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울릉도

검색결과 713건 처리시간 0.026초

울릉도민의 이주과정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고찰 (The Process of Migration Among Ulleung Island Residents)

  • 김태원
    • 한국인구학
    • /
    • 제27권1호
    • /
    • pp.147-169
    • /
    • 2004
  • 이 연구는 울릉도 주민의 이주와 정착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인 문헌 자료와 현지조사 자료를 통해 오늘날 울릉도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이주와 정착과정을 울릉도의 사회ㆍ문화ㆍ정치적 현상들과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울릉도 초기 개척령 당시의 주민들은 어떤 경로를 통해 울릉도로 들어왔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정착하였는지, 인구의 증가와 감소 현상이 단순한 것이었는지, 아니면 당시 울릉도나 본토의 정치, 경제, 문화적 상황과 어떠한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를 밝혀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 울릉도민의 이주동기는 혼란한 육지의 사회ㆍ정치적 상황을 피해 울릉도로 이주한 사회ㆍ정치적 동기와 경제적인 안정을 찾아 이주한 경제적 동기 그리고 범죄 행위에 대한 도피처로 울릉도를 선택한 범죄적 동기 등 크게 3가지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정착과정을 거치면서 울릉도는 하나의 독특한 사회로 발전하였다.

건강관리 사례담52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14권8호통권141호
    • /
    • pp.2-5
    • /
    • 1990
  • 3무의 섬 울릉도, 유난히 부유해 보이지 않으면서 그렇게 부족해 보이지 않는 섬 울릉도, 그곳에서, 더욱 날씨에도 불구하고 울릉도내 학생건강검사와 부녀자 무료건강검사를 위해 건협 경북지부는 지난 7월 9일부터 4일간을 분주히 뛰어 다녔다. 짧은 검진 일정 동안 학생 심전도, 빈혈, 간염검사, 부녀자 간기능, 간염, 자궁암, 심전도 검사 등을 위해 식사까지 거르면서 울릉도 곳곳을 누비는 건협 검진팀의 일정에 참여하면서 이번 두 검진 사업의 의의와 주민들의 반응을 들어봤다.(이본 호에서는 학생 건강검진 사업을 소개하며, 다음호에 부녀자 건강 검진 사업에 대해 소개합니다.)

  • PDF

울릉도 Micro-Grid EMS(Energy Management System) 구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Micro-Grid Energy Management System(EMS) Integration in Ulleungdo)

  • 박민수;전영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304-305
    • /
    • 2011
  • 이산화탄소의 배출로 인한 지구온난화와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한 에너지난은 신재생 에너지원의 필요성을 증가시켰다. 현재 국내에서는 디젤 발전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울릉도 시스템을 신재생 에너지원을 계통에 연계시키는 울릉도 녹색 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울릉도는 육지와의 거리가 멀어 계통 연계의 어렵고 신재생 에너지원의 출력 변동성으로 인한 계통운영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울릉도의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Micro-Grid EMS 구축이 요구되는 상황이며 본 논문에서는 Micro-Grid EMS 구축을 위한 방안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건강관리 사례담53-울릉도 부녀자 건강검사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14권9호통권142호
    • /
    • pp.2-5
    • /
    • 1990
  • 3무의 섬 울릉도, 유난히 부유해 보이지 않으면서 그렇게 부족해 보이지 않는 섬 울릉도. 그곳에서, 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울릉도 내 학생건강검사와 부녀자 무료건강검사를 위해 건협 경북지부는 지난 7월 9일부터 4일간을 분주히 뛰어 다녔다. 짧은 검진 일정 동안 학생 심전도, 빈혈, 간염검사, 부녀자 간기능, 간염, 자궁암, 심정도 검사 등을 위해 식사까지 거르면서 울릉도 곳곳을 누비는 건협 검진팀의 일정에 참여하면서 이번 두 검진 사업의 의의와 주민들의 반응을 들어봤다.

