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울산연안 하천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in Riverine Waters of Ulsan Coast, Korea (울산연안 하천에서 다환방향족탄화수소 분포특성)

  • You, Young-Seok;Lee, Jeong-Hoon;Park, Jeong-Chae;Kim, Dong-Myung;Cho, Hyeon-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5
    • /
    • pp.398-405
    • /
    • 2012
  •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coastal area and estuary adjacent to urban area and industrial activities region are mainly introduced into marine environment via atmosphere and river. This study which is evaluat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AHs discharge from rivers and sewage disposal water which flowing into Ulsan bay, and were carried out in Jun of dry season and in Auguest of wet season, 2008. The water samples from eight main rivers and Youngyeon WWTP(Wastewater Treatment Plant) flowed into Ulsan bay were taken for analysis of dissolved PAHs. The range and mean values of dissolved PAHs concentrations showed 10.30 to 87.88 ng/L, its mean 36.94 ng/L in dry season and 10.30 to 69.57 ng/L, its mean 24.37 ng/L in wet season. The distribution of dissolved PAHs showd the high concentrations in the Gungcheoncheon which is flowed from urban and industrial area. The ranges and means values of the loading fluxes were estimated with 0.04 to 8.27 g/day, its mean 2.05 g/day in dry season, and 0.03 to 4.77 g/day, its mean 1.61 g/day, in wet season. The loading flux showed the highest value in Taewha river due to the high flow rate and the urban activity. The composition patterns of dissolved PAHs compound showed most of the trend occupying low molecuar weight PAHs than high molecular weight PAHs. These results were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Hs compound, and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studies. The concentrations of dissolved PAHs in this study are lower than those of other studies, and the level of PAHs pollution appeared to be not serious in reverine waters of Ulsan coast.

A study of topography fluctuation from the HEOYA estuary considering mixed grain size (혼합입경을 고려한 회야강 하구에서의 지형변동에 관한 연구)

  • Park, Hae-Sung;Lee, Seong-Dae;Kim, Se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16-1720
    • /
    • 2007
  • 연안 해역에서의 표사는 하천에서의 유사가 주요한 공급원이므로 산지-하천-해안을 통합한 유사 및 표사에 관한 관리가 필요하며, 해안수리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강성 연안구조물의 건설을 통하지 않고 연안에서의 침식을 억제해야하는 방지대책의 수립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연안에서의 침식, 퇴적관계는 토사공급원의 장기적인 확보여부가 중요하며 하천에서 해안역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예측하고 또한 이들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안 해역으로 이송되어 가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연안표사문제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천에서 연안 해역으로의 유사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리고 하천 유사량이 하구에 사주를 형성하고 어떤 형태를 거쳐 연안표사로 이동하는가 하는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회야강의 하구폐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연구의 관심이 되어오고 있으며, 1986년 회야강 상류 회야댐 건설 이후 하구폐색이 가속화됨에 따라 매년 회야강 하구에서의 준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회야강 하구부에서는 파랑류, 취송류와 하천류 뿐만 아니라 해류나 조류 등에 의한 흐름과 지형특성등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하구현상에 의해 하구에서의 사주 발달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하구폐색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의 대책으로 최근 회야강 하구부에 도류제가 건설되었으며 이에 따른 장기적인 하구부 하상변동특성과 토사이동의 특성 파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관점에서 회야강 하구부의 도류제 설치에 따른 하구에서의 지형변동과 유송토사량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천 상류부에서는 동적 평형상태의 유사량을 가정하고 하상재료 및 유사는 혼합입경으로 하여 하상고 및 하상교환층 중의 입도조성의 시간변화를 구하여 1차원적인 하상변동과 토사이동 특성을 해석하였다.했을 때, 대표입경을 통해 얻은 조도계수가 보정 조도계수보다 다소 작은 것으로 해석되었다.하고자 한다.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Flood Damage Estimation of Coastal A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연안지역의 홍수 피해액 산정)

