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울산만

Search Result 2,87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Comparing Connectivity in Forest Networks of Seven Metropolitan Cities of South Korea (국내 7대 광역시 산림 연결성 비교 분석)

  • Kang, Wanmo;Kim, Jiwon;Park, Chan-Ryul;Sung, Joo Ha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6 no.2
    • /
    • pp.93-102
    • /
    • 2014
  • This quantitative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onnectivity of forest networks in seven metropolitan cities of South Korea using a graph-theoretical approach. We first estimated an overall network connectivity at multi-scales (i.e., dispersal distances), ranging from 100 m to 20 km, and quantified the contribution of small forest patches (less than 10 ha) to the overall network connectivity by comparing networks according to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mall ones. As a result, the cit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network connectivity; one group of cities with high connectivity such as Daegu, Daejeon, and Ulsan and the other group of cities with low connectivity including Gwangju, Busan, Seoul, and Incheon. The result showed that small forest patches, especially in the cities with low connectivity, played a key role as stepping stones that connect large forested patches, thereby contributing to maintaining connectivit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large and well-connected forest areas may be the key factor to preserve the connectivity in the cities with high connectivity, while the cites with low connectivity are in need of some complementary strategies. Through the study, we suggest that the creation of new forest patches in the areas where a gap in connectivity presents is needed in order to improve connectivity; and that the conservation of the existing small forest patches is essential in order to maintain the current connectivity level.

Model Specification and Estimation Method for Traveler's Mode Choice Behavior in Pusan Metropolitan Area (부산광역권 교통수단선택모형의 정립과 모수추정에 관한 연구)

  • Kim, Ik-Ki;Kim, Kang-Soo;Kim, Hyoung-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3 s.81
    • /
    • pp.7-19
    • /
    • 2005
  • Mode choice Analysis is essential analysis stage in transportation demand forecasting process. Therefore, methods for calibration and forecasting of mode choice model in aspect of practical view need to be discussed in depth. Since 1980s, choice models, especially Logit model, are spread widely and rapidly over academic area, research institutes and consulting firms in Korea like other developed countries in the world. However, the process of calibration and parameter estimation for practical application was not clearly explained in previous papers and reports. This study tried to explain clearly the calibration process of mode choice step by step and suggested a forecasting mode choice model that can be applicable in real policy analysis by using household survey data of Pusan metropolitan are. The study also suggested a way of estimating attributes which was not observed during the household survey commonly such as travel time and cost of unchosen alternative modes. The study summarized the statistical results of model specification for four different Logit models as a process to upgrade model capability of explanation for real traveler's choice behaviors. By using the analysis results, it also calculated the value of travel time and compared them with the values of other previous studies to test reliability of the estimated model.

Dynamic Water Quality Simulation Considering Nonpoint Sources in Nakdong River (비점오염해석과 연계한 낙동강에서의 동적 수질모의)

  • Han, Kun-Yeun;Choi, Hyun-Gu;Kim, Ji-Sung;Yun, Young-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33-437
    • /
    • 2007
  • 최근 환경부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오염총량관리제도의 시행에 따라 이제까지의 배출구 수질기준으로부터 총량수질기준을 통한 수질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오염총량관리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주요지천 및 폐수처리장에서의 수질개선 및 비점오염원 관리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낙동강 유역에 적합한 최적 수질해석 모델의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수질모델의 가장 큰 목적은 유역으로부터 발생한 오염물이 하천으로 유입되었을 때 하천 수질 및 생태계의 수학적 표현을 통해 장래의 수질을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에 따라 합리적인 수질관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낙동강은 대표적인 수지상 하천망의 형태로서 댐 방류량 및 지류유입량은 본류 수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질해석의 기본이 되는 수리계산에 매우 중요한 변수가 된다. 또한 대구, 구미, 왜관, 김천 등에서의 오염부하가 금호강, 남강 등의 주요 지류를 통하여 본류부로 유입되고 있으며, 하류부 칠서, 원동, 매리, 물금 등에서는 대량의 하천수를 취수하여 부산, 울산, 마산, 창원 지역 등의 생활 및 공업용수의 원수로 사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댐 방류량, 낙동강 하구언의 수위조절, 지류 유입량, 비점원 유입량 등 계산영역 경계에서의 비정상상태의 수리조건과 수질관리 계획에 의해 일률적으로 오염이 부하되는 정상상태의 수질조건이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에 적합한 동적 수질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치모형은 갈수저수조건 및 불규칙한 하도단면을 반영하고, 동적 상태의 댐 방류량, 낙동강 하구언의 수위조절 영향, 지류 유입량 등 다양한 하천조건에서 발생하는 동적 흐름을 안정적으로 해석하여 낙동강 수질해석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서 낙동강에 유입된 오염물질이 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동적수질해석에 의한 모의결과는 유량의 경우 상류부분은 모의치와 실측치가 잘 일치하지만, 중류 이후 지류의 유입이 많아지면서 지류의 변화를 정확히 입력하지 못해 모의치와 실측치의 차이가 발생한다. BOD의 경우는 수질이 양호한 상류지역은 모의치와 실측치가 잘 일치하지만, 오염원의 유입이 많은 중류지역부터는 실측치와 차이를 나타내다가 하류지역에서 다시 비교적 일치함을 알 수 있다. TN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실측치보다 높게 모의되었고, TP는 전반적으로 실측치와 비교하여 잘 모의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동적 수리해석모형 및 동적 수질해석모형은 낙동강 유역에 대해 유량 및 수질 등의 실제 하천의 경향에 비교적 잘 반영하므로 오염물총량규제에 따른 합리적인 하천 수질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Coastal Urban Flood Warning Alarm Rule Using Real Hydrologic Monitoring Observation (실 수문관측을 통한 해안도시홍수 경보발령기준안 검정)