  • PDF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I) - 울릉도 지역의 식물상 -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Ulleung Island (I) -Flora-)

  • 신현탁;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5-216
    • /
    • 2002
  • 울릉도의 식물상은 총 109과 355속 526종 2아종 89변종 10품종 총 627종류(Taxa)로 파악되었다. 현재까지 보고된 울릉도 식물상은 총 122과 465속 762종 5아종 178변종 21품종 9교잡종 총 975종류로 정리되었다. 울릉도에 분포하는 식물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한반도, 울릉도 및 일본열도 간 식물상을 비교한 결과, 울릉도의 식물은 한반도와 더 유사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울릉도에 자생하는 특산식물을 포함하여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는 보다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관광객의 증가로 귀화식물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외래종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울릉도의 특정 생태계나 특산식물을 포함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서식처를 보전하기 위하여 생태계 보전지역 이상의 수준에서 보전지역으로 지정하여, 점차 파괴되어 가는 울릉도의 자연생태계를 보호해야 할 것이다.

한국(울릉도)의 1신종: 울릉바늘꽃 (A new species of Epilobium (Onagraceae) from Ulleungdo Island, Korea, Epilobium ulleungensis)

  • 정재민;신재권;선은미;김회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0-105
    • /
    • 2017
  •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바늘꽃과 바늘꽃속의 신종인 울릉바늘꽃(Epilobium ulleungensis J. M. Chung)을 발견하여 기재 및 도해하였다. 울릉도에 분포하는 바늘꽃속 4분류군(바늘꽃, E. pyrricholophum; 돌바늘꽃, E. amurense subsp. cephalostigma; 큰바늘꽃, E. hirsutum; 울릉바늘꽃, E. ulleungensis)중에서 울릉바늘꽃의 주두는 4각형으로서 곤봉형인 바늘꽃 또는 두상형인 돌바늘꽃과 4개로 깊게 갈라지는 큰바늘꽃의 중간 형태를 보이고 있다. 중요하게도, 울릉바늘꽃은 200 cm 이상의 큰 키와 비스듬히 누운 줄기, 잎의 형태, 식물체 전체의 짧은 밀모, 그리고 꽃의 크기와 진분홍색 또는 붉은 자주색의 꽃 색은 울릉도에 분포하는 다른 3분류군과 명확하게 구별된다. 주두의 형태와 다른 분류학적 형질들에 의해 울릉바늘꽃은 큰바늘꽃과 바늘꽃 또는 돌바늘꽃과의 잡종으로 추정되었다. 신종의 자생지가 울릉도인 점을 고려하여 'ulleungensis'이라 신칭하였다.

동해 울릉도-독도 화산그룹 분화사 다중스케일 연구 (Eruptive History of the Ulleungdo-Dokdo Volcanic Group, the East Sea: a Multi-Scale Approach)

  • 김기범;이재혁;안호준;제윤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40-150
    • /
    • 2022
  • 이 논문은 울릉도, 독도를 포함하는 동해 울릉분지 해저 화산그룹(가칭: 울릉도-독도 화산그룹)의 분화사를 복원하고 미래 분화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중인 육상-해양 복합 다중스케일 화산연구의 개념과 지금까지의 결과를 소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다중채널 탄성파반사자료 해석을 통해 유추되는 울릉도-독도 화산그룹의 주 활동 시기는 대략 5-2.5 Ma로, 동쪽 끝의 이사부평정해산에서 처음 시작되어 서쪽의 울릉도로 전파된 것으로 해석된다. 울릉도의 육상부는 5단계에 걸쳐 생성되었으며 최종 단계에 접어들어 폭발성 분화를 통해 폭 약 3 km의 칼데라 지형과 그 내부에 화산돔을 형성하였다. 울릉도의 마지막 분화 산물인 알봉 화산돔과 그 하부의 수증기마그마성 분화로부터 기원된 층단위 N-1 화산쇄설층은 기존 포놀라이트질 마그마방으로 유입된 보다 염기성의 새로운 마그마의 분화로부터 생성되었다. 층단위 N-1과 알봉 분석이 갖는 조면안산암질 전암조성은 기존 포놀라이트질 마그마방 하부에 존재한 고철질 집적암이 새로 주입된 마그마를 오염시킨 결과로, 그 자체가 마그마의 조성을 지시하지는 않는다. 층단위 N-1과 알봉 화산돔에서 확인되는 새로운 마그마 주입의 증거들은 최근 밝혀진 울릉도의 높은 지온구배 및 분화주기와 더불어 울릉도가 여전히 작동중인 마그마 배관체계를 갖는 활화산임을 암시한다.

