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격지도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3초

에이전트를 활용한 웹 기반 단계별 원격 교육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By-stages Distance Education System Based on Web Using Agent)

  • 이현희;황부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27-134
    • /
    • 2000
  • 최첨단 정보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구성주의 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등장한 원격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을 주관함으로써 자신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웹 기반 원격 교육이나 구성주의에서 학습자 중심적, 주도적 학습을 강조 했을 때 그것이 곧 교사로부터의 해방이나 자유방임적 교육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학습자를 다양한 수준별로 지도할 수 있는 원격 교육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모델에서 교사 에이전트는 학습자 정보를 바탕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수준에 맞는 학습 모델을 생성하고 평가에 의해 학업 성취 정도를 파악하여 다음 단계로의 학습 진행 여부를 제어한다. 이를 통하여 웹기반 원격 교육이 제공하는 학습 자원이 아무 목적없이 정보 검색 자체로 활용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진정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 PDF

스택가드를 개선한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으로부터의 대응책 (Improved Protecting Method based on Stackguard against Buffer Overflow Attack)

  • 정길균;권영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657-661
    • /
    • 2001
  • 버퍼 오버플로우는 최근에 나온 개념은 아니다. 1996년 버퍼 오버프로우가 Phrack 문서를 통해 세상에 알려지자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들은 보안 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 공격은 내부에서 쉘을 실행해 원격지에서 루트권한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상 위협 중에 가장 심각한 부류에 속한다. 아직까지도 공격 방법 중에서는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qs 논문에서는 버퍼 오버플로우의 원리 및 관련 연구에 관해서 살펴보고, 기존 대응책인 stackguard를 기본으로 하여 좀 더 개선시킨 대응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뉴스와 토픽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5권6호통권397호
    • /
    • pp.6-9
    • /
    • 2002
  • 박테리아, 높은 온도에서도 생존/스스로 수리하는 플라스틱/1억2천만년 전 꽃식물 화석 발견/쌀 유전자 지도 완성/생쥐 뇌에 전극 이식으로 원격조정/운동 효과를 주는 신약 개발/쿼크로 구성된(?) 새로운 별 두개 발견/허블 우주망원경에 새 카메라 설치/우주의 나이는 1백30억년/지구 온난화는 자연적인 현상/버키볼 콩깍지가 트랜지스터 역할/사촌간 결혼으로 생긴 아이 비정상일 확률 낮다/생체공학으로 색소성 망막염 치료

  • PDF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상부 산림바이오매스 탄소량 추정 - k-Nearest Neighbor 및 Regression Tree Analysis 방법의 비교 분석 - (Estimation of Aboveground Forest Biomass Carbon Stock by Satellite Remote Sensing - A Comparison between k-Nearest Neighbor and Regression Tree Analysis -)

  • 정재훈;우엔 콩 효;허준;김경민;임정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51-664
    • /
    • 2014
  • 최근 주기적이고 정확한 산림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추정에 대한 필요성이 한국에서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Nearest Neighbor (kNN) 및 Regression Tree Analysis (RTA) 알고리즘을 대상으로 공주 및 세종시를 대상으로 한 탄소량 변화 탐지를 통해 그 효용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현장 자료로는 제 3차 및 제 5,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위성영상자료는 1992년, 2010년에 취득된 Landsat TM과 2009년에 취득된 Aster 영상을 이용하였다. 또한, 추정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각 영상으로부터 다양한 식생지수를 생성하였다. 두 방법론의 비교를 위해 RMSE 및 평균편의(mean bias)를 포함한 각종 탄소통계량을 계산하였으며, 대상지역에 대한 탄소분포지도를 생성하고 비교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kNN 알고리즘은 영상에 상관없이 보다 안정적인 추정결과를 나타낸 반면, 스무딩 효과로 인해 탄소의 공간분포가 뚜렷하지 않은 단점이 발견되었다. RTA의 경우 평균편의 결과 및 탄소의 공간분포가 명확히 나타나는 장점이 있으나, 위성영상에 따라 탄소추정량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2009년 및 2010년 탄소지도에서 1992년 탄소지도를 차분한 탄소차분지도를 생성을 통해 공주시 및 세종시 지역의 산림 탄소저장량이 급격히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점관측 환경 인자의 공간 추정 - 남한 지역의 강우 산도 분포도 작성 (Spatial Estimation of Point Observed Environmental Variables: A Case Study for Producing Rainfall Acidity Map)

