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격 강의

Search Result 518,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Real-Time Remote Lesson System using System Internet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 강의 시스템)

  • 강경신;최영규;박성순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41-244
    • /
    • 2001
  • 인터넷 이용의 확대로 가정마다 컴퓨터 보급이 크게 증가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이 증가하고 있다. 학교에 가지 않아도 컴퓨터를 이용하여 듣고 싶은 수업을 원하는 시간에 지구촌에 있는 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듣고 토의할 수 있다. 컴퓨터의 보급 증가와 인터넷 사용증가로 인하여 인터넷 교육이 하나 둘 나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미래 프로젝트의 하나인 실시간 원격 교육이 가능하게 되었다. 실시간 원격 강의 시스템을 이용하면,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누구든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앞으로 정보 통신망의 발달과 음성 및 화상 압축기술이 발달하면 실시간 동영상 등으로 학생들은 더 종은 교육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An Automatic homepage Creation Mechanism by Remote Execution (원격실행 기술을 이용한 자동 홈페이지 생성 메커니즘)

  • 송규백;임인택;정영석;임경수;김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371-376
    • /
    • 1998
  • 사용자가 자신의 홈페이지를 개설하기 위해서는 HTML 작성법, CGI 프로그래밍, 홈페이지 작성법에 관한 기술들을 잘 알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강의지원 시스템처럼 각 교수의 강의과목에 대한 강의지원 홈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관리자 혹은 교수 본인이 상당히 많은 작업을 해야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지에서 원격실행을 이용하여 웹 서버에 강의 지원용 홈페이지를 자동생성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웹 브라우저에서 강의과목에 대한 파라미터들만 입력하면, 웹 서버에 홈페이지가 자동으로 설치된다. 본 시스템은 강의 지원용 홈페이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교사, 혹은 교수가 홈페이지 구축에 관련되는 기술들을 전혀 알지 못하더라도 강의 지원에 필요한 여러 요소들을 포함하는 홈페이지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다.

  • PDF

An Evaluation System for Learning Concentricity on Distance Education (원격강의의 학습집중도 평가 시스템)

  • Choi Byung-Do;Hyun Chul-Sang;Jung Jin-Uk;Kim Dong-Hak;Kim Wook-Hyun;Kim Chong-Gu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2A no.2 s.92
    • /
    • pp.181-190
    • /
    • 2005
  • The development of web-based distance education surroundings is steadily achieving. However the studying on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is still weak against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dia itself. At present, most of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is showing limits in the evaluation of the learning effect because the teaming evaluation depends on mid or final-term exams by on-line or off-line. There is a strong point that the distance education is free from space and time. One of present weak points is limitation of evaluating learner's attitude which can estimate learning effects. Earnest teaming attitude at distance education is important factor for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for improving the teaming effects by forcing real-time evaluation and returning feedback to learners at the cyber lectures. The developed experimental system is verified its possibilities.

Design of Distance Education Lecture System by Using Video Conferencing System & Multimedia Technology (화상회의 시스템과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원격교육 강좌시스템 설계)

  • 조세홍;양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250-253
    • /
    • 2000
  • 컴퓨터신기술들을 이용한 가상대학이나 원격교육 시스템이 최근에 기존의 교육 환경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 할 수 있는 유력한 대안으로써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은 원격교육 시스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의 한 부분으로써, 우선 ' 같은 시간대 다른 장소' 형태의 원격교육강좌를 개설하기 위하여 Video Congferencing System을 이용한 강좌구조를 제시한다. 아울러 이 형태의 원격교육과정에 사용될 수 잇는 곤텐츠 개발을 위하여 멀티미디어 기술을 바탕으로 한 강의 포맷을 제시하고자한다.

