    • 2002
  • It is very important to predict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and-surface as a way of prevention of sustainable na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data of Anmyeon-do from 1981 to 2000 through a fuzzy logic operation using multi-spectral image. According to literature survey, maps, and ground truth data, the types of land-use have changed due primarily to shore reclamation or wild land and grassland fostering before the eighties. After the mid-eighties, however, a number of private residents and commercial stores quickly have spreaded throughout beach resorts and quasi-agricultural and forest areas. Moreover, shore and community regions were severely damaged in the nineties with increased farmland, due to the development of tour places and expansion of city area. The predicted result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and-surface using the fuzzy logic operation was almost similar to the state of Anmyeon-do obtained through the satellite image. Particularly, the flat lands near the shore was predicted to change slightly. This area is largely under development, thereby raising concerns on the shore environment. Thus, this method is applicable to conducting research on the change in the land-surface.

Robust Image Fusion Using Stationary Wavelet Transform (정상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로버스트 영상 융합)

  • Kim, Hee-Hoon;Kang, Seung-Hyo;Park, Jea-Hyun;Ha, Hyun-Ho;Lim, Jin-Soo;Lim, Do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4 no.6
    • /
    • pp.1181-1196
    • /
    • 2011
  • Image fusion is the process of combining information from two or more source images of a scene into a single composite image with application to many fields, such as remote sensing, computer vision, robotics, medical imaging and defense. The most common wavelet-based fusion is discrete wavelet transform fusion in which the high frequency sub-bands and low frequency sub-bands are combined on activity measures of local windows such standard deviation and mean, respectively. However, discrete wavelet transform is not translation-invariant and it often yields block artifacts in a fused image.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image fusion based on the stationary wavelet transform to overcome the drawback of discrete wavelet transform. We use the activity measure of interquartile range as the robust estimator of variance in high frequency sub-bands and combine the low frequency sub-band based on the interquartile range information present in the high frequency sub-bands. We evaluate our proposed metho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r image fusion, and compare it to some existing fusion methods.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ective and can provide satisfactory fusion results.

An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Method for Close-to-nature Stream Evaluation : Focusing on Vegetation Index of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 (자연형 하천평가를 위한 원격탐사법 응용 : 다중파장 위성영상의 식생지수 중심)

  • Yoon, Yeong-Bae;Cho, Hong-Je;Kim, Ge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62-466
    • /
    • 2006
  • Close-to-nature stream evaluation is one of the processing to make the streams over in order to keep them natural. It is integral to evaluate and make an accurate analysis of them on the purpose of maintaining streams healthy. For many instances, there are, stream organization evaluation for restoration by German government, evaluation for ecosystem protection in natural preserves by New Zealand government, and stream-view evaluation for restoration by Britain government so on. In case of the country there are analysis and evaluation of stream physical organization by Cho, Yong-hyun, Close-to-nature stream evaluation for restoration by Kim, Dong-chan, evaluation of stream properties in korea by Park, Bong-jin. Close-to-nature evaluation by Lim, Chan-uk, that is advanced version of Park, Bong-jin's, shows form of stream including waterway curve, sand bar, diversity of flow, river bed material, diversity of minor bed, minor bed bank protection works, bank protection material. It also does environment of stream including side of minor bed vegetation, width of surface of the water/width of the river etc.. By the way, this evaluation does not have free access to apply those details above in the field, it often happens that you get various outcome from the one spot. so you must need more realistic testing method to obtain more accurate data. Remote sensing method is highly recommended because this is very useful for collecting realistic data of vegetation index. what is more, it can not only scan even the minimum area within its resolving power but also do obtain data anytime. Vegetation index indicates Ratio vegetation index,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Atmospherically resistant vegetation index etc.. The research is focusing on Cheokgwa stream which is the branch of Taehwa river and shows 19 sectioned Close-to-nature stream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thod by Lim, chan-uk. Besides let you know vegetation index came from image data of satellite landsat 7 with the variation of buffering area, of the day 9. may. 2003. Of all, the outcome 0.758 at 200m buffer-zone of NDVI was the best we have got so far.