  • Kim, Kyung Tae;Kim, Yon Soo;Kim, Soo Jun;Choi, Chang Hy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87-587
    • /
    • 2015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발생 가능한 자연재난들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활발히 수행중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후변화 연구들은 강수량의 증가와 해수면의 상승을 구분하여 재난의 영향을 평가하는데 그쳤고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한 요소들의 복합적인 고려와 이로 인한 홍수 피해액 산정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쪽 산지에서 발원하여 울산 시가지를 관통하고 동해로 유입되는 태화강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고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연안 지역과 인접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기후변화 따른 미래 강수량과 함께 해수면 상승의 복합적인 고려를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이 연안지역의 수문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이 연안지역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강수의 증가량과 해수면의 상승량에 따른 홍수범람도를 작성 비교하였고 이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홍수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하천의 기점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전체적인 홍수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수위 상승은 하구에 가까울수록 상승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심 및 피해지역의 변화는 홍수 피해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안지역에 위치한 하천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의 증가뿐만 아니라 해수면 상승량의 변화도 계획홍수위, 홍수범람 및 홍수 피해액에 분석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연안 지역의 취약성 평가 기술과 풍수해 자연재난 위험의 대응방안 마련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due to the Construction of Jetty at the Heoya-River Mouth, Ulsan (울산 회야강 하구 도류제 건설에 따른 표사이동 특성)

  • Lee, Seong-Dae;Kim, Bo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4
    • /
    • pp.477-486
    • /
    • 2014
  • Integrated sand control including sediment discharge from hinterland rivers is necessary to maintain coastal sand resources over a long term. In this regard, the following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efficient ways to transfer discharged sand from a river to the neighboring coast, measures to improve storage efficiency of the discharged sand at the river delta and/or river terrace, measures to prevent the sand resources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deep sea during flooding. From the 1997 to January 2004, the jetty of 156 m length was constructed the Heoya-river mouth to protect the blockade of river mouth. Several tes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transport and morphological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jetty at the Heoya-river mouth. Firstly, The sand discharge from Heoya river is quantified by on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ssuming the mixed sand of three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Also the numerical mode system, which predicts the sea bed changes obtained from the Bailard's energy model(1981), was combined with the wave, wave-induced currents and sediment transport models. Then, to understand the changes to the blockade of the river mouth, several aerial photographs were compared, which showed that the changes were significant.

Heavy Metals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During Summer Of 1977 (여름철 한국 연안해수중의 중금속 함량)

  • Lee, Kwang Woo;Kwak, Hi-Sang;Lee, Soo Hyung;Lee, Dong Soo
    • 한국해양학회지
    • /
    • v.14 no.1
    • /
    • pp.1-5
    • /
    • 1979
  • In order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of coastal water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six coastal areas of Korean peninsula during summer of 1977, and analyzed for Cd, Cu, Fe, Pb and Zn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heavy metal pollution in most parts of the studied areas in comparison with results of other countries in literature. However, strong possibility of some specific heavy metal pollution is shown in the specific areas, such as Cu and Pb in the Sea off Cunsan, Pb in Kwangyang Bay and Cd and Pb in Ulsan Bay.

  • PDF

The Assessment of Trophic State and the Importance of Benthic Boundary Layer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한국남부 연안의 영양상태 평가와 저층 경계면의 중요성)

  • 이재성;김기현;김성수;정래홍;박종수;최우정;김귀영;이필용;이영식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9 no.4
    • /
    • pp.179-195
    • /
    • 2004
  • The trophic state of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ern part of Korea was assessed using biogeochemical data obtained from the 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Monitoring Program conducted by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for six years. The trophic state of different areas, analyzed by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alysis, could divide the areas into three groups. Masan Bay, with suboxic water masses and/or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and phosphorus occurred, was assessed as being in a hypertrophic state. Ulsan Bay, Onsan Bay, Busan and Jinhae Bay, located near strong point sources, were in a eutrophic state. Other areas, including Tongyong, Yosu, Mokpo and Jeju island, were evaluated as being in a mesotrophic state. During 1997 to 2002, the average values of excess nitrogen,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the corrected DIN using the Redfield ratio, were positive at Ulsan, Onsan, and Busan, where there were inflows from polluted rivers. In contrast, those were negative values in Haengam Bay, Gwangyang Bay and nearby Yosu. This suggests that the limiting element for phytoplankton growth differed among sites. The time series data of excess nitrogen showed gradual decrease over time in the hypertrophic waters, but the opposite trend in the mesotrophic waters. This indicated that the ratio of nitrogen to phosphate varied according to the trophic state of the coastal waters. The enrichment of organic matter in sediment in eutrophic waters would disturb the normal pattern of biogeochemical cycling of nitrogen and phosphate. In order to assess the condition of the coastal environment, the benthic boundary layer should be considered.