  • Shin, Hyun-Suk;Kang, Doo-Kee;Kim, Hong-Tae;Song, Yo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36-340
    • /
    • 2007
  • 국내 산업 및 기능적 측면에서 중추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부산 울산 인천 등 전체 도시의 40%를 이루고 있는 해안도시들이 하천범람과 같은 홍수피해, 해일피해 등에 대한 체계적인 대비가 전무한 실정으로서 본 연구는 모형화 기법을 이용하여 해안도시홍수 경보발령 기준안을 도출하고 이를 실 수문관측 자료를 이용한 검정을 통해 경보발령 기준안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대상유역은 대표적 해안도시하천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부산시 온천천유역으로 강우-수위 관측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운영을 통해 10분 간격 강우 및 수위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수위 자료는 수위 유량 관계곡선을 이용하여 유량으로 환산하였다. 미계측 상태에서의 수리 수문 모형화를 통해 도출된 경보발령기준안에 대한 평가 및 문제점 도출을 위해 본 연구는 유역내 실시간 수문관측을 통해 얻은 강우 및 유출 특성 자료를 이용하였다. 대상 유역내 경보발령 지점인 세병교 지점의 20분 누가기준 경보발령 기준우량은 한계수위 $H_{c1},\;H_{c2},\;H_{c4}$인 경우 각각 4mm, 5mm, 6mm로서 20개월 동안 이러한 기준을 이용하여 관측된 강우사상 중 경보발령 기준안의 평가가 가능한 26개의 강우사상을 분류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약 60%의 강우사상(case_1)이 성공한 경보발령 기준우량 임을 관측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발생강우에 대해 $20{\sim}150$분의 대피여유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경보발령에 실패한 40%의 강우사상은 발생 강우의 총강우량이 대체적으로 적은 경우 및 지속기간 동안 경보발령기준에 준하는 강우를 발생하였으나 수위에 영향이 미비하여 한계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case_2), 20분 누가강우는 기준에 도달하지 않았으나 강우 지속시간이 길어 이미 선행강우로 인해 경보발령 이전에 한계수위를 넘어서는 경우(case_3)로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패한 경보발령의 경우에 대한 원인분석 결과, 기존의 모형화를 통해 고려되지 못하였던 해안도시 홍수의 특성 중 총강우량에 대한 고려, 선행강우 여부 및 강우 지속시간, 지속시간 내 강우집중도 그리고 선정지점 내 조위의 영향과 유역내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의 영향 등 자연유역과는 다른 다소 복잡한 요소를 고려한 해안도시홍수 경보발령 기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f topography fluctuation from the HEOYA estuary considering mixed grain size (혼합입경을 고려한 회야강 하구에서의 지형변동에 관한 연구)