  • PDF

A Study on Baseflow Parameters Estimation of Tank Model (Tank 모형의 기저유출 매개변수 산정에 관한 연구)

  • Koo, Bo-Young;Jung, Il-W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70-1974
    • /
    • 2006
  • Tank 모형은 유역을 임의의 저류탱크로 가정하여, 유출공의 높이를 초과하는 저류고를 방출함으로써 유출량을 모의한다. 유출분석의 목적에 따라 직렬 3단 혹은 4단의 탱크로 구성하여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국내의 일 단위 장기유출분석 연구에서는 직렬 4단 Tank 모형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Tank 모형은 유역의 강우-유출관계를 모의하는 과정에 black box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각 저류탱크와 관련된 매개변수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수들의 물리적인 의미를 이해하여야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일본의 Sugawara는 경험적으로 매개변수들이 결정되는 범위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기저유출을 모의하는 Tank 모형의 최하단 탱크에서 이러한 매개변수 범위에서는 적합한 값을 갖으나 장기적인 모의시에 저류고 및 유출고가 계속 증가하여 물리적인 유출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장기간의 자료가 구축된 소양강댐을 적용 유역으로 선정하여 최하단탱크의 유출공계수의 변화에 따른 유출량과 저류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매개변수가 $0.0001{\sim}0.001$의 범위에서 장기간의 지속적인 저류고와 유출량의 증가가 나타났다. 그리고 유출공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저류고는 감소하고, 저류고가 증가하는 지속기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치 변화분석에서는 상관계수, 평균제곱근오차, 모형효율성계수에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출용적오차에서도 최대 약 6% 정도 유출용적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mber)과 동일한 위치의 수온자료를 기초로 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수온추출 알고리즘을 도출하여, 분석데이터의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수온, 클로로필, 투명도 등을 위성원격탐사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실시하고, 공간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대상해역의 해양환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분석된 위성자료가 현장조사에 의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상자료분석을 통한 표층수온 추출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에어로졸에 의한 계산치의 오차가 반영되기 때문에 실측치 보다 낮게 평가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

  • PDF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Very Short Range Forecast of Precipitation System (초단시간 강수예보시스템 구축 및 활용)

  • Choi, Ji-Hye;Nam, Kyung-Yeub;Suk, Mi-Kyung;Choi, B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15-151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초단시간 강수예보(VSRF, Very Short-Range Forecast of precipitation) 시스템 구축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VSRF 모델은 레이더 반사도 자료와 지상 AWS 자료를 이용하여 레이더-AWS 강우강도를 산출하는 강수분석과정과 분석된 강수량 자료와 중규모 수치예보장을 사용하여 외삽법에 의한 초단시간 강수예보를 수행하는 예보과정, 실시간으로 산출된 강수예보 자료를 검증하고 홈페이지에 제공하는 자료지원과정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의 예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모델을 개선하였다. 첫째는 모델의 입력자료인 레이더-AWS 강우강도 자료를 기상연구소 원격탐사연구실에서 운영하던 WPMM (Window Probability Matching Method)과 기상청 기상레이더과에서 운영하던 RQPE(Radar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의 알고리즘을 통합하여 정확한 강우강도 자료인 레이더-AWS 강우강도(RAR, Radar-AWS Rain rate) 시스템을 구축하여 개선하였으며, 둘째는 외삽과정을 통한 예보가 3시간이 지나면 예측능력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업 중규모 모델(RDAPS,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의 예측강수와 병합하여 모델을 개선하였다. 또한 이를 시계열 검증 및 공간 검증하는 실시간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모델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있다. 그 결과 입력자료 개선을 통한 모델의 정확도는 크게 향상된 결과는 볼 수 없었지만 미약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모델의 병합을 통한 모델의 개선은 예측 3시간 이후부터는 50% 정도 향상되었다.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X>${\mu}_{max,A}$는 최대암모니아 섭취률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0.65d^{-1}$로 나타났다.EX>$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 PDF

