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거리진동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등가음원법에서의 원거리음원의 위치와 개수의 최적화 연구 (Optimization of the Number and Position of Far Field Sources in Using the Equivalent Source Method)

  • 백광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3권10호
    • /
    • pp.743-750
    • /
    • 2003
  • The equivalent source method(ESM) is us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internal pressure field for an enclosure which can have arbitrary boundary conditions and nay include internal objects which scatter the sound field. The advantage of using ESM is that it requires relatively low computing cost and is easy to model the internal diffracting objects. Typical ESM modeling uses two groups of equivalent source positions. One group includes the first order images of the source inside the enclosure. The Positions of the other group are usually on a spherical surface some distance outside the enclosure. The normal velocity on the surfaces of the enclosure walls is evaluated at a larger number of positions than there are equivalent sources. The sum of the squared difference between this velocity and the expected is minimized by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equivalent sources. This study is on the optimal far field sources positions when using the equivalent source method. In general, the far field sources are evenly distributed on a surface of a virtual sphere which is centered at the enclosure with a sufficiently large radius. In this study. optimal far field source locations are searched using simulated annealing method for various radii of spheres where far field sources are located.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optimally located sources with adequate distance away from the enclosure center gave better result than sources with even distribution even with a smaller number of far field sources.

사용자 감성 인터랙티브 미러 (User Emotional Interactive Mirror)

  • 강건웅;구진아;김나연;이동현;조아영;조혜민;황민철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3-186
    • /
    • 2009
  •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미러 (Interactive Mirror)를 제작하여 서로 다른 공간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시각 청각 촉각적 요소를 조합한 감성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제공하고자 한다. 인터랙티브 미러는 원거리상의 사용자들이 거울에 비친 상대방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대화가 가능한 일종의 화상 대화 장치이다. 화면의 기능을 수행하는 거울을 매개로 하여 실시간 화상 대화가 가능하고, 사용자들은 실제 도구인 붓, 지우개, 도장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형을 터치하면 상대방에게 진동이 전해지는 구조를 통해 원거리상의 사용자간에 감성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다.

  • PDF

반무한보의 진동 인텐시티 계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Intensity Measurement of Semi-infinite Beam)

  • 이덕영;박성태
    • 소음진동
    • /
    • 제7권1호
    • /
    • pp.43-53
    • /
    • 1997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ractical use for measuring the structural intensity (power flow per width of cross section) in a uniform semi-infinite beam in flexural vibration. The structural intensity is obtained as a vector at a measurement point, One-dimensional structural intensity can be obtained from 4-point cross spectral measurement, or 2-point measurement on the assumption of far field. The measurement errors due to finite difference approximation and phase mismatch of accelerometers are examined. For precise measurements, it would be better to make the value of k$\delta$(wave number x space between accelerometers) between 0.5 and 1.0. Formul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bending waves in structures and structural intensity makes it possible to separate the wave components by which one can get a state of the vibration field. Experimental results are obtained from 2- and 4-point measurement performed at 200mm (near field) and 400mm (far field) apart from excitation point in random excitation.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values and measured values of input power spectrum in order to verify the accuracy of structural intensity method, 2-point method is suggested as the practical structural intensity method.

  • PDF

제주 남부지역의 시험발파에 의한 지반진동 특성 분석 (Analysis of Ground Vibration Characteristics by Test Blasting in Southern Region of Jeju)

  • 김승현;이동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3호
    • /
    • pp.419-429
    • /
    • 2019
  • 시험발파를 통해 제주 남부지역(현무암과 클링커 층상구조 지반)의 지반진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반진동의 주요 성분을 파악하고 지반진동추정식을 도출함으로써 제주 남부지역의 지반진동의 전파 특성을 국내 설계지침과 비교하였다. 층상구조 지반에서의 지반진동은 근거리에서는 진동의 크기가 작으나 원거리로 갈수록 지반진동의 감쇠가 적어 진동에너지를 멀리까지 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파수는 저주파수 대역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공극이 큰 클링커층이 고주파의 발파에너지 탄성파를 파형의 주기가 긴 저주파 형태로 바꿔 전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반암이 다른 지역과의 지반진동을 비교하여 설계지침의 한계를 확인함으로써, 지역 특성이 반영된 설계 지반진동추정식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선체진동신호를 이용한 3차원 수중방사소음 패턴 산출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A Numerical Analysis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3D Underwater Radiated Noise Pattern using the Hull Vibration Signals)

  • 이종주;강명환;한승진;배수룡;김재호;정우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770-779
    • /
    • 2014
  • In this study, a numerical estimation method for 3D underwater radiated noise pattern using hull vibration and total acoustic power of the vibrating structure in the far-field is proposed. The underwater radiated noise pattern is known to be predicted using the vibration signals and radiation efficiency of each surface patch. But it is very difficult to know radiation efficiency of each surface patch which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o calculate the 3D underwater radiated noise pattern. Instead of using radiation efficiency of each patch, the underwater radiated noise level is modified with the total acoustic power of the vibrating structure. The suggested estimation method for underwater radiated noise pattern is discussed with numerical model.