  • PDF

Java-Based Children's Computer Cyber-classroom on WWW (자바(Java)를 이용한 웹(Web)기반에서의 어린이 컴퓨터 교실)

  • 손형도;김윤홍;강승찬;박병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79-681
    • /
    • 1998
  • 인터넷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학습 시스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원격학습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받을 수 있도록 원격 CAI(Computer Assistant Instruction) 기술과 자바(Java) 기술을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상에서 코스웨어(Courseware) 및 문자강의 그리고 원격 OHP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코스웨어는 오소웨어(Authorware)로 구축하였으며, 문자강의 및 원격 OHP의 서버/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자바로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Pv6 Multicast Session Directory for Distance Learning System (원격강의 시스템을 위한 IPv6 멀티캐스트 세션 디렉토리 설계 및 구현)

  • 이기화;박인수;박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367-36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IPv6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서 원격 강의 시스템의 강의 세션 정보 및 관련 강의 자료를 처리하기 위한 IPv6 멀티캐스트 세션 디렉토리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한다. IPv6 멀티캐스트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하여 IPv6 터널링 기법을 이용하였고, 멀티캐스트 세션정보를 처리하기 위하여 표준적인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AP(Session Announcement Protocol)에 기초하여 멀티캐스트 세션 디렉토리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 PDF

Q&A and management AI chatbot service in the context of a university non-face-to-face remote lecture using the Seq2Seq model (Seq2Seq 모델을 활용한 대학교 비대면 원격강의 상황에서 질문 문답 및 관리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 Na, Dongjun;Ahn, Jaewook;Park, S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325-327
    • /
    • 2020
  • 최근 비대면 원격강의의 비율이 증가하였지만 비대면 상황에서 원격으로 진행하는 강의로 인해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의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와의 질문에 대한 즉각적인 상호작용과 피드백이 부족하고 교수 또한 비대면 상황에서 학생들과의 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는 것에 어려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질문에 대한 즉각적인 답변을 해주고 교수에게는 질문-답변을 관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챗봇 웹 서비스를 제안한다. 웹 서비스는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과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로 나눠져 제공된다. 구현을 위해 Seq2Seq 모델을 활용하였고 질문-답변 데이터셋으로 학습을 하여 테스트 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distance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an avatar in a virtual world on users' dista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가상현실공간에서 아바타를 통한 원격학습이 아바타 사용자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Park, Jung-Hwan;Cheong, Dong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4
    • /
    • pp.1644-16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stance education experience using users' avatars in virtual reality space on their teaching efficacy belief. There were 9 participants who were enrolled in a course in doctoral program of education department in J University for the study. The first class of six sessions was face to face class on how to use Second Life and the 14 classes of 3 sessions were done in a classroom of Second Lif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flection notes, interviews, researcher's observations of 5 participants, their experiences of presentation and taking classes in distance education using their own avatars in Second Life had positive influence on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belief in their future working for distance education using avatars of Second Lif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show some conditions for successful distance education as well as to see the potential of distance education in 3D virtual reality space using avatar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mote the future study in distance education field.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Time Leaning Distance System (웹기반의 실시간 원격강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명숙;정의현;박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650-652
    • /
    • 1998
  • 본 논문은 웹을 이용한 실시간 원격강의 시스템을 제안하여 기존의 원격교육 시스템이 가지고 잇는 상호작용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사용하면 전통적인 교실에서의 수업과는 달리 공간과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웹 브라우저만을 이용해 강의에 참여할 수 있다. ActiveX기술을 사용하여 비디오/오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과 참가자들의 동기화 된 브라우징(browsing)기능을 구현하였다.

  • PDF

Distance Education Research: A Taxonomy and Synthesis -Focus on Academic Journals- (국내 원격강의 연구동향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 Nam Sang-Z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a
    • /
    • pp.15-18
    • /
    • 2005
  • In Korea, researches on distance education had started in early 1980th, and began in earnest from mid 1990th. In this study, we classified academic journals which were searched by the key word of 'Distance Education" from the Database of the Library of Congress. We proposed arithmetic statistical data and impl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