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울타리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Vehicle Impact Simulation of Composite Safety Barriers (복합소재 방호울타리의 차량 충격 시뮬레이션)

  • Kim, Seung-Eock;Jeon, Shin-Youl;Hong, Kab-Eui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13-4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를 개발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강재 교량용 방호울타리와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구조적 강도 성능 측면에서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경우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변형이 31.7%로 감소하여 강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보다 강도 성능이 우수하였다. 탑승자 보호 성능 측면에서,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THIV 47.1%, PHD 49.0%로 감소하여 강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보다 탑승자 보호성능이 우수하였다. 충돌 후 차량의 거동 측면에서,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이탈속도가 증가하고 이탈각도가 감소하여 강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보다 충돌 후 차량의 거동이 우수하였다.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비산 측면에서, 강재 및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비산이 발생하지 않았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S2 type Bridge Rails (S2급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성능비교 연구 (F형 콘크리트와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를 중심으로))

  • 정봉조;주재웅;이성관;장명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2
    • /
    • pp.117-124
    • /
    • 2002
  •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기존 시설에 비해 충격흡수기능과 조망권 확보, 융설작업,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를 건설교통부의 $\ulcorner$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 교량용 방호울타리 편. 1999$\lrcorner$ 의 설계기준에 따라 기존 고속도로에 사용하고 있는 F형 콘크리트 교량용 방호울타리와 성능비교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교평가는 S2급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시험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소형승용차를 대상으로 한 운전자의 안전도 평가에서는 두가지 시설 모두 강도성능, 충돌 후 차량 안전성능 구성 부재 비산 억제 성능 등 세 가지 기준을 만족하였으나, 가속도 기준에 있어서는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기준인 20g 이하인 18.2605g로 나타나 안전기준을 만족하였고, F형 콘크리트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20.1791g로 나타나 기준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기준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대형차량을 대상으로 한 방호울타리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F형과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모두 평가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국내 최초로 모의충돌시험과 실물차량 충돌시험을 통해 개발하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성능측면에서도 기존의 시설에 비해 충분히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측정시설의 미비로 충돌후의 차량의 이탈속도나 이탈각도에 대하여 만족할 만한 수준의 결과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Design and Analysis of Rockfall Prevention Fence (낙석방지울타리의 설계 및 해석)

  • Mun, Ji-Ho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34 no.3
    • /
    • pp.27-36
    • /
    • 2021
  • 본 기사에서는 낙석방지울타리의 설계 및 해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국내에는 50kJ급의 표준 낙석방지울타리가 널리 적용되고 있지만 이보다 더 큰 낙석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50kJ급보다 작은 낙석에너지에 저항할 수 있는 경제적인 낙석방지울타리도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낙석방지울타리를 사면의 특성에 맞도록 설계를 하여야 하며 성능을 검증하여야 한다. 이 때 실험적 성능검증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함으로 해석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경제적인 성능검증을 할 수 있다. 이에 낙석방지울타리에 대한 기존 해석적 연구를 소개하였으며 이와 유사한 방법을 통하여 새로운 낙석방지울타리의 설계 혹은 성능보강 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emporary Fence as a Ground Electrode (접지전극으로서의 가설울타리 활용방안에 관한 고찰)

  • Park, Su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7-12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건설현장에 설치하는 가설울타리와 접지동봉을 매설하여 접지저항을 측정하였다. 접지저항을 측정한 결과 접지동봉은 10.8Ω이고, 가설울타리는 2.07 Ω이었으며, 이는 가설울타리가 접지전극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가설울타리를 특별고압설비나 피뢰설비 등의 접지전극으로 활용할 때 가설울타리에 접지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위가 상승하고 접촉전압이나 보폭전압 등으로 인하여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설울타리를 접지전극으로 활용하는 때는 신중해야 한다. 감전이나 화재 등의 위험이 없도록 안전조치를 한 상태에서 가설울타리를 접지전극으로 제한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and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by Vehicle Crash Simulation (차량 충돌 시뮬레이션에 의한 강재 및 복합소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성능 비교)

  • Kim, Seung-Eock;Cho, Pan-Kyu;Hong, Kab-Eui;Jeon, Shin-Youl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3 no.2
    • /
    • pp.175-182
    • /
    • 2010
  • A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has been develop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has been compared with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s the structural strength performance,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is superior to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according that the deformation of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is 17.0% of that of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As the passenger protection performance,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is superior to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according that THIV and PHD of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are 47.1% and 49.0% respectively of those of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As the behavior of the vehicle after crash, the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is superior to the steel safety barrier for bridge showing the increased exit velocity and the reduced exit angle. Both of the steel and composite safety barrier for bridge are not scattered in the analysis.

A Study on the Safety Performance of Roadside Barriers by Collision Analysis (방호울타리 안전성능에 관한 충돌해석 연구)

  • Lee, YounghHo;Song, Jae-Joon;Lee, Sang-Y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1
    • /
    • pp.5558-5565
    • /
    • 2012
  • Roadside barriers are facility for preventing cars from out of path, and 7 classes of barrier are prescribed in criteria of road grades and speed limit, etc. However, overload and overspeed are increased according to improvement of vehicle performance, and falling over frequently occur in vehicle accident related in barriers. Therefore, enhancement of the existing design criteria of roadside barriers is demanded. In this research, vehicle crash simulation was carried out, and the condition for fracture of roadside barriers and vehicle overturn was evaluated in order to verify the defence performance of the barriers, which are SB5 steel barrier and SB6 concrete barrier adapted mainly to highway.