근거리 및 원거리에서의 Lowson Formula에 대한 연구 (Study of Lawson Formula at near- and far-field)

  • Wonju Jeon;Lee, Duck-Joo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II
    • /
    • pp.1393-1393
    • /
    • 2001
  • This paper reviews the Lawson formula which predicts the sound field of a point force in arbitrary motion. The acoustic density was represented by an integral of integrand including the generalized function and its partial derivative at retarded time. After skillful integration, a mathematically exact formula was yielded with some terms which were still remained in need of numerical calculations. The significance of further mathematical progress is discussed in this paper. And also, the adequacy of procedures deriving the far- and near-field terms is investigated from the viewpoint of radiation.

  • PDF

카메라를 이용한 고압 증기 배관 누설/진동 감시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eak and Vibration Monitoring System for High Pressure Steam Pipe by Using a Camera)

  • 전형섭;서장수;채경선;손기성;김세오;이남희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96-503
    • /
    • 2016
  • 발전소나 석유화학 플랜트 구조물에 누설이 발생하면 인명 피해 및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누설은 플랜트 배관의 진동으로 인한 피로파괴나 배관 감육으로 인해 발생한다. 플랜트 배관의 진동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으로 주로 가속도센서나 레이저센서가 사용되지만 설치 및 운용의 어려움이 따르고 동시에 광범위 측정 시 비용 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카메라를 이용한 누설 및 진동 변위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카메라를 이용한 누설 및 진동 변위 측정 방법은 설치가 간단하고 원거리 측정 및 넓은 범의의 측정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해 누설 및 진동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실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하였다.

음장의 공간적 변환기법을 이용한 타이어 구조 진동 소음 측정 (Measurement of Tire Structural Vibration Noise Using Spatial Transformation of Sound Field Technique)

  • 김병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1-19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불규칙한 노면이 설치된 섀시 동력계(chassis dynamometer)로 부터 가진된 타이어의 구조 진동 소음을 음장의 공간적 변환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음장의 공간적 변환기법은 소음원으로 부터 원거리까지의 전파를 계산하는 기법이다. 즉, 한평면의 음향 측정으로 부터 측정 평면에서 멀리 떨어지거나 더 가까운 평면에서의 음장을 표현하는 변수들인 음압, 음향 인텐시티, 입자속도 등을 계산한다. 측정 평면에서 음원쪽으로 가까운 평면의 계산은 관접음장 홀로그래피를 적용하여 계산하고 먼 쪽은 헬름흘쓰 적분식을 적용한다 측정결과로 부터 타이어 구조 진동 소음의 방사형태와 소음원의 위치를 예측하였다.

  • PDF

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전작용 붐방제기의 진동 특성 분석 (Vibr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Boom Sprayer for Upland-use Using Frequency Analysis)

  • 김영주;이중용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3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4-250
    • /
    • 2003
  • 국내에 보급된 방제기는 인력분무기, 동력 분무기, 동력 살분무기, 스피드 스프레이어, 붐방제기 등이 있다. 그 중 동력경운기에 탑재하거나 트랙터에 견인되는 동력분무기를 주축으로 기계화되어 있다. 작은 입경의 분무입자로서 가급적 적정량을 균일하게 뿌릴 때 방제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동력분무기에 의한 액제 살포는 원거리 살포에 따라 분무입자의 입경 분포가 다양하며 대부분 분무입자가 매우 크므로 고른 살포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약액을 1000대 1로 희석하여 흠뻑 적실 정도로 다량 살포를 하여 살포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제 방법은 효율성, 작업능률과 환경의 오염 측면에서 상당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중략)

  • PDF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시각 장애우용 스마트 케인 (The Smart Cane for the Visually-impaired using Ultrasonic sensors)

  • 박차훈;안현진;이재익;송광호;김하형;정상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81-182
    • /
    • 2021
  • 시각장애인이 길거리에 나설 때 주변에 보행 안전을 위한 시설이 많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에게 전방의 장애물을 알려주어 안전한 보행을 위한 스마트 지팡이를 제안한다. 초음파센서를 통하여 사물을 감지하여 진동으로 보행자의 진로 방향을 안내하며 조도 센서를 통하여 다른 사람들이 원거리에서 인식 할 수 있게 발광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긴급버튼을 통하여 비상시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는 통보기능도 내장하고 있다. 향후 소형화와 지능화를 통하여 사회적 약자인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권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