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격상관관계

Search Result 29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alysis of Soil Moisture-Vegetation-Carbon Flux Relationship at Agricultural Drought Status using Optical Multispectral Sensor (다중분광센서를 활용한 농업적 가뭄 발생 시 토양수분-식생-탄소플럭스의 관계성 분석)

  • Sur, Chan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8-278
    • /
    • 2021
  • 가뭄이 장기간 지속되어 농업적 가뭄 상태가 되면 토양의 수분이 마르기 시작하면서, 식생의 생장활동이 방해되고, 이는 식생의 광합성 활동까지 영향을 미친다.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흡수되고 산소 발생이 증가하는데, 광합성이 활발하지 못하면 상대적으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토양수분, 식생활동과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관계를 다중분광센서인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산출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토양수분의 경우, 마이크로파 센서를 통해 산출된 값을 활용했지만, 이는 상대적으로 공간 해상도가 조악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어서 면적이 작은 연구지역을 분석할 때에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고해상도인 광학센서를 이용한 토양수분 산정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MODIS 총 일차생산량 (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 산출물을 이용하여 식생 호흡량과의 관계식을 통해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계산하였다. 원격탐사 기반의 토양수분, 식생지수, 이산화탄소 플럭스를 한국에서 발생한 가뭄 기간 중, 2014년과 2015년도에 대하여 지점 관측자료인 플럭스 타워에서 제공되는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토양수분, 식생 지수, 탄소플럭스는 순차적으로 지연시간을 두고 상관성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토양수분과 식생 지수 사이에는 1개월, 식생지수와 탄소플럭스는 0.5개월의 지연시간 후에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 PDF

Using GNDVI to estimate leaf nitrogen contents in rice canopy (GNDVI 룰 이용한 벼 군락 엽 질소함량 추정)

  • Kim, Yi-Hyun;Hong, Suk-Young;Kim, Myung-Sook;Kwak, Han-Ka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43-48
    • /
    • 2007
  • 본 연구는 벼 군락의 분광반사율 지표를 측정할 수 있는 인공광원을 사용하는 능동형 광학 센서인 GNDVI 를 활용하여 생육시기별 식생지수와 엽 질소함량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벼 군락의 엽 질소함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농업과학기술원 답작 포장에서 공시품 종인 추청벼를 이용하여 난괴법 3반복으로 시험구 배치를 하고 질소 4수준 3반복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벼 생육시기별 GNDVI 와 엽 질소함량과의 관계를 2년 간 (2005, 2006)의 자료를 통하여 분석해 보았다. 2005년의 경우 벼 생육시기동안 9시기의 GNDVI값과 그 당시 시료를 샘플링하여 분석한 엽 질소함량과의 관계를 벼 출수전과 출수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GNDVI 값은 출수전 ($r=0.78^{***}$ n=60) 보다 출수후 ($r=0.89^{***}$, n=59) 가 엽 질소함량과의 상관계수가 높았다. 2006년은 20시기동 안 생육시기별 식생지수와 엽 질소함량과의 상관 분석한 결과 착근기 (6월 5일) $r=0.84^{***}$, 유수분화기 (7월 11일) $r=0.95^{***}$, 출수기 (8 월 16일) $r=0.87^{***}$, 수확기 (10월 13일) $r=0.90^{***}$ 으로 출수전의 경우 7월 11일이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고, 이 결과는 2005년 동일시기 (7월 11일) 식생지수와 벼 엽 질소함량과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던 ($r=0.91^{***}$) 것과 일치하였다. 벼 생육시기 변화에 따른 식생지수와 엽 질소 흡수량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벼 출수전의 경우 GNDVI는 7월 11일 에 엽 질소 흡수량과의 상관계수 ($r=93^{***}$)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고 출수후의 경우에는 시기에 따라 상관계수가 고르게 높게 나타났다. 엽 질소함량과의 상관관계가 높았던 2005년,2006년 7월 11일 식생지수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엽 질소함량과의 관계를 추정식으로 작성하였다. GNDVI를 이용하여 2005년과 2006년 실측한 엽 질소함량 값과 추정 값을 비교해 본 결과 2005년과 2006년의 결정계수가 각각 0.88, 0.94로 2006년이 더 예측률이 높게 나타났다. GNDVI 값을 이용하여 엽 질소함량 추정값과 실측값을 비교해 본 결과 결정계수가 0.86으로 추정값과 실측값이 근접하게 분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ndependent-Platform-Remote-Management System (플렛폼에 독립적인 원격관리 시스템)