  • 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3-47
    • /
    • 1995
  • 기후, 토양, 대기, 지질, 지하수 등과 관련된 측정자료는 지역적 규모의 생태 및 환경 목 적의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자주 요구되는 공간자료이다. 이와 같은 환경 인자는 자료의 특성 상 한정된 지점에서의 점관측자료(point observation)에 의존하여 전체 대상 지역의 지리적 분포 를 추정하는 보간법(spatial 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수치지도의 형태로 변환되고 있으나, 그 추 정의 정확도와 관련하여 다른 GIS 공간자료와의 연계분석시 많은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전국 63 개소에서 측정된 강우산도 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도가 높은 연속면(continuous surface)을 나 타내는 디지탈지도를 제작하기 위하여 세 가지 공간추정방법을 적용하였다. 미측정지점에서의 강 우산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강우산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서남해안으로부터의 거리를 보조변수로 사용하여 Co-kriging 방법을 적용하였고, 위의 추정 결과와의 비교 목적으로 보조변수를 사용하 지 않는 거리반비례평균법과 Kriging을 이용하였다. 세 가지 공간보간법에 의하여 추정된 연속면 지도를 비교한 결과, 보조 변수를 이용한 Co-kriging 방법에 의한 수치지도가 강우산도의 미세한 분포 양상을 나타내는 데 적합하게 판정되었다. 또한 실지 관측지와 추정치와의 차이를 분석하는 역검정방법을 이용하여 추정오차를 구한 결과, Co-kriging에 의한 추정치가 최소의 오차를 보여 주었다. Co-kriging이 현재의 GIS 사용자들에서 다소 익숙치 않은 공간추정방법이지만, 여러 종 류의 점관측 환경인자의 공간추정에 매우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식생지수를 활용한 LULUCF 정주지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을 위한 수목탐지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Tree Detection Methods for Estimating LULUCF Settlement Greenhouse Gas Inventories Using Vegetation Indices)

  • 이준우;한유한;이정택;박진혁;김근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3호
    • /
    • pp.1721-1730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와 관련된 문제인식이 대두되면서, 도시지역에서의 탄소중립을 위해 탄소흡수원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정주지 탄소흡수원의 관리를 위해서는 탄소흡수원의 현황 파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과 이에 따른 예산이 소요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기구축된 수목의 위치정보와 Sentinel-2 위성영상을 이용해 수목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는 지도를 제작했다. 이를 위해 수목 유무 데이터셋을 구축한 뒤 위성영상으로부터 구축한 식생지수 16종 정보를 이용하여 분석에 활용할 정형데이터를 생성했다. 그리고 생성된 정형데이터에 Extreme Gradient Boosting (XGBoost) 모델을 적용하여 학습 후, 수목 예측 지도를 제작했다. 이후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SHAP) 분석을 통해 모델 학습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서울의 국소 부분에 대해 제작된 지도와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와의 비교분석을 수행했고, 본 연구에서 제작된 수목 예측 모델의 경우 대로변 주변의 탐지하기 어려운 가로수의 경우에도 수목의 위치로 예측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전이학습을 활용한 도시지역 건물객체의 변화탐지 (Change Detection of Building Objects in Urban Area by Using Transfer Learning)