Remote Sensing을 이용한 태화강 하구 수심정보 획득 - Landsat 7 ETM 다중분광영상을 사용

  • Oh, Chang-Seok;Cho, Hong-Je;So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30-1534
    • /
    • 2006
  •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수심측정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파장대에서 수심과 반사되는 에너지 사이의 관계를 찾아내는데 달려 있다. 수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스펙트럼의 최적 파장길이는 다중분광영상(Landsat 7 ETM)의 blue band에 해당하는 약 $0.48{\mu}m$이며, 이 band를 이용하여 연안의 수심을 측량하기도 한다. 하지만 단일밴드에 의해서 측정된 값을 이용한 수심측정은 해저표면에 의한 반사에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신뢰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수와 관련한 여러 가지 변수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다량의 실측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선형다중밴드방식을 이용하여 2개의 Landsat 영상으로 태화강 하구의 수심정보를 추출하고 태화강 본류에 대한 수심정보획득과 하상변동에 대한 분석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임의로 선정한 표본 50개 지점에 대한 영상분석에 의한 수심값과 해도의 수심값의 잔차 평균이 각각 2.29m, 2.43m로 비교적 큰 잔차를 보였다. 하지만 20m 미만의 수심대의 표본만을 확인한 결과 각각 1.73m, 1.88m로 잔차 평균이 크게 감소하였다. 2000년, 2003년 영상을 비교한 결과, 1번 2번 3번 지역에서 평균적으로 약 1.838m정도 2003년 수심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20m 미만의 수심 측량은 낮은 해상도의 위성영상이라도 실제 수심과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 넓은 지역을 경제적으로 수심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위성영상분석을 이용한 수심측정은 활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저표면의 형태와 해수면의 상태 등 수심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측데이터에 대한 자료수집과 분석이 선행된다면 더욱 좋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A}$는 최대암모니아 섭취률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0.65d^{-1}$로 나타났다.EX>$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 PDF

Assessment of Surface Temperature Mitigation Effects of Wetlands During Heat and Cold Waves Using Daytime and Nighttime MODIS Land Surface Temperature (Terra/Aqua MODIS LST를 이용한 폭염 및 한파기간 동안 습지의 지면온도 완화효과 분석)

  • Chung, Jeehun;Lee, Yonggwan;Kim, Seongj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spc
    • /
    • pp.123-133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surface temperature mitigation effect of wetlands during cold waves (below -12℃ from January to February) and heat waves (above 33℃ from July to August) in 2018. We used Terra/Aqua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Daytime and Nighttime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product, and the maximum and minimum air temperature observed at 86 stations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For the cold wave analysis, the LST of Terra MODIS nighttime was the highest at forest area with -12.7℃, followed by upland crop and wetland areas of -12.9℃ and -13.0℃ respectively. The urban area showed the lowest value of -14.4℃. During the heat wave, the urban area was the highest with + 34.6℃ in Aqua MODIS LST daytime. The wetland area was + 33.0℃ showing - 1.6℃ decrease comparing with urban area.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the East Coast of Korea Based on the Special Observation during the Winter Season of 2012 (2012년 특별관측 자료를 이용한 동해안 겨울철 강수 특성 분석)

  • Jung, Sueng-Pil;Lim, Yun-Kyu;Kim, Ki-Hoon;Han, Sang-Ok;Kwon, T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5 no.1
    • /
    • pp.41-53
    • /
    • 2014
  • The special observation using Radiosonde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recipitation events over the east coast of Korea during the winter season from 5 January to 29 February 2012. This analysis focused on the various indice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tmospheric instability.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EPT) from surface (1000 hPa) to middle level (near 750 hPa) was increased when the precipitation occurred and these levels (1000~750 hPa) had moisture enough to cause the instability of atmosphere. The temporal evolution of Convective Available Potential Energy (CAPE) appeared to be enhanced when the precipitation fell. Similar behavior was also observed for the temporal evolution of Storm Relative Helicity (SRH), indicating that it had a higher value during the precipitation events. To understand a detailed structure of atmospheric condition for the formation of precipitation, the surface remote sensing data and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data were analyzed. We calculated the Total Precipitable Water FLUX (TPWFLUX) using TPW and wind vector. TPWFLUX and precipitation amou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in the north easterly winds. The result suggested that understanding of the dynamical processes such as wind direction be important to comprehend precipitation phenomenon in the east coast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