  • Park, Hae-Sung;Lee, Seong-Dae;Kim, Seong-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16-1720
    • /
    • 2007
  • 연안 해역에서의 표사는 하천에서의 유사가 주요한 공급원이므로 산지-하천-해안을 통합한 유사 및 표사에 관한 관리가 필요하며, 해안수리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강성 연안구조물의 건설을 통하지 않고 연안에서의 침식을 억제해야하는 방지대책의 수립 요구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연안에서의 침식, 퇴적관계는 토사공급원의 장기적인 확보여부가 중요하며 하천에서 해안역으로 공급되는 유사량을 예측하고 또한 이들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연안 해역으로 이송되어 가는가를 파악하는 것은 연안표사문제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천에서 연안 해역으로의 유사량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그리고 하천 유사량이 하구에 사주를 형성하고 어떤 형태를 거쳐 연안표사로 이동하는가 하는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에 위치한 회야강의 하구폐색은 1990년대 중반부터 연구의 관심이 되어오고 있으며, 1986년 회야강 상류 회야댐 건설 이후 하구폐색이 가속화됨에 따라 매년 회야강 하구에서의 준설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회야강 하구부에서는 파랑류, 취송류와 하천류 뿐만 아니라 해류나 조류 등에 의한 흐름과 지형특성등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하구현상에 의해 하구에서의 사주 발달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하구폐색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의 대책으로 최근 회야강 하구부에 도류제가 건설되었으며 이에 따른 장기적인 하구부 하상변동특성과 토사이동의 특성 파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관점에서 회야강 하구부의 도류제 설치에 따른 하구에서의 지형변동과 유송토사량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천 상류부에서는 동적 평형상태의 유사량을 가정하고 하상재료 및 유사는 혼합입경으로 하여 하상고 및 하상교환층 중의 입도조성의 시간변화를 구하여 1차원적인 하상변동과 토사이동 특성을 해석하였다.했을 때, 대표입경을 통해 얻은 조도계수가 보정 조도계수보다 다소 작은 것으로 해석되었다.하고자 한다.해결책을 얻어내는 상호보완적인 결과를 추구한다. 그가 디자인하는 작품은 전형적인 이미지를 내포하지 않는다. 즉 그의 작품은 기존의 가치와 이념적인 것은 배제하고, 창의적인 개념을 도출하였다.형모서리는 건물 특화 성격이 강하므로 불가피할 경우 소형 액센트 광고 위치를 미리 벽면으로 할애하는 것이 경관 및 입면계획에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불확실도 해석모형 등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모든 입출력자료는 프로젝트 단위별로 운영되어 data의 관리가 손쉽도록 하였으며 결과를 DB에 저장하여 다른 모형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HyGIS-HMS 및 HyGIS-RAS 모형에서 강우-유출-하도 수리해석-범람해석 등이 일괄되게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HyGIS와 통합된 수리, 수문모형은 국내 하천 및 유역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서 향후 HydroInformatics 구현을 염두에 둔 특화된 국내 수자원 분야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기본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았다. 또한 저자들의 임상병리학적 연구결과가 다른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신증후군의 연구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해석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생다시마를 주원료로 개발된 생다시마차와 생다시마 음료가 만성 기능성 변비 증세를 개선하는 효능이 잠재적으로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cidotolerant Heterotrophic and Naphthalene­Degrading Bacteria in Acidic Soils (산성토양에서 내산성 종속영양세균과 나프탈렌분해세균의 분포 및 특성)

  • Moon Yong-Suk;Chu Kwang-Il;Kim Jongseol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0 no.4
    • /
    • pp.313-319
    • /
    • 2004
  •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acidotolerant heterotrophic and naphthalene-degrading bacteria were investigated in two forest areas, one near Ulsan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lex (Sunam) and the other in countryside (Daeam). Average values of soil pH at Sunam and Daeam were 3.8 and 4.6, respectively. When het­erotrophic and naphthalene-degrading bacteria were enumerated by most probable number (MPN) procedures at Sunam, the median values of heterotrophs growing at pH 7.0 and pH 4.0 were $5.3{\times}10^7\;and\;3.3{times}10^7$ MPN/g, whereas those of naphthalene-degraders were $5.6{\times}10^4\;and\;4.0{times}10^5$ MPN/g, respectively. While the medians of heterotrophs at Daeam were larger than those at Sunam, the concentrations of naphthalene-degraders were higher at Sunam compared to those at Daeam. From the MPN tubes and enrichment cultures, we obtained 17 isolates of naphthalene-degraders which were identified as Sphingomonas paucimobilis, Brevundimonas vesic­ularis, Burkholderia cepacia, Ralstonia pickettii, Pseudomanas fluorescens, and Chryseomonas luteola. Among them, 6 isolates showed higher naphthalene-degrading activity on minimal media of pH 4 compared to pH 7, whereas the extent of growth was not greater at pH 4 than at pH 7 when they were inoculated on nutrient-rich media. It is plausible that the pH may affect naphthalene-degrading activity of the isolates by changing fatty acid composition of bacterial membrane.

Seasonal Monitoring of Airborne Microbial Concentrations in Kindergartens (유치원의 실내환경에서 공기중 미생물 수의 계절적 변화)