  • 모준상;성선경;최재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685-1695
    • /
    • 2021
  •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딥러닝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학습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원격탐사 분야에서 충분한 양의 학습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적은 수의 학습자료를 활용한 딥러닝 모델의 전이학습(transfer learning)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에 제작된 공개데이터셋을 기반으로 국내 정사영상 및 수치지도를 활용한 전이학습을 통해 국내 다시기 정사영상 내 존재하는 건물객체의 변화에 대한 탐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변화탐지를 위한 공개데이터셋을 HRNet-v2 모델을 통하여 선행학습을 수행하고, 국내 정사영상 및 수치지도를 이용한 학습자료에 전이학습을 수행하였다. 전이학습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두 곳의 실험지역에 전이 학습된 모델을 포함한 다양한 딥러닝 모델의 결과를 평가한 결과, 전이학습을 활용한 연구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이학습을 활용해 부족한 양의 학습자료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원격탐사 자료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변화탐지 기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원격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Satisfaction in Distance Education)

  • 이재은;유병민;박혜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2호
    • /
    • pp.233-243
    • /
    • 2015
  • This study is for understanding differences of satisfaction followed by learning and teaching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in a distance educ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arner are classified as an entrance type, sex, age, new/transfer of distance university learners. Perceived presence is classified with learning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is classified with the directivity of activity, goal, and study based on the reason of participating in classes in a distance university. And this research tried out to find the effect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perceived presence,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 on satisfaction. It means sex, age, and entrance type did not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with the level of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 satisfaction has meaningful differences. It means that students who had higher learning presence perceived of distance university showed higher satisfaction, and so as in teaching presence perceived on satisfaction. Third, factors effecting satisfaction based on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differ with types of motivatio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level of activity directivity study participant on satisfaction, but was a meaningful difference of goal directivity and of study directivity in participation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It was the learning presence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of adult learning.

GIS 및 RS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취약성 평가 (Evaluation of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GIS and RS)

  • 김경태;정성관;박경훈;오정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5-87
    • /
    • 2005
  • 본 연구는 금호강 유역을 대상으로 GIS와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산사태 취약성의 예측과 지도화를 수행하고자 한다. 산사태 영향인자인 사면경사, 사면방향, 지질, 토지이용도, 식생지수(NDVI)의 공간데이터베이스는 $30m{\times}30m$ 해상도로 구축하였다. 산사태 취약성은 중첩분석과 합산 평가 매트릭스 방법으로 예측하였고, 6개 범주(안정, 매우 낮음, 낮음, 중간, 높음, 매우 높음)로 구분한 산사태 취약성 지도를 제작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사태 취약성이 '매우높은' 지역은 전체 대상지의 약 0.3% 정도를 차지하며 이들 지역은 주로 높은 경사도와 낮은 식생지수를 가지는 산림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공위성 레이더(SAR) 영상자료에 있어서 지형효과 저감을 위한 방사보정 (Topographic Normalization of Satellite Synthetic Aperture Radar(SAR) Imagery)

  • 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7-73
    • /
    • 1997
  • 본 연구는 산악 지형의 레이더(SAR) 영상자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형의 기복에 의한 화소값의 왜곡 보정과 관련된 것이다. 연구 자료로는 RADARSAT 위성에서 얻어진 서울 남쪽 관악산과 안양 지역의 SAR 영상자료를 이용하였고, 영상자료의 보정을 위하여 SAR 영상과 유사 한 해상력을 갖춘 수치고도자료(digital elevation model)를 제작하였다. 레이더 영상자료는 먼저 각 화소가 가지고 있는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하여 정확한 지도좌표에 등록함으로써, 수치고도자 료로부터 각 화소 지점의 구체적인 지형적 특성에 관한 자료를 산출하였다. 영상의 각 화소값에 미치는 지형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하학적 인자로서 각 지점에 입사되는 레이더파와 경사면 의 연직선이 이루는 유효입사각(local incidence angle)을 산출하였다. 수치지도로 제작된 임상도 를 이용하여 동일한 임분특성을 가지고 있는 산림내에서 얻어지는 레이더 반사치와 유효입사각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영상자료의 지형효과 보장은 실험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는데, 유효입사 각과 레이더 반사치와의 관계에서 도출된 지형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는 수식을 적용하였다. 보정 결과는 육안에 의한 영상의 비교와 함께 현지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