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워크북

Search Result 16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Research on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Introduction of Mathematics Workbook and the Suggestion of Its Organization (수학 워크북 도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구성 방안 제안)

  • Kim, Bu-Mi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7 no.3
    • /
    • pp.271-293
    • /
    • 2007
  • Mathematics workbook is developed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This study polled 300 national mathematics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o find out what they think in conjun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mathematics workbook such as needs for mathematics workbook,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system of mathematics textbook and workbook which are proper for lesson of achievement level and organization of mathematics workbook before using the mathematics workbook in school. As a results, mathematics teachers want the introduction of workbook because it helps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of mathematics and it is material very valuable for teachers to give lessons of achievement level. Also, we suggest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mathematics workbook on the base of our survey. Mathematics workbook has a lot of exercises assessing into the upper, intermediate, lower level in the contents, concepts of mathematics learning. It has the items developed with various problem solving methods and emphasis on performance tests, an essay-type examination and a periodical assessment. It has the problem posing items and the corner that helps students revise their mathematical errors and proposes useful, interesting mathematical activities and the commentary of a correct answer to questions at the tail of the book.

  • PD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Food Safety and Health' Workbook for High School (고등학교 「식품안전과 건강」 워크북 개발 및 타당도 검증)

  • Park, Mi Jeong;Jung, Lan-Hee;Yu, Nan Sook;Choi, Seong-You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34 no.1
    • /
    • pp.59-8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orkbook that can support the class and evaluation of the subject, 「Food safety and health」 and to verify its validity.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workbook was set by analyzing the 「Food safety and health」 curriculum, dietary education material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workbook, and the overall structure was designed by deriving the activity ideas for each area. Based on this, the draft was developed, and the draft went through several rounds of cross-review by the authors and the examination and revision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before the final edited version was developed. The workbook was finalized with corrections and enhancements based on the advice of 9 experts and 44 home economics teachers. The workbook consists of 4 areas: the 'food selection' area, with 10 learning topics and 36 lessons, the 'food poisoning and food management' area, with 10 learning topics and 36 lessons, the 'cooking' area, with 11 learning topics and 43 lessons, and the 'healthy eating' area, with 11 learning topics and 55 lessons, resulting in a total of 42 learning topics, 170 lessons. The workbook was designed to evenly cultivate practical problem-solving competency, self-reliance capacity, creative thinking capacity, and community capacity. In-depth inquiry-learning is conducted on the content, and the context is structured so that self-diagnosis can be made through evaluation. According to the validity test of the workbook, it was evaluated to be very appropriate for encouraging student-participatory classes and evaluations, and to create a class atmosphere that promotes inquiry by strengthening experiments and practice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implemented and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options are emphas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expand the scope of home economics-based elective courses and contribute to realizing student-led classrooms with a focus on inquiry.

An Exploratory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Learning and Smart Work: The Use of Personal Laptops by Graduate Students in a Smart Campus Environment (스마트러닝과 스마트워크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스마트 캠퍼스 환경에서 대학원생의 개인 노트북 컴퓨터 사용을 중심으로)

  • Kim, Young-W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5
    • /
    • pp.27-35
    • /
    • 2012
  • The importance of smart learning (SL) has been emphasized in schools. Additionally, the significance of smart work (SW) in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has gained much attention among industries. From theoretical,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SL and SW are somewhat similar. Therefore, a case study was performed to find a way to link SL and SW, and a linking model was proposed for this purpose. Because laptops are considered a pivotal element in the technological aspect of SL, graduate students' use of personal laptops in classes (Bring Your Own Laptop, BYOL)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reacted positively to the idea of using personal laptops in class and that they expected to learn IT skills more effectively this way. They listed being able to study even after class and the easy accessibility of relevant data as the strengths of BYOL. However, they cited the heaviness of the laptops and occasional loss of focus during classes as the weaknesses of BYOL. Thus,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of that students who experience SL can perform better in an SW situation. Therefore, if a policy is enacted that allows students to efficiently use laptops, a greater number of educational achievements will be attained on smart campuses and, subsequently, a greater number of smart workers will be produced.

실용음악 전공자의 시창청음 프로그램 개발 방향

  • Sin, Hye-Se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677-68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실용음악 전공자의 시창청음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방향을 제시하였다. 실용음악 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한 내부 환경 및 기존 교재에 관한 분석을 바탕으로 통합교과적 학습을 지향하는 시창청음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시창과 청음 수업의 연계가 가능한 워크북 개념의 통합 교재로 문제의 방향을 설정하였으며 다양한 악곡의 활용을 통한 동기 유발과 학습 효과의 증대를 지향하였다. 교과 내용의 단순성을 지양하고 섹션별 학습을 추구하며 문제지와 답지를 교재 내에 포함시킬 것과 청음 워크북의 정답 부분을 음원 녹음한 오디오 CD를 제작하여 반복적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주요 개발 방향이다.