A Study on Drift and Sediment Transport near Heoya-River Estuary (회야강 하구에서의 표사 및 유사 이동특성)

  • Lee, Sueng Dae;Lee, Geun Il;Kim, Muen J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17-217
    • /
    • 2011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회야강의 하구폐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주목을 받아서 연구 되어오고 있다. 하천의 하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파랑류, 취송류와 하천류 뿐 아니라 해류나 조류 등의 영향도 받는다. 회야강 하구는 이러한 흐름과 더불어 독특한 지형이 영향을 주어서 더욱 복잡한 흐름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복잡한 흐름의 영향으로 회야강 하구에서 사주가 강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하구폐색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04년 진하 방사제를 설치하였으나 이후에도 하구폐색이 계속 진행되었기 때문에 정기적인 준설로 하구폐색을 막고 있는 실정이다. 근본적으로 하구폐색을 막기 위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하상변동특성과 표사 및 유사의 이동 특성에 대한 과학적인 해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해역에 가장 큰 영향인자로 예상되는 하천류와 해빈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하천류 검토를 위해서는 회야강에서 유출하는 유사량을 혼합입경의 관점에서 실험하였고, 도류제 설치 유무에 따른 하구역에서의 지형변동 및 하구폐색현상을 해석하였다. 해빈류 검토에서는 파랑에 의한 회야강 하구인근에서의 흐름장과 침퇴적 해석을 통해 하구 인근해역의 지형변동특성을 고찰하였다. 회야강 하구에서 혼합입경($d_{10}$, $d_{50}$, $d_{90}$)을 고려하여 하천류의 수치실험을 수행한 결과 유출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구역의 하상고가 점차 상승하여 하구사주가 발달하고 이로인하여 하구폐색이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또 유송토사량에 대한 해석결과 홍수량 증가에 비례하여 유송토사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평수시에는 하천의 유출량이 미소하여 하구폐색현상의 주외력은 파랑에 의한 해빈류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같은 외력조건에 의해 하구에서 연안사주 발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파랑에 의한 해빈류가 회야강 하구에서 순환류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의 결과로 도류제 설치 후에도 하구부 인근해역에서 퇴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in relation with Coastal Current and Stratification of Water at the Semi-enclosed Estuary (반폐쇄하구에서의 유동 및 성충구조에 관한 시뮬레이션)

  • Lee, Woo-Chul;Lee, Joong-Woo;Park, Dong-J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6
    • /
    • pp.565-572
    • /
    • 2004
  • Residual current plays more important role than the tidal current for long-term material transport in coastal areas. The main component of residual current is tide-induced residual current. Otherwise, wind driven current and buoyancy-driven current are important components which change the residual current.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 of coastal current, application of a three -dimensional model is necessary. This study focuses on clarifying the stratified systems of coastal water affected by freshwater runoff from a river and analyzes the structure of current at Ulsan bay by applying a three-dimensional buoyancy-driven current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 of “Ulsan bay” study, it shows that the surface layer in semi-enclosed estuaries, which affected by freshwater runoff. has flows going out, and the bottom layer has flows coming in. Besides when the wind blows toward inside of the bay, the surface layer has flows coming in and the bottom layer has flows going out as compensation flows for the surface circulation. The results of simulation could be applicable to examine vertical upwelling, which might be caused by construction of artificial fishing reef to build aqua farm, submerged breakwater to control coastal sediment, and the formulation of oceanic ridge, or a basic study on application to the usage of deep water.

