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격 강의

Search Result 519,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a Bibliography Support System with XML Data Processing (XML 데이터 처리 기반의 참고문헌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신행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726-72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인터넷 상에서 표준 공통 포맷으로 대두되고 있는 XML을 이용하여 웹 기반 원격 교육 시스템에서 강의 내용에 참조도리 참고문헌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Three-tier 환경에서 구현한 이 시스템은 middle-tier인 웹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참고문헌을 XML 데이터로 변환하여 효과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감소시키며 이것은 성능 향상으로 이어져 학습자에게 더 나은 속도로 원격 교육의 참고문헌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동적으로 서버와 상호작용 가능하도록 학습자가 c마고 문헌의 유익함 정도를 매긴 등급 점수 계산에 직접 참여시켜 그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하여 학습 의욕을 더욱 고취시킬 수 있다. 앞으로 웹기반 원격교육의 참고문헌 지원 시스템은 세계 각 대학이나 연구소에 분산되어 있는 여러 데이터 소스로부터 필요한 정보만을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수집, 통합, 통계 처리할 수 있도록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the Learning Pattern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Remote Lectures (원격강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학습자의 학습형태 분석)

  • Hyung-Mook Lee;Jae-Su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45-64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원격강좌(콘텐츠 기반)를 이용하여 학습하는 학습자들의 학습 형태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원격강좌 운영을 위한 제도 마련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이 원격강좌를 학습한 정규교과 1년의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오후8시부터 자정까지 학습하는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교과 구분 형태인 전공/교양 모두에서 나타나는 분석결과였다. 또한 요일별로 분석해 보면 특정 요일에 학습의 빈도가 높았는데 이 요일은 한 주간의 강의가 종료되는 요일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원격강좌가 운영되기 위한 제도적 보완 - 원격강좌별로 종료되는 요일을 달리한다든지 -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하겠다.

  • PDF

A Study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University Remote Video Lecture Typ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OVID-19로 인한 대학교 원격 화상강의 유형에 따른 학업 성취도에 대한 연구)

  • Kim, Hye-Jeo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3
    • /
    • pp.397-404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how different types of remote video lectures, which universities are using in earnest now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mpa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learners. Zoom-based remote video lectures were divided into two types-general lecture-centered and group task-oriented-an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et up accordingly. An achievement test and a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o determine how academic achievement differed between these two approaches. The achievement test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hievement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Meanwhile, the questionnaire regarding satisfaction with Zoom-based video lectures indicated that both groups were highly satisfied. Participants in the general lecture-centered type group cited the effect of learning, their instructors' class preparation and attitudes towards the class, and the promotion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as the causes of their satisfaction, while participants in the task-oriented type group highlighted communication and sharing, the efficiency of group discussions, and the moderate difficulty level of group tasks as the reasons fo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video lectures. Remote video lectures in the untact era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and educators will need to develop various Zoom-based teaching strategies to maximize their efficiency.

Extraction of Snowmelt Parameters using NOAA AVHRR and GIS Technique for 5 River Basins in South Korea (NOAA AVHRR 영상 및 GIS 기법을 이용한 국내 5대강 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추출)

  • 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76-81
    • /
    • 2007
  • 융설 모형의 중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은 실제 우리나라에서 적설과 관련한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매개변수 추정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 부터 2006년 까지의 겨울철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위성영상의 8 sets의 총 108개 영상을 이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고,기상청의 지상기상관측소의 최섬적설심 자료를 이용하여 GIS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적설심의 공간적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를 국내 5대유역인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섬진강 유역에 대하여 융설모형의 주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유역 평균, 최대 적설심과 적설분포감소비곡선을 구축하였다. 그 중 적설분포면적감소곡선 (SDC : Snow cover Depletion Curve)는 적설분포면적의 감소형태를 나타내 주는 지표로써 융설의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이다. 이를 국내 5대 강 유역에 대해 구축하여 정량화 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n the Facilitating Factors Affecting Learning Persistence in Synchronous & Asynchronous Emergency Remote Teaching In University Pandemic Situations (팬데믹 상황 속 대학의 동시적·비동시적 원격수업 촉진요인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비교분석)

  • Lee, Dae Yeong;Park, Sung Yo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6 no.3
    • /
    • pp.175-186
    • /
    • 2022
  • This study has explored the facilitating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persistence of university students and divided Emergency Remote Teaching(ERT) into two types based on its policie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usefulness was the facilitating factor affecting learning persistence in Synchronous ERT. Therefore, learning persistence would improve by establishing various strategies such as exploring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and building a stable infrastructure. Second, it was perceived usefulness, social presence, and system quality that were the facilitating factors affecting learning persistence in Asynchronous ERT. Thus, learning persistence would increase accompanied by immediate feedback, more active interaction, and so on.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Learners on the Remote Learning of University Education - Focused on the Cases of M University -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 Lee, Heonso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3 no.3
    • /
    • pp.377-39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about non-face-to face classes at the univers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4 professors and 1,543 students at M University. In addition, 23 mathematics majors and 80 students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using video contents methods. It surveyed the evaluation from students after progressing online classes using video for one sem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referred distance education type was an audio recording using lecture materials or class video contents. Second, an online class using video content was preferred by the students who are well self-control or have an autodidactic background. Finally, professors advanced preparation and careful consideration for the students enhanced the course satisfaction of students.

Distance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Learning Software (원격 소프트웨어 교육 및 실습 시스템)

  • Kim, H.T.;Kim, Y.H.;Kim, Y.S.;Kim, S.C.;Won, Y.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31-434
    • /
    • 2002
  • 시간과 공간제약이 없는 다양한 사이버 원격 교육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사이버 원격 교육은 이론을 중심으로 한 강의식 교육이 일반적이며, 실습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수강생이 별도의 환경에서 실습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소프트웨어 사용법 교육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행위에 대해서 강사의 확인과 지도가 요구되므로, 현재의 사이버 원격 교육 시스템으로는 교육적 효율성이 낮다. 본 논문에서는 실습이 요구되는 소프트웨어의 원격 교육의 효율성을 골이기 위한 방안으로, 소프트웨어의 조작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을 제공하고 실습 행위의 정확성을 판정하여 주는 원격 소프트웨어 교육 및 실습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의 구현에 대하여 설명한다.

  • PDF

The Analysis of Typhoon Center Location and Intensity from NOAA Satellite Microwave Data (NOAA/MUS 자료를 이용한 태풍 중심의 위치및 강도 분석)

  • 신도식;서애숙;김용상;이미선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1 no.2
    • /
    • pp.29-42
    • /
    • 1995
  • A typhoon center location and its intensity from the 54.96GMz channel of Microwave Sounding Unit(MSU) on board the NOAA satellite is analyzed. NOAA satellite MSU channel 3 data may delineate the development and dissipation of the upper tropospheric warm core associated with a typhoon. The typhoon warm core is related to microwave imagery of 250hPa temperature field (54.96GMz). The typhoon center intensity, surface center pressure and maximum wind speed at the eye well, correlate to horozontal Laplacian of an upper tropospheric temperature field. The typhoon center is found from the analysis of 250hPa temperature field. The excellent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the horizontal Laplacian of an tropospheric temperature field and surface maximum wind speed, another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the warm temperature anomaly and surface pressure anoma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