  • Kim, Yong-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19-422
    • /
    • 2002
  • 현재 대표적인 OS 인 Window, Unix, Linux에 관계없이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OS 에 상관없이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즉 클라이언트가 Linux상에 돌아가고 서버가 Window 에서 돌아가는 시스템에서 Window 의 자원을 클라이언트가 Linux 상에서 쓰고 제어할 수 있고 그 반대로 Linux의 자원을 Window에서 쓸수있음을 제시한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Volcanic Ash Inherent Optical Properties to the Remote Sensed Radiation (화산재입자의 고유 광학특성이 원격탐사 복사량에 미치는 민감도 분석)

  • Lee, Kwon-Ho;Jang, Eun-Su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0 no.1
    • /
    • pp.47-59
    • /
    • 2014
  • Volcanic ash (VA) can be estimated by remote sensing sensors through their spectral signatures determined by the inherent optical property (IOP) including complex refractive index and the scattering properties. Until now, a very limited range of VA refractive indices has been reported and the VA from each volcanic eruption has a different composition. To improve the robustness of VA remote sensing,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ing of VA - radiation interactions. In this study, we calculated extinction coefficient, scattering phase function, asymmetry factor, and single scattering albedo which show different values between andesite and pumice. Then, IOP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oretical remote sensed radiation calculated by radiative transfer model under various aerosol optical thickness (${\tau}$) and sun-sensor geometries and characteristics of VA. It was found that the mean rate of change of radiance at top of atmosphere versus ${\tau}$ is six times larger than in radiance values at 0.55 ${\mu}m$. At the surface, positive correlation dominates when ${\tau}$ <1, but negative correlation dominates when ${\tau}$ >1. However, radiance differences between andesite and pumice at 11 ${\mu}m$ are very small. These differences between two VA types are expressed as the polynomial regression functions and that increase as VA optical thickness increases. Finally, these results would allow VA to be better characterized by remote sensing sensors.

Estimation of Cloud Liquid Watetr used by GMS-5 Observations (GMS-5 자료를 이용한 구름 수액량 추정 연구)

  • 차주완;윤홍주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5 no.1
    • /
    • pp.21-30
    • /
    • 1999
  • The CLW (Cloud Liquid Water) is a parameter of vital interest in both modeling and forecasting weather. In mesoscale models, the magnitude of latent heat effects corresponds to the amount of CLW, which is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a certain weather system. The goal of this study is the estimation of CLW by GMS-5 data which is compared with that of SSM/I data and GMR(Grounded Microwave Radiometer)data. First of all, we found out the relationship of cloud albedo to cloud thickness, and caculated the CLW using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The CLW amount of SSM/I or GMR and that of GMS-5 were compared,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bout 0.86 and RMSE was 9.23 mg/$cm^2$ between GMS-5 data and GMR data. And als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4 and RMSE was 14.02 mg/$cm^2$ between GMS-5 data and SSM/I data.

시계열 공간자료들의 평균과 변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박수진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47-252
    • /
    • 2003
  • 최근 원격탐사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들이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공간상의 각종 지리사상들의 시계열적인 자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리학계의 관심은 특정 지리사상의 시간적인 변화(Time series analyses)와 공간상의 분포 (Spatial statistics)로 크게 대별되어 왔으며, 이 두 가지의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하겠다. (중략)

  • PDF

감마분광법에 의한 핵물질 계량기술 개발

  • 양한범;임재관;김성현;유재형;박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835-840
    • /
    • 1995
  • 핵물질의 화학적분리 및 정제를 위한 용매추출실험의 농도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 감마방사능 계측장치를 제작하고 기계적 성능 및 원격작동 시험을 하였다. 계측장치의 모든 구동부분은 공압으로 작동되며 우라늄시료를 분석한 결과 0∼250g/L의 농도범위에서 방사능세기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Landsat ETM+ Image for Gomso Bay Tidal Flat Sediments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Landsat ETM+ 자료 특성)