울릉도産 陸棲貧毛類의 分類學的 硏究 (Preliminary Survey of the Earthworms from Dagelet Isl., Korea)

  • Song, Min-Ja;Paik, Kap-Yo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21
    • /
    • 1969
  • 韓國産 陸棲貧毛類의 分類學的 硏究의 일련으로서 1965年 $\\sim$ 1966年 및 1968年에 採集된 울릉도 産을 調査한 結果 3科 5屬 10種(Allolobophora caliginosa trapezoides, Eisenia foetida, Pheretima agrestis, Ph. heteropoda, Ph. hilgendorfi, Ph. hupeiensis, Ph. phaselus, Ph. serrata, Ph. sp. 1 Ph. sp. 2)을 報告하였다. 울릉도의 陸棲貧毛類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報告된 바 없으므로 이들은 全部 울릉도 未記錄이 되고 이중 Pheretima heteropoda Goto et Hatai 는 韓國 未記錄種이고 Phertima hilgendorfi 는 male pore를 가진 點이 本土産과 比較해서 若干 特異하였다.

  • PDF

동해 울릉분지의 황산염과 메탄의 농도 분포 및 심도에 따른 변화 양상 (The distribution of sulfate and methane concentration and their vertical trend in the Ulleung Basin)

  • 김지훈;박명호;류병재;이영주;한현철;정태진;오재호;장호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2-62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해 울릉분지 천부퇴적층의 공극수와 메탄의 특징 및 상호작용을 규명하는데 있다. 울릉분지에서 채취한 코어에서 공극수를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공극수의 황산염 농도가 퇴적물의 심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감소하는 경향은 크게 세 가지 (직선성, concave down, upward kink)로 나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모든 코어에서 황산염 환원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지시한다 황산염 농도의 수직적 구배를 이용하여 SMI (sulfate-methane interface) 심도를 계산하면, 남부울릉분지가 북부울릉분지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 반면에 메탄 농도는 퇴적물의 심도가 증가할수록 전반적으로 증가하며, 공간적으로는 남부 울릉분지가 북부울릉보지보다 높다. 또한 남부울릉분지에서 메탄가스 농도는 SMI 심도 아래에서 급격히 증가한다 메탄가스의 탄소 안정동위원소$(\delta^{13}C)$ 분석 값들은 대부분 $-60\%_{\circ}$이하로서 이는 메탄가스가 열기원 보다는 박테리아기원임을 지시해준다 또한 남부 울릉분지에서 메탄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값들은 메탄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은 값을 보여 주는 데 이러한 결과들은 남부 울릉분지에서 무산소 메탄 산화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지시하고, 메탄의 상향 분산 (diffusion)량이 북부 울릉분지보다 많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극수내 황산염 이온 농도 구배와 메탄가스 농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울릉분지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의 부존가능성은 북부 울룽분지보다 남부 울릉분지가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울릉도의 화산층서와 단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Volcanic Stratigraphy and Fault of Ulleung-do, Korea)

  • 김기범;이기동
    • 지질공학
    • /
    • 제18권3호
    • /
    • pp.321-330
    • /
    • 2008
  • 울릉도 화산체의 지질과 지질구조 및 화산활동상을 연구하기 위해서 선행된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울릉도는 동해 해저에서부터 약 3,000m 높이의 화산체로 해수면 부근의 기저는 현무암질 집괴암이며 그 상위로 조면암질 집괴암, 조면암, 조면암질 부석과 조면안산암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나리분지의 칼데라는 함몰에 의해 역삼각형의 단층이 나타나고 있고, 나리분지를 중심으로 북동-남서방향과 북서-남동방향의 단층들이 분포하고 있다. 신생대 제4기(Quaternary)의 울릉도 화산활동은 해수면 부근의 현무암질 집괴암 및 응회암 분출의 제1기, 조면암질 집괴암 및 응회암이 분출한 제2기, 조면암질 용암류의 분출의 제3기, 조면암질 부석이 분출한 제4기, 칼데라 내의 조면암질 안산암이 분출시기인 제5기로 구분하였다. 울릉도의 지질은 다양하고 복잡하여 지질공학 또는 응용지질분야에서 접근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울릉도 지질을 단순화하여 이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