  • PDF

사물간 통신 네트워크의 이해

  • Kim, Hyeong-J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7
    • /
    • pp.21-28
    • /
    • 2010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개인용 PC나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킹 및 인터넷 환경을 PC와 노트북을 포함한 스마트폰,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와 같이 이동이 가능한 소형의 기기를 중심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통신기능이 가능한 이러한 소형의 장치들은 정보화기기뿐만 아니라 자동차나 시계와 같은 일반적인 사물에도 부착될 수가 있다. 사물에 부착된 통신 장치들은 사물의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게 해주거나 사물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의 상호 공유가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이 사물에 부착된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사물간에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환경을 사물 통신 혹은 사물 통신 네트워크라 부르며, 사물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사람 대 사람, 사람 대 사물뿐만 아니라 사물 대 사물간의 통신 네트워크가 가능해져 모든 객체간의 정보 공유가 가능해 진다. 사물간 통신 네트워크는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사회로 진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BClassifier : A Bookmark-Classification Agent Based on Naive Bayesian Learning Method (BClassifier : 나이브 베이지안 학습법에 기초한 북마크 분류 에이전트)

  • 최정민;김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81-83
    • /
    • 2000
  • 최근 고성능 PC의 보급과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하여 인터넷의 가용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우리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많은 정보를 얻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 존재하는 정보는 수많은 웹 서버에 주소(URL)를 가지고 존재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정보의 사이트를 재방문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 북 마크 기능을 사용한다. 그러나, 북 마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북 마크 분류, 수정, 편집, 정렬등의 북 마크 관리가 필수적이지만 이와 같은 북 마크 관리 작업이 전반적으로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웹 문서 분류를 위한 기계학습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북 마크를 카테고리별로 자동으로 분류, 재정렬해주는 북 마크 자동 분류 에이전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대표적인 분류 에이전트 시스템으로는 전자우편 분류 에이전트인 Maxims, 뉴스 기사 분류 에이전트인 NewT, 엔터테인먼트 선별 에이전트인 Ringo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들은 분류 대상과 분류 방법, 기능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교사학습 방법인 나이브 베이지안 학습법을 사용하여 북 마크를 자동으로 분류하는 북 마크 자동 분류 에이전트를 설계, 구현하였다.

  • PDF

Personalized Bookmark Recommendation System Using Tag Network (태그 네트워크를 이용한 개인화 북마크 추천시스템)

  • Eom, Tae-Young;Kim, Woo-Ju;Park, Sang-U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5 no.4
    • /
    • pp.181-195
    • /
    • 2010
  • The participation and share between personal users are the driving force of Web 2.0, and easily found in blog, social network, collective intelligence, social bookmarking and tagging. Among those applications, the social bookmarking lets Internet users to store bookmarks online and share them,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based on shared bookmarks which people think important.Delicious.com is the representative site of social bookmarking services, and provides a bookmark search service by using tags which users attach to the bookmarks. Our paper suggests a method re-ranking the ranks from Delicious.com based on user tags in order to provide personalized bookmark recommendations. Moreover, a method to consider bookmarks which have tag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user query keywords is suggested by using tag network based on Jaccard similarity coefficient. The performance of suggested system is verified with experiments that compare the ranks by Delicious.com with new ranks of our system.

Application to the Image Coding by the Modified Fuzzy Competitive Learning Network (수정 퍼지 경쟁 학습 네트워크를 이용한 이미지 코딩 응용)

  • Lee, Bum-Ro;Chung, Chin-Hyu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7
    • /
    • pp.1933-1942
    • /
    • 1998
  • 분류 벡터 양자화(classified vector quantization: CVQ)〔2의 부코드북을 설계함에 있어서, 경쟁 학습 네트워크〔5〕-〔7〕 는 소속도의 이분법적 표현으로 상당한 소속도를 가지는 벡터들이 학습 과정에 무시되는 경향을 가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퍼지 경쟁 학습 네트워크〔8〕는 각 클러스터가 연속적인 소속도를 가진다는 개념을 도입하여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했다. 그러나 퍼지 경쟁 학습 네트워크를 CVQ에 적용할 경우, 각 부코드북의 크기를 시행착오로 결정해야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의 개선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수정 퍼지 경쟁 학습 네트워크(modified fuzzy competitive learning network)를 제안한다. 수정 퍼지 경쟁 학습 네트워크는 퍼지 학습 네트워크가 가지는 이 분법적 소속도를 연속적인 소속도로 확장하여, 학습 과정중에 나타날 수 있는 지역 최소점 도달을 억제하였다.

  • PDF

한국형 해사영어 커리큘럼 개발

  • Jeong, Hui-Su;Seol, Jin-Gi;Choe, Se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89-291
    • /
    • 2018
  • 본 발표는 대한민국 선원의 의사소통 역량 및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해수부에서 실시한 "선상 의사소통능력 강화방안" 사업을 통해 개발된 한국형 해사영어 커리큘럼의 수립 과정과 그에 따른 컨텐츠 제작 과정을 공유하고, 향후 개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표를 통해 커리큘럼을 수립을 위한 선행 연구 과정(국제해사기구, 국제민간항공기구 및 국제항로표지협회 등의 국제 가이드라인 검토 및 분석, 특수목적영어 교육훈련기법 외), 교육 커리큘럼 수립(IMO 해사영어모델코스 및 표준해사통신용어 분석 및 재편성), 교육 컨텐츠 구성(실제 선사 유관 자료의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교육 훈련 교재 개발(교재, 학생용 워크북, 교사용 워크북, 음원) 등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소개하고, 이에 대한 결과물을 공유하며, 향후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