  • 류주형;최종국;나영호;원중선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9 no.2
    • /
    • pp.117-133
    • /
    • 2003
  • A field survey and Landsat ETM+ image acquisition carried out simultaneously. Using these data, we attempted to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tidal flat environmental factors and reflectance observed by ETM+, and to set up a new critical grain size useful for optical remote sensing. Although the grain size of 4 $\Phi$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as a critical size by sedimentologists, the correlation with optical reflectance was very low. Instead, the grain size of 2 $\Phi$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0.699, with ETM+ band 4, except near tidal channels in upper tidal flat. We concluded that the grain size of 2 $\Phi$ would be better to use for a critical grain size in Gomso Bay. The grain size also correlated well with moisture content having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11 when the 2 $\Phi$ criterion was used.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howed moisture content was more important parameter than topographic relief, and they were different from German tidal flats in which topographic relief was the prior factor This can be explained by finer grain composition of the Gomso bay tidal flat. In short, moisture content and topography as well as grain size should be considered in tidal flat remote sensing.

Comparison of Nitrogen Dioxide Retrieved by MAX-DOAS and OMI measurements in Seoul (지상원격측정 MAX-DOAS 시스템과 위성 OMI센서로 서울에서 산출된 이산화질소 층적분농도의 비교연구)

  • Lee, Hanli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9 no.2
    • /
    • pp.235-241
    • /
    • 2013
  • $NO_2$ vertical column densities were retrieved via ground based Multi-Axis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MAX-DOAS) measurements for the first time for 6 months over the spring season in 2007 and 2008 in Seoul, one the megacities in the Northeast Asia. The retrieved $NO_2$ vertical column densi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space borneOzone Monitoring Instrument (OMI). Over the entire measurement period, the $NO_2$ vertical column densities measured by MAX-DOAS ranged from $1.0{\times}10^{15}molec{\cdot}cm^{-2}$ to $6.0{\times}10^{16}molec{\cdot}cm^{-2}$ while those obtained by OMI ranged $1.0{\times}10^{15}molec{\cdot}cm^{-2}$ to $7.0{\times}10^{16}molec{\cdot}cm^{-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NO_2$ vertical column densities obtained from MAX-DOAS and OMI is 0.73 for the entire measurement period wherea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5 is found for the dates under the clear sky condition. The cloudy condition is thought to play a major role in increase in uncertainty of the retrieved OMI $NO_2$ vertical column densities since air mass factor may induce high uncertainty due to the lack of cloud and aerosol vertical distribution information.

Analysis of Upper Limb Movement Using Bio-Impedance (임피던스를 이용한 상지 운동 분석)

  • Kim, Soo-Chan;Nam, Ki-Chang;Kim, Deok-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c
    • /
    • pp.461-46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생체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3채널 상지(upper arm) 운동 분석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각 채널은 상지의 외전(supination)과 내전(pronation), 팔꿈치(elbow)의 폄과 굽힘, 손목(wrist)의 평과 굽힘에 따른 각 관절의 임피던스 변화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상체 임피던스는 전극의 부착위치에 의존하므로 정밀한 감지를 위해 상지 운동에 대한 임피던스의 변화와 각도계(goniometer)의 각도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상관 관계가 높고, 변화량이 가장 크고 다른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영향이 최소인 곳을 찾아 이를 최적의 전극 위치로 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최적의 전극 위치에서 임피던스 변화를 얻어 상지 운동을 분석해 보았다. 최적의 전극 위치에서 손목과 팔꿈치의 각도 변화와 임피던스 변화의 상관 계수는 각각 0.94, -0.97로 아주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한 이전의 다른 연구에서 임피던스 방법으로 구현해 본적이 없는 팔의 회전(rotation)도 분석이 가능하였다. 이 시스템은 피검자의 동작에 거의 제한을 주지 않고, 가벼우며, 장시간 측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구성이 영상 분석기에 비해서 단순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재활과 생체역학, 로봇의 원격 제어, 그리고 가상 현실에서의 동작 구현 등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