Estimation of Absorbing Capacity from Rockfall Protection Fences (도로 낙석방지울타리의 낙석지지능력 평가 연구)

  • Hwang, Yo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3 no.4
    • /
    • pp.59-66
    • /
    • 2002
  • Designs for rockfall protection systems must consider rock and soil types, the angle of the slope, conditions on top and the toe of the affected area. Rockfall protection fence is installed to block for falling rock from cut slopes and this is one of the most common rockfall protection measures. The capability of the fence is provided that sum of capability of poly vinyl chloride coated wire mesh, steel support and wire rope respectively. But in some case, the rockfall protection fence was not supported rockfall energy less than total capability of the fence through the full scale rockfall tests.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indicate the problems of fence capability and to improve the design specifications for the fence.

  • PDF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xpanded Metal Rockfall Protection Fence

  • Hwang, Young-Cheol;Kim, Bum-Joo;Noh, He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6 no.3
    • /
    • pp.35-45
    • /
    • 2005
  • The rockfall protection fence is one of the most common rockfall protection methods in Korea. The typical rockfall protection fence consists mainly of three parts ; H-beam supports, wire meshes, and wire ropes. The design of the rockfall protection fence is made such that the total energy absorbing capacity of the fence. Therefore, resulting from the combined energy absorbing capacity of the three parts is larger than the falling energy of rocks. In present study, a new rockfall protection fence, constructed using expanded metals instead of the existing wire rope and wire mesh for the typical type of rockfall protection fence, was evaluated on its performance by conducting both laboratory and field tests. Also, for a comparison, the same tests were performed on the typical rockfall protection fence. The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anded material is an economic alternative to the existing protection materials and the expanded metal rockfall protection fence exhibits the higher energy absorbing capacity compared to that of the typical rockfall protection fence.

  • PDF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Design Guides of Rockfall Protection Barriers (낙석방지 울타리에 대한 국내.외 설계 지침 비교)

  • Kim, Dong Seong;Kim, Kee Dong;Ko, Man Gi;Kim, Kyoung Ju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3-183
    • /
    • 2011
  • 전 국토의 65%가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우리나라는 도로개설 및 산업기지 건설, 대규모 주택단지 개발 등으로 자연사면을 변형시키는 규모나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기상이변에 의한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절토사면에서 낙석이 발생할 위험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낙석방지를 위한 대책공법으로는 낙석방지 망, 낙석방지 울타리 등이 있으며 이중에서 낙석방지 울타리는 국내의 국도 낙석방지 대책공법 중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설계지침에는 낙석방지 울타리에 대한 다양한 성능등급과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시험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낙석방지 울타리를 선정하고 낙석방지 울타리들의 성능을 비교검토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유럽의 경우 유럽연합 출범이후 낙석방지 시설에 대한 통합기준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유럽 여러 나라의 성능평가 방법과 스위스의 설계지침을 고려하여 2008년에 유럽 통합 지침인 ETAG 27을 제정하였다. ETAG 27에는 낙석방지 울타리의 성능등급이 100kJ~4,500kJ이상 9등급으로 분류되어 있고 성능등급 별로 Service Energy Level과 Maximum Energy Level에 대하여 실물시험을 통한 성능평가 시험과 구성요소에 대한 검증시험을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실물시험은 낙석에너지의 산정과 낙석질량의 타격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토록 규정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주별로 상이한 설계기준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2003년에 스위스의 설계지침을 준용하여 통합기준인 NCHRP Report 20-07을 결정하였다. NCHRP Report 20-07에는 낙석방지 울타리의 성능등급이 100kJ~5,000kJ까지 9등급으로 분류되어 있고 성능등급 별 낙석질량이 규정되어 있으며 등급별 낙석에너지의 50%와 100%에 대하여 실물시험을 통한 성능평가 시험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실물시험은 낙석에너지의 산정과 낙석질량의 타격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토록 규정되어 있다. 낙석방지 울타리에 대한 국내 설계지침과 유럽과 미국의 설계지침을 비교분석하고 국내에서 수행된 실물실험을 통한 성능평가 연구결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구성요소의 역학적 특성변화가 전체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국내 설계 지침에 제시된 낙석방지 울타리에 대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국내 설계지침은 현장여건에 따라 적절한 낙석방지 울타리를 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성능등급을 규정하고, 낙석방지 울타리의 성능을 합리적으로 비교검토 할 수 있게 하는 표준화 성능평가 시험방법과 평가기준을 정립하며, 구성요소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는 구성요소의 검증시험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충격완화형 철재 중앙분리대의 개발

  • 유경수;윤태양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4
    • /
    • pp.12-21
    • /
    • 1997
  • 차량충돌에 대하여 운전자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새로 개발한 철재 중앙분리대에 대한 안전성 분석을 위하여 인체모형을 탑재한 실물차량 충돌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체모형의 두부와 흉부, 대퇴부 및 차량의 무게중심점에서 가속도와 충격하중을 계측하여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에 차량충돌시 운전자의 안전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는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에 비해 운전자의 신체 상해치와 차량파괴 등에 있어서 뛰어난 충격흡수성능을 보여주었다. 2)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는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의 경우 빈번히 발생하는 차량전복과 같은 2차사고의 유발 가능성이 전혀 없는 구조적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3) 경량의 차량충돌에 대하여 자체 탄성영역내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함을 나타냈다. 4) 충돌 수 충돌차량에 대한 차량유도성능이 뛰어났으며, 차량의 충돌후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내로 나타났다. 5)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로부터 분리된 파편이 거의 없어 도로소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