On the Variations of Monthly Mean Sea Levels along the Coast of Korea (한국연안의 월평균해면의 변화에 대하여)

  • Sok-UYi
    • 한국해양학회지
    • /
    • v.2 no.1_2
    • /
    • pp.24-33
    • /
    • 1967
  • The variations of monthly mean sea levels along the coast of Korea anre studied graphic and harmonic methods with the data from 9 tides stations and compared with the variations of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changes in density of sea water measured near some of the stations. The monthly mean sea level generally rises in Summer to Autumn, and falls in Winter to Spring and its range is from 20 cm to 50 cm. The variation of monthly mean sea level is of annual type, having one maximum and one minimum. The semi-range of annual components is 10.5 cm at Pusan and increases to the north in the west coast, to 20.8 cm at Inchon. It's phase is, on the whole, similar for the entire coast with about 210 (middle of August), except at Inchon, 200 . The variation of monthly mean sea level is mainly isostatic, or caused by those of sea water density and atmospheric pressure. Especially, the steric effect is predominant on the south- east coast around Pusan. However, in shallow long bays and estuaries on the west coast, the river runoff effect as well as local wind effect is also considerable. Magnitudes of annual variations at each stations are not constant, but widely variable from year to year. On the east and south coast, especially at Ulneungdo and Pusan the variations are large, which seem to be connected with the shifting of main current axes or current patterns in the offing.

  • PDF

Status and plan of 'Operation rule improv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Nakdong estuary'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 용역' 추진현황 및 계획)

  • Noh, Hee Kyung;Ryu, Hyung Kwan;Ryu, Jong Hyun;Kim, Hwa Young;Chun, Ja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22
    • /
    • 2020
  • 낙동강 하굿둑(이하 하굿둑)은 1987년 부산 사하구와 강서구 사이에 건설되어 하류 지역의 바닷물 유입을 막아 부산, 울산, 경남 등에 안정적으로 생활·농업·공업 등의 분야에 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해왔다. 현재, 하굿둑의 수문은 낙동강 상류로부터 하류로 흘러내려오는 민물(담수)을 방류하기 위해서만 하굿둑 수문을 개방하고 있다. 하구는 하천의 담수와 바다의 염수가 서로 만나는 구역으로 바닷물과 염수의 밀도차에 의한 혼합으로 자연상태의 하구에서는 담수와 염수가 섞이는 기수역이 형성되며, 이러한 특성으로 하구 인근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인 하천 및 해양, 연안과는 분명히 구별되는 생태계가 조성된다. 하굿둑 건설이후 바닷물(해수)과 민물(담수)이 만나는 낙동강 어귀에 기수생태계가 사라지면서 바닷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하굿둑이 지역에 기여해온 사실은 분명하나 하굿둑으로 인해 생태계 단절이 발생하고 기수생태계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굿둑을 개방하여 과거 기수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하굿둑의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해서 관계기관 합동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효율적인 개방 방안을 모색하는 실무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 중이고, 실무협의회 논의를 통해 5개 주요 관계기관(환경부, 국토부, 해양수산부, 부산광역시, K-water) 공동으로 "낙동강하굿둑 운영개선 및 생태복원 방안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2018년 1단계 용역이 완료되었으며, 2019년부터 2단계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고 하굿둑 개방의 수준별로 각종 영향을 검토한 후 대책을 마련하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단계 연구용역에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기수생태계 복원방안 마련을 위해서 실제로 해수를 유입시키는 3차례의 실증실험 및 수리모형실험 등을 추진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도 수문개방에 따른 해수유입 영향에 대해 모델링을 통해서 분석했지만 이는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로 이번 용역에서는 실제 해수를 유입시키고 염분의 침투 및 각종 수생태 영향을 모니터링 한 후 그 결과를 반영하여 모델링을 고도화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고도화된 모델링 결과를 기반으로 기수생태계 조성 방안별로 염분, 수질, 수생태, 침퇴적 등 각종 분야에 대한 정확한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이 계획에만 그치지 않고 실행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대를 형성해 나아가고 있으며 지역주민, 전문가, 관계기관 등 민(民)·관(官)·학(學)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하구지역내 수량-수질-수생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원 방안을 마련 후 사회적인 합의를 추진하여 확정할 예정이며, 하구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AI 등 4차 산업혁명기술을 적극 적용하는 스마트한 하구물관리(Smart Estuary Watershed Management)"를 활용한 "하구통합물관리" (Estuary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등 과학적인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