  • Hwang, Gwang-Hwan;Lee, A-Mi;Sin, Hyeon-Jin;Kim, Jong-Seol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9 no.4
    • /
    • pp.253-259
    • /
    • 2003
  • To assess microbiological indoor air quality in kindergartens, concentrations of viable airborne microorganisms were seasonally determined at three kindergartens in Ulsan from April, 2002 to January, 2003. Sampling was performed with an impaction-type air sampler and three different media. The numbers of bacteria grown on Staphylococcus medium were between 84 and 4,150 MPN/m3 with an average of 827 MPN/m3, and those on standard method agar ranged from 50 to 2,636 MPN/m3 with an average of 580 MPN/m3. The bacterial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summer, followed by fall, spring, and winter, and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door temperature. Among the colonies, 45.6~61.0% were observed as Gram-positive cocci and 8.5~20.6% were Gramnegative rods. Micrococcus species were the dominant organisms. The numbers of fungi ranged from 0 to 1,888 MPN/m3(661 MPN/m3 average) based on colony counts with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 On average, the fungal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summer and lowest in winter. Penicillium species and Aspergillus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the colonies. The obtained data can be utilized as a step to set a guideline for bioaerosols in indoor environment of school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초등학교 실내환경에서 공기 중 세균과 진균의 분리 및 특성)

  • Kim, Na-Yeong;Kim, Young-Ran;Kim, Min-Kyu;Cho, Du-Wan;Kim, Jong-Seol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3 no.3
    • /
    • pp.193-200
    • /
    • 2007
  • Indoor airborne bacterial and fungal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at classrooms and corridors of 3 elementary schools in Ulsan. Airborne microorganisms were collected with an impaction-type air sampler using plate count agar and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 During the semester, concentrations of bacteria ranged $168{\sim}3,887 MPN/m^3$ at classrooms and $168{\sim}6,339 MPN/m^3$ at corridors, while those of fungi ranged $34{\sim}389 MPN/m^3$ at classrooms and $91{\sim}507 MPN/m^3$ at corridors. The bacterial concentrations showed larger variations between situations and schools compared to those of fungi. When airborne bacteri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84% were observed as Gram-positive, and Micrococcus spp. was the most abundant group with 61% of tested isolates, followed by genus Staphylococcus with 10%. The Micrococcus spp. isolates, of which 75% were identified as M. luteus, appeared to be from human origins. The protective pigments and substantial cell wall of Micrococcus may provide selective advantage for their survival in the air. We also isolated and identified 15 genera of filamentous fungi. The most common culturable fungi were Cladosporium, Aspergillus and Penicillium, and these 3 genera were 69% of fungal isolates. Genus Stachybotrys, of which S. chartarum is a well known producer of many potent mycotoxins, was also detected from one of the schools. further systematic studies are necessary with an emphasis on species identification and mycotoxin production of isolated fungal genera, including Aspergillus, Penicillium, and Stachybotrys.

Street furniture design for the symbolic expression of regional impression - Focusing on the Sam-san street in Ulsan city - (지역 이미지의 상징성 표현을 위한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를 중심으로 -)

  • 김도경;임창빈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1
    • /
    • pp.63-7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 of concerned local area through using roadside space that is space for daily experience of citizen as target, extracting symbolic image re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 and clarifying the local identity on the basis of it. Through applying image of local symbolism and future-oriented roadside to street furniture, I tried to express local symbolism and through composing symbolic roadside of local that can be newly recognized as unique street, I tried to give a local symbolism and compose active roadside environment. Through providing basic material and actual design example, this paper tried to activate characterized local culture. As the method to approach design of symbolic roadside, the researcher divided local symbolic image into present local image and future-oriented image through selecting the roadside that historical element is lost and urbanization is achieved as target. The researcher characterized local roadside, using street furniture as symbolic tool of future-oriented roadside on the basis of symbolic image extracted from image evaluation testing. This paper has the meaning to suggest one direction for extracting symbolism when organizing distinguished roadside through applying symbolic image to roadside environmental facility, helping for of local resident's sense of place, his self-esteem and love for his hometown and public authority's establishing and promoting the policy concerned to the context of this paper.

  • PDF

GIS and Statistical Techniques used in Korea Urban Expansion Trend Analysis (GIS와 통계기법을 이용한 대한민국 도시확장 패턴분석)

  • Son, Jung-Woo;Jeon, Sung-Woo;Choi, Chul-U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7 no.4
    • /
    • pp.13-22
    • /
    • 2009
  • Urban expansion has caused environmental problems, traffic jam and real estate. Trend analysis of Urban expansion is needed for analysis and prediction of the existing problem-solving, urban planning and land use.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database based on MOE(Minister of environment)'s landcover(1980's, 2000's), 1: 25,000 digital topographical map using of DEM and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 urban and build up expand analysis of South Korea. As a result, The rate of increase in population of Gyeonggi-do, Incheon and Ulsan are high but Jeollanam-do is low. Area of development zone was 2.15 fold increase in comparison with before it. Slope aspect is south or east and urban expansion was increase in district such as Chungcheongnam-do, Gyeonggi-do, Jeollanam-do. Existing road of accessibility was high than development zone. Metropolitan city developre it. In conclusion, we found that South Korea urban expansion was developed from metropolitan city. In natural topographical conditions, the development was progress advantageous zone to disadvantageous zone. Also, we found that population was rapidly increase with new development as the center zone in